얕은기초
가장 보편적인 구조물기초의 형태인 얕은기초
저자는「홍원표의 지반공학 강좌」의 첫 번째 강좌로 다섯 개의 주제에 대한 말뚝공학편 강좌를 마치고 이번에 두 번째 강좌로 기초공학편 강좌를 시작하게 되었고 이 기초공학편 강좌의 첫 번째 주제로 『얕은기초』를 선택하였다.
저자는 20년 전에「기초공학특론(I) 얕은기초」를 출판하면서 얕은기초의 지지력과 침하 및 기초지반 속에 발생하는 지중응력을 중점적으로 정리한 바 있다. 이번에 『얕은기초』를 새롭게 출판하면서 처음「기초공학특론(I) 얕은기초」를 출판할 때 부족하였던 점을 많이 보충할 수 있었다.
『얕은기초』는 전체가 8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선 제1장에서는 얕은기초의 종류와 파괴 형태를 설명하였으며 얄은기초의 안전 설계 개념을 기술하였다.
다음으로 제2장과 제3장에서는 얕은기초의 설계에 필요한 지반의 특성과 지반조사방법을 설명하였다. 먼저 제2장에서는 기초지반의 특성을 간결하게 검토하였다. 특히 제2장에서는 기초지반의 지질학적 특성과 물리적 특성뿐만 아니라 투수성, 전단 특성 및 압축성에 대한 토질역학적 기본 지식을 정리?설명하였다. 한편 제3장에서는 얕은기초 설계에 필요한 지반조사방법에 대하여 정리?기술하였다. 지반조사방법는 크게 원위치시험법과 물리탐사법으로 구분하여 자세히 설명하였다.
계속하여 제4장부터는 얕은기초의 설계에 필요한 사항을 정리?설명하였다. 먼저 제4장에서는 얕은기초의 설계원리를 설명하였는데 기초하중의 종류와 설정 방법, 안전율, 허용침하량을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제5장과 제6장에서는 후팅기초의 지지력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즉, 제5장에서는 각종 해석법에 의거하여 산정되는 기초지반의 지지력 산정법을 정리하였고, 제6장에서는 후팅이 인접하여 설치된 경우 인접후팅 사이의 간섭효과를 산정하고 모형실험 결과와 비교하여 그 합리성을 기술하였다. 특히 인접후팅의 간섭효과산정이론에는 인접후팅 사이의 지반에 지반아칭이론을 도입하여 해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제7장과 제8장에서는 기초지반의 침하에 관련 사항을 함께 설명하였다. 우선 제7장에서는 기초하중에 의해 지중에 발생하는 지중응력을 구하고 침하성분별로 침하량을 산정하는 방법을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제8장에서는 우리나라 지반의 침하 특성을 설명하였다. 연약지반의 침하량 산정법과 점토질 모래지반의 침하량산정방법을 정리하였다.
(현)중앙대학교 공과대학 명예교수
중앙대학교 학생처장, 건설대학원장, 대외협력본부장(부총장)
서울시 토목상 대상
과학기술 우수 논문상(한국과학기술단체 총연합회)
대한토목학회 논문상
한국지반공학회 논문상·공로상
UCLA, 존스홉킨스 대학, 오사카 대학 객원연구원
KAIST 토목공학과 교수
국립건설시험소 토질과 전문교수
중앙대학교 공과대학 교수
오사카 대학 대학원 공학석·박사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졸업
CHAPTER 01 서 론
1.1 개 설
1.2 얕은기초의 종류
1.3 얕은기초 지반의 파괴 형태
1.4 안전 설계 개념
CHAPTER 02 기초지반 특성
2.1 지질학적 특성
2.2 물리적 특성
2.3 흙의 투수성
2.4 흙의 전단강도
2.5 흙의 압축성
CHAPTER 03 지반조사
3.1 지반조사순서
3.2 원위치시험
3.3 물리 탐사
CHAPTER 04 얕은기초의 설계 원리
4.1 설계팀
4.2 시방서
4.3 허용하중과 지반침하
CHAPTER 05 기초지지력
5.1 지지력 결정 방법
5.2 탄성론-Schlicher법
5.3 고전토압론에 의한 방법
5.4 한계평형법에 의한 지지력공식
5.5 한계해석법에 의한 방법
5.6 경험적 방법
5.7 지지력에 영향을 미치는 기타요소
CHAPTER 06 인접 후팅의 지지력
6.1 인접 후팅의 간섭효과
6.2 모형실험
6.3 모형실험 결과
6.4 인접 후팅의 지지력
6.5 실험치와 이론예측치의 비교
CHAPTER 07 기초침하
7.1 개 설
7.2 지중응력
7.3 즉시침하
7.4 1차압밀침하
7.5 2차압밀침하
CHAPTER 08 우리나라 지반의 침하 특성
8.1 연약지반의 장래침하량 예측 사례
8.2 점토질 모래지반의 침하량 산정 방법
홍원표 저자가 집필한 등록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