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층 빌딩 설계 가이드
능동적이고 체계적인 초고층 빌딩의 설계과정 및 디자인에 대한 해석
현재 우리는 세계화된 마천루 경쟁사회에 있다. 잘 짜진 계획 아래의 초고층 빌딩의 디자인들도 많이 있지만, 주변의 맥락과 연계되지 않고 우후죽순처럼 초고층 빌딩들이 들어서는 도시적 형태도 많이 생겨나고 있다. 필자는 여러 초고층 프로젝트들을 디자인하며, 본질적인 질문들을 가지기 시작하였다. 어떻게 건축가가 초기 디자인 설계 접근법(Approach)을 통해 조금 더 인간적인 삶을 구현시킬 수 있을까? 인간과 초고층 빌딩이 도시 안에서 조화롭게 공존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초고층 빌딩 안의 녹지공간들과 편의시설들은 어떻게 도시와 융화될 수 있을까? 초고층 빌딩은 과연 우리에게 어떠한 의미의 건축물들로 다가올 것인가?
우리는 이 책을 통해 더 능동적이고 체계적인 초고층 빌딩의 설계과정을 해석하여 보여주고, 디자인 유형(Design Typology)을 제안함으로써, 초고층 빌딩의 설계 과정이 궁금한 독자들의 이해를 돕고자 한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초고층 빌딩 디자인의 새로운 접근안도 소개하고, 이 밖에 초고층 빌딩 설계에 임할 때에 염두에 두어야 사항들을 분류하여 서술하며, 현재 초고층 빌딩 디자인의 디지털 디자인의 성향과 방향, 디지털 툴 (Digital Tool)을 이용한 친환경 디자인의 디자인 기술을 자세히 서술한다.
현재 건설되고 있는 동아시아의 대부분 초고층 빌딩의 설계는 서구의 디자인과 기술에 의존하고 있는 현실이다. 주변의 사례에서만 보더라도,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의 대부분의 초고층 빌딩 설계는 미국, 유럽 등지의 해외 유명건축가들의 디자인에서 시작된다. 필자가 이 책을 통해 학교에서 배운 설계이론과 실무에서의 경험, 지식을 공유함으로써, 이 책이 언젠가는 우리나라에서도 세계적인 초고층 빌딩 디자인과 기술을 자력으로 주도할 수 있는 디딤돌이 될 수 있기를 희망해본다. 더 나아가 후손들에게 문화유산의 가치를 줄 수 있는 한국의 문화적 특색이 잘 반영된 초고층 빌딩 디자인이 훗날 한국의 건축가들의 자력으로 더 많이 나오기를 간절히 바란다.
프롤로그 PROLOGUE
제1장 초고층 빌딩의 정의와 디자인 방향
1.1. 초고층 빌딩의 역사
1.2. 초고층 빌딩의 정의
1.3. 초고층 빌딩의 도시적·사회적 영향
제2장 초고층 빌딩의 디자인 방향
2.1. 초고층 빌딩의 디자인 고려요소
2.2. 초고층 빌딩의 디자인 접근방식
2.3. 이미지에서 영감을 얻는 디자인
2.4. 연계성을 가진 형태적 디자인 방법론
2.5. 지속 가능한 공간의 디자인 방법론
제3장 초고층 빌딩의 테크니컬 디자인의 구체적 서술
3.1. 초고층 기술 설계 프로세스 개요
3.2. 초고층 빌딩의 코어 디자인
3.3. 수직 동선 디자인
3.4. 파사드 디자인
제4장 초고층 빌딩의 구조
4.1. 구조 시스템과 그 분류
4.2. 로드-베어링 시스템
4.3. 스틸 프레임 시스템
4.4. 복합 시스템
4.5. 초고강도 콘크리트 시스템
제5장 초고층 빌딩의 화재 안전 성능 설계
5.1. 초고층 빌딩의 안전성
5.2. 방재 시스템
에필로그 EPILOGUE
이소은,김형우 공저 저자가 집필한 등록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