학교로 들어간 AI
미래 교육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
어떻게 하면 AI 교육을 현장에 잘 접목할 수 있을지에 대한 성찰과 고민
매킨지 최신 기술 트렌드 연구에 따르면 2030년이 되면 많은 사람이 인공지능과 함께 일상을 살아가게 된다고 한다. 해당 연구는 2025년까지 차세대 프로세스 자동화 및 가상화가 50% 이루어지면 2030년에는 세계 인구의 80%가 5G와 IOT를 사용하게 되며, 향후 10년간은 지난 100년간보다 더 많은 혁신이 일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학교 교육에서의 AI 활용 방안은 이제 첫걸음을 뗀 단계다. 당장 교육 현장에서 AI에 대한 교육은 막연하게 느껴지고 교사들은 불안해지기까지 한다. 그러나 위기는 늘 기회를 동반한다고 했다. 미래 교육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에서 AI 콘텐츠의 교육적 가치와 기대효과는 4차 산업혁명의 시대적 요구이자 국가적 과제가 되었다. 앞으로 지금보다 훨씬 기술적으로 진화된 교육 환경이 구축될 것이고 AI를 활용한 교육이 미래 교육의 새로운 기반 체계가 될 것이다.
교사는 학생이 성장해서 사회에 진출했을 때 미래 사회에 어떤 기술이 필요하고 어떤 산업이 성장할지 생각하고 교육을 해야 한다. 인터넷에 보면 학교에서 가르치는 내용보다 더 많은 지식이 있다. 교육 업체 홈페이지 또는 유튜브에 접속하기만 하면 언제든 학생 자신에 맞는 교육을 받을 수 있다.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학생들에게 지식을 전달하려고 하지 말고 지식을 어떻게 얻고 활용할 수 있는지 방법과 역량을 가르치고 키워 줘야 한다.
이 책은 AI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을 탐색할 뿐만 아니라, AI 시대 학교 현장에서 미래 역량을 강화하려는 노력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어떻게 하면 현장에 잘 접목할 수 있을지 저자의 성찰과 고민의 결과물을 정리하였다고 보면 된다. AI와 학습(1장), AI 리터러시(2장), AI와 학습 동기(3장)는 AI 교육의 이론적 배경과 AI에 대한 관심, AI 기술에 대한 접근 가능성, 학교 내 AI 교육의 필요성을 정리하였다. AI 기반 스토리텔링(4장), AI 활용 글쓰기(5장), 메타버스 플랫폼 활용(6장), AI와 메이커 교육(7장), AI 로봇과 교육 현장(8장), AI와 인성 교육(9장), 생성 AI 활용 작품(10장)은 모두 저자의 실제 경험을 기술하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만큼 교육 현장에 있는 독자라면 공감될 내용이다.
중앙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초등학교 교사다.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에서 영상예술학?영상정책 및 기획 전공 “영상콘텐츠 활용의 교육적 가치 탐색”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인공지능 콘텐츠를 활용한 국어과 융합 교육 사례 연구”(2021),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초등 융합 교육 사례 연구”(2022) 논문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에 게재했다. “Evaluation of Aesthetic and Emotional Satisfaction of Mobile Phone Users”(2018), “Estimation of Smartphone User` Satisfaction and Customer Intention on the Social Networking Service”(2018) 등의 논문을 The AHFE 2018 Conference 해외 학회지에 게재하였으며 “Character-Building Program Employing Photo in Education”(2018) 논문을 중앙대학교 ≪TECHART : Journal of Arts and Imaging Science≫에 게재했다. 주요 저서로 『온택트 시대의 공부법』(2021), 『AI 시대의 공부법』(2022)이 있다. 육아 월간지 ≪엄마는 생각쟁이≫에 칼럼을 연재하였으며 제7회 대한민국 독서교육대상 특별상, 2023 AI교육 선도학교 우수 운영사례 공모전에서 장관상을 수상하여 영국 세계 최대 에듀테크 박람회 BETT(British Educational Training and Technology) UK 2024 AI 연수에 참가했다.
AI와 미래 교육
01 AI와 학습
02 AI 리터러시
03 AI와 학습 동기
04 AI 기반 스토리텔링
05 AI 활용 글쓰기
06 메타버스 플랫폼 활용
07 AI와 메이커 교육
08 AI 로봇과 교육 현장
09 AI와 인성 교육
10 생성 AI 활용 작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