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와 미디어 아트
새로운 창작, 새로운 감성
미디어 아트는 시대적 요구에 따라 변화해 왔다. 초기에는 특정한 미감을 충족하는 것이 목적이었다면, 오늘날에는 대중성과 희소성을 동시에 갖춘 예술로 자리 잡고 있다. AI는 이러한 흐름을 가속화하며, 이미지 생성, 실시간 인터랙티브 아트, NFT 기반 디지털 아트 등 다양한 형태로 활용되고 있다. AI와 협업하는 예술가들은 단순한 기술적 도구를 넘어 AI의 창조성과 자율성에 주목하며 새로운 예술적 가능성을 실험하고 있다. 이 책은 AI가 미디어 아트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그리고 창작자와 감상자가 이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지 다각도로 조명한다. 대형 미디어 아트 전시에서 AI가 어떻게 활용되는지, 기업의 브랜딩과 공공 예술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NFT 아트와 같은 새로운 시장에서 AI 기반 창작이 어떤 가치를 지니는지도 탐구한다. AI를 단순한 창작 보조 도구가 아니라 하나의 예술적 주체로 바라볼 수 있는지에 대한 철학적 질문도 던진다. 예술의 경계가 확장되고 있다. AI 기술이 예술의 본질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있으며, 앞으로 어떤 가능성을 열어갈 것인지에 대한 깊은 통찰을 제공한다.
choijiwon.kr
현대미술 분야에서 회화와 뉴미디어 아트를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는 아티스트다.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동양화과 졸업 후, 동대학교 미술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작품으로 <The Visitor>(제주현대미술관), <pppppppppppp>(플랫폼엘 컨템포러리 아트센터), <몽유도원_the journey>(서소문 성지 역사박물관)이 있으며, PLAP Live Arts Program 2022에서 작품 <0-Phasing-1>로 최우수 작품상을 수상한 바 있다.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정보원에서 이슈 리포트 『AI와 융합한 미디어아트 현황 및 활용 방안』(2024)을 발간하였으며, 실감 데이터 공동 활용 플랫폼 실감형 체험 시설 구축 사업체 선정 심사 위원으로 활동했다. 국립세계문자박물관 전시 ‘올랭피아 오디세이’에서 소피 칼 작가의 미디어 전시부문 자문위원으로 활동했다. 논문 “즉흥적 드로잉을 통한 순간의 인상 표현 연구”(2017)를 발표했으며, 국립국어원, 성남문화재단 등에 작품이 소장되어 있다.
AI와 미디어 아트의 만남
01 미디어 아트 전시
02 미디어 아트 전시 속 AI
03 AI 미디어 아트 창작법
04 AI 미디어 아트 감상법
05 AI 미디어 아티스트
06 헤리티지와 AI 미디어 아트의 융합
07 체험형 AI 미디어 아트
08 생성형 AI를 활용한 NFT 아트
09 브랜딩을 위한 AI 미디어 아트
10 AI 미디어 아트의 미래
최지원 지음 저자가 집필한 등록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