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과 인공지능
AI 시대의 게임, 새로운 몰입 경험을 선사하다
AI가 게임 산업에 미친 영향을 탐색하며 AI가 단순한 NPC나 보조 도구를 넘어 게임의 핵심 요소로 자리 잡고 있는 흐름을 분석한다. AI는 게임에서 플레이어의 행동을 학습하고 적응하며, 몰입도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과거 체스와 바둑 AI에서 시작된 인공지능 기술은 이제 게임 속 캐릭터, 스토리, 공간을 실시간으로 창조하며 플레이어의 경험을 변화시키고 있다. 특히 생성형 AI는 절차적 콘텐츠 생성(PCG)과 개인화된 게임 경험을 가능하게 하며, 플레이어의 선택에 따라 변화하는 동적인 게임 세계를 만들어 낸다.
이 책은 AI가 게임을 위한 도구로서 발전해 온 과정과 AI 기술이 게임 디자인과 개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AI가 스토리 전개를 실시간으로 조정하고, 플레이어의 행동을 분석해 난이도를 조절하며, 더 몰입감 있는 캐릭터와 세계를 구축하는 방식도 조명한다. 또한 AI가 게임 산업 전반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개발자와 플레이어의 역할을 어떻게 재정의할 것인지도 탐구한다.
한양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교수다. 이화여자대학교에서 국어국문학을 전공하고, 동 대학교 대학원 디지털미디어학부에서 “온라인 게임 스토리의 업데이트 양상 연구: 리니지2를 중심으로”(2009)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현장으로 나가 케이블 방송 편성 PD와 게임기획자, 퍼블리싱 PM으로 활동하고, 이화여자대학교 융합콘텐츠학과에서 “디지털 게임의 모빌리티 연구”(2018)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연구 분야는 디지털 스토리텔링 전반으로 웹콘텐츠와 트랜스미디어, 콘텐츠 IP, 메타버스 등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문화콘텐츠 분야에 발맞추어 연구 분야를 넓히고 있다. 저서로 『K-스토리텔링 1』(공저, 2022), 『모바일 게임 스토리텔링』(2020), 『게임사전』(공저, 2016),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이해』(공저, 2015)가 있다. 논문은 "웹드라마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연구"(2022), "메타버스 개념과 유형에 대한 시론"(2021), "게임 IP 활용에 대한 미디어 산업 종사자들의 인식 연구"(2021), "숏폼 동영상 콘텐츠의 유형 연구"(2020) 등이 있다.
게임과 인공지능의 공진화
01 문제 생성과 해결의 루프, 게임
02 재현 기술로서 게임 AI
03 게임 AI의 역사
04 캐릭터와 AI
05 공간과 AI
06 다중 형식 스토리와 AI
07 생성형 AI와 게임 개발
08 AI와 게임 기업
09 AI와 게임 산업의 직군들
10 AI와 플레이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