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육 전공자를 위한 스포츠인턴십
현재 전국에서 생활체육지도자로 스포츠산업 현장에서 열심히 지도를 하고 있는 지도자들이 많이 있다. 이 지도자들은 대학에서 이론 및 실기를 열심히 병행하여 학습해 졸업 후 스포츠 산업 현장에서 당당한 직업인으로서 맡은 바 임무를 수행해 나가고 있는데 가끔 학교수업에서는 없었던 문제점들이 야기되어 당황스런 모습을 보이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 아마도 이론과 현장의 괴리감에서 오는 결과일 것이다.
체육 및 스포츠를 전공하는 학과에서는 현장실습 또는 인턴십이라는 교과목으로 현장실습을 하고 있는데 이는 학생들이 재학 중에 일정기간 방학을 이용해서 체육 및 스포츠관련 업체에서 현장실습이나 교육연수를 받는 제도이다. 구미에서는 이미 100여년 전에 도입되어 현재는 대부분의 대학들이 실용교육의 일환으로 이 제도를 교과과정으로 편성하여 학점제도가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인턴십 제도를 근간으로 하여 서구의 대학생 80% 이상이 산업현장이나 해당 조직에 정식으로 취업되어 열심히 현장에서 일하고 있다.
체육학도들이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발맞추어 나가기 위해서는 사회에 나가기 전 대학과정에서 인턴십을 학습할 필요가 있다. 이 책은 최근 경영학 등에 관련된 인턴십 책들은 많이 나와 있지만 체육 및 스포츠에 관련된 인턴십 저서는 거의 찾아볼 수 없는 상황에서, 체육 및 스포츠를 전공하는 학생들이 체육과 스포츠에 관련되는 산업체에서 인턴십 경험을 쌓는 데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고자 출간한 것이다. 이 책은 체육 및 스포츠 인턴십 제도의 성공을 위해서 학교와 체육 및 스포츠 현장 관계자 그리고 학생들의 긴밀한 협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지침이 되도록 구성하였다.
공주대학교 체육교육학과 졸업(B.A)
미국 St. Thomas대학원 석사(M.A),미국 U.S.S.A 대학원 박사(Ed.D)
현 건양대학교 생활체육학과 교수,한국사회체육학회 이사,한국안전교육학회 이사
첫째마당 인턴십
1장 현장실습 기본예절
2장 인턴십의 시작
3장 원서지원과 면접
4장 인턴십 실습요령
둘째마당 스포츠 현장지도의 실제
5장 대상별 스포츠 현장지도의 실제
6장 종목별 스포츠 현장지도의 실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