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류, 신화가 미래다
신화(神話)는 과거의 전설이다. 현재의 삶에 녹아 있는 시대정신이고, 미래를 생각하게 하는 힘이다. 한류가 신화가 되어야 하는 까닭이 여기 있다. 한류는 과거와 현재의 신화이면서 동시에 미래의 신화이기 때문이다. 한류는 현존이고, 내일의 가치다. 소통을 통해 세계인과 지속적인 교감을 이루어내는 문화정신이다. 한류는 미래 인류사회를 위한 믿음이며, 영원성과 함께 살아 숨 쉬어야 한다. 신화로의 이행은 한류 가치에 대한 믿음에서 출발하며, 한류의 품격과 영원성을 만들어가는 과정이다.
‘한류’는 한국 문화콘텐츠산업의 현재를 일구어냈다. 그러나 한류가 이미 절정을 지났고 곧 끝날 것이라는 위기감이 팽배하다. 위기를 기회로, 과거의 전설을 미래의 신화로 바꾸는 방법은 없을까? 저자는 문화콘텐츠 수출·수입 데이터에서 위기의 실체를 확인하고 드라마투르기와 유통 이데올로기적 관점에서 이를 분석했다. 그 결과, 한류 위기가 소통의 부재, 왜곡, 단절과 직결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또한 롤랑바르트와 레비스트로스의 신화론을 기초로, 한류가 끝나지 않는 문화 신화가 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했다.
머리말
1부 한류는 위기다
1장 한류의 출발과 의미
1. 불발로 끝난 최초의 수출계약
2. 두 번째, 그러나 첫 번째가 된 <떠돌이 까치>
3. 한류의 세계문화사적 의미
2장 위기의 근거
1. 한류의 태생적 위기론
2. 드라마투르기로 본 한류 위기
3. 문화 유통 이데올로기로 본 한류 위기
1) 문화란 무엇인가?
2) 문화 유통 이데올로기
3) 유통 이데올로기로 본 한류 위기
3장 위기의 징후
1. 반(反)한류의 기운
2. 한류, 저항의 수치적 근거들
4장 위기 발생요인
1. 서비스라는 소재영역의 민감성
2. 생산 주체가 위기 주체라는 아이러니
1) 작가와 연출자
2) 배우
3) 해외마케터
4) 전략기획(자)
3. 소비 객체와 유통 이데올로기
1) 객체는 민족주의 논쟁의 주체
2) 객체의 저항과 유통 이데올로기
5장 위기의 본질과 문제
1. 위기의 본질
1) 소통이란 무엇인가?
2) 소통, 문화콘텐츠의 본질
3) 한류의 본질은 무엇인가?
4) 한류의 정체성
5) 한류, 위기의 본질: 소통의 왜곡과 단절
2. 위기의 문제
1) 본질적 기능의 문제
2) 파생적 기능의 문제
2부 위기의 한류, 신화로의 이행과 전제
1장 신화란 무엇인가?
2장 한류는 신화다
1. 레비스트로스와 한류의 신화구조
2. 롤랑 바르트와 한류의 신화구조
1) 제1차 의미화 과정: 한류의 개념적 선사시대
2) 제2차 의미화 과정: 한류의 절정기
3장 한류, 왜 신화이어야 하는가?
1. 한민족의 건국신화
1) 민족적 자부심의 근간
2) ‘우연성’에서 출발해 ‘영원성’을 지향하는 단군신화
2. 근현대사를 장식한 한국의 신화들
3. 한류가 신화이어야 하는 세 가지 이유
4장 신화로의 이행을 위한 전제
1. 선행과제
2. 본질로의 회귀, 그 의미
3. 소통, 패러다임의 변화
4. 소통을 위한 모색의 방향성과 실제
1) 모색의 방향성
2) 소통을 위한 모색의 실제
5. 백 투 더 콘텐츠, 한류 콘텐츠 아이덴티티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