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버스의 이해
우리나라는 메타버스에 대한 전 세계 관심도 조사에서 1위에 올랐다. 현실을 초월하는 디지털 공간 메타버스에 대한 관심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문화적 활용 측면에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 책은 메타버스의 과거와 현재, 미래에 대한 포괄적이고 개괄적인 접근을 통해 메타버스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는데 주력했다. 메타버스의 개념과 유형, 특징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다양한 기술적, 윤리적, 법적 이슈를 다루었다. 또한 메타버스의 성장을 주도하는 MZ세대와 기능적, 유형적, 기술적 차원의 융복합 형태로 진화하는 메타버스를 살펴보고, 메타버스의 미래를 전망한다.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KOBACO) 미디어광고연구소 연구위원이다. 성균관대학교에서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수용자 연구, 시청률 및 통합시청조사 등이 주요 연구 분야다.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연구원(2010~2013), 홍익대, 평택대, 한국방송통신대 등(2007~2016) 시간강사를 역임했다. 현재 인터넷신문자율공시기구 검증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2020 방송영상 산업백서』(2021), 『데이터 시대의 언론학 연구』(2017)에 공저자로 참여했고, “미디어 테크놀로지의 진화 방향”(2010), “What to Read in the Morning?: A Niche Analysis of Free Daily Papers(FDPs) and Paid Papers in Korea”(2007) 등의 논문을 게재했다.
메타버스 열풍, 아니 광풍 속으로
01 메타버스의 개념과 정의
메타버스의 개념
메타버스의 유형
메타버스의 특징
02 메타버스 주요 이슈
기술적 측면 : 메타버스 기기와 기술
이용자 측면 : 데이터 프라이버시와 윤리
법적 측면 : 저작권 침해, NFT 활용
03 메타버스의 미래
MZ세대가 열어갈 메타버스 시대
메타버스의 무한한 진화와 융합
메타버스 시대, 미디어 산업의 방향과 시사점
성윤택,황경호,송영아 저자가 집필한 등록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