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분석의 기초 개념
영화 분석은 영화의 구조적 특징을 언어로 표현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영화에 대한 주관적 평가의 기준과 근거를 보편적 방법론을 토대로 설명하려는 것이다. 체계적 분석을 위해서는 반복 감상과 꼼꼼한 기록이 필요하다. 이는 영화의 미학적 특징을 규명하는 데 기본 자료가 된다. 개별 작품의 시각, 청각, 서사를 기반으로 한 내적 분석은 맥락을 고려함으로써 더욱 풍성해진다. 분석문을 작성하면서 자신의 생각을 설득력 있게 펼쳐 나가는 것으로 영화 분석은 마무리된다. 이 책은 영화 감상부터 분석문 작성까지 과정을 개괄해 영화 분석의 방법을 알기 쉽게 전달한다. 각 장마다 영화 분석을 위한 질문을 제시해 분석자에게 실질적 도움을 준다.
영남대학교 유럽언어문화학부 독일언어문화전공 교수다. 독일 마부르크필립스대학교에서 미디어학 전공으로 학·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박사논문으로 『Die Spielfilme von Ken Loach: Perspektive eines realistischen Kinos(켄 로치의 극영화: 사실주의적 영화의 시선)』(2011)를 출간했다. 독일을 중심으로 유럽의 영상 문화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 “타인의 고통을 영상화하기: 다큐멘터리 영화 <세상의 소금> 분석”(2016), “다큐멘터리 드라마와 영화적 사실주의: 안드레아스 드레젠의 <우리도 사랑한다> 분석”(2014), “예술영화에 나타난 동일화의 양상: 켄 로치의 <자유로운 세계>와 미하엘 하네케의 <하얀 리본> 분석”(2012) 등의 논문을 발표했다. 이 밖에 『마법 분필』(2014), 『영화 이론: 영화는 육체와 어떤 관계인가?』(2013)를 번역했다.
01 영화 분석을 위한 준비: 영화 감상과 프로토콜 작성
02 시각 분석 1: 이미지
03 시각 분석 2: 카메라 기법
04 시각 분석 3: 공간
05 서사 분석 1: 드라마투르기
06 서사 분석 2: 서사 기법
07 서사 분석 3: 몽타주
08 청각 분석
09 맥락
10 분석문 작성
윤종욱 지음 저자가 집필한 등록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