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의 슬픔이 아름다워 나는 편지를 썼다
“슬픔에는 슬픔을 구원할 힘이 있다”
일본을 대표하는 문장가 와카마쓰 에이스케가
소중한 사람을 잃은 사람에게 보내는 열한 통의 편지
상실의 아픔을 겪고 있는 이들을 위한 공감과 위로의 책. 삶의 숙명과 같은 죽음, 슬픔, 사랑의 본질을 문학·철학적으로 고찰하고 특유의 차분하고 섬세한 문체로 풀어내 “일본에서 가장 아름다운 문장가”로 손꼽히는 와카마쓰 에이스케의 신작 에세이다. 아내를 잃은 작가의 고백을 시작으로 슬픔의 근원에 관한 깊고 단단한 사유가 편지라는 친근한 형식에 더해져 절망에 잠겨 있는 이들에게 뜨거운 공감과 위로를 전한다.
이 책의 단평을 쓴 문학평론가 조형래는 작별에 직면한 사람들의 상태를 프로이트의 ‘멜랑콜리(melancholy)’로 인용하며 그러한 멜랑콜리에 압도된 사람들에게 상실을 감당하고 삶의 일부로 받아들이는 법에 대해 조곤조곤 일러주는 “더없이 다정할 책”이라고 평했다.
죽음으로 사랑하는 사람을 떠나보낸 사람의 마음은 그 무엇으로도 형언할 길이 없다. 그러나 저자는 슬픔을 기초로 스스로를 절망이 아닌 ‘구원’으로 이끌 수 있다고 말한다. 비탄의 순간에도 꽃을 피워낸 수많은 문인, 철학자의 문장과 생애를 통해 고통 속에서 가려진 슬픔의 본래 의미를 밝힌다. 죽음이 곧 부재(不在)나 완전한 상실을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희망, 기도, 사랑, 신뢰, 위로… 그 무엇도 눈으로 볼 수 없지만 우리가 살아가는 데 없어서는 안 되는 것처럼 “슬픔은 부정적인 것이 아니라 오히려 가장 낮은 곳에서 사람을 지탱하는 힘”이라고 설명하며, “슬픔도 쌓이고 나서야 비로소 새로운 삶이 시작된다”는 내밀한 진실을 편지 안에 고이 담아 보낸다.
문학평론가. 1969년 니이가타에서 태어남. 게이오대학 문학부 불문학과 졸업. 「오키 야스오(越知保夫)와 그 시대, 구도의 문학」으로 제14회 미타문학 신인상수상. 저서로는 『이즈쓰 도시히코(井筒俊彦) 예지의 철학』, 『예지의 시학 고바야시 히데오(小林英雄)와 이즈쓰 도시히코(井筒俊彦)』(게이오대학출판회), 『영혼에 접하다 대지진과 살아 있는 사자(死者)』, 『이케다 마사코(池田晶子) 불멸의 철학』(토란스 뷰), 『요시미쓰 요시히코(吉?義彦) 시와 천사의 형이상학』, 『우치무라 간조(?村鑑三)를 읽다』(이와나미쇼텐), 『눈물방울에 씻기어 피어나는 것』(가와데쇼보신샤), 『살아 있는 철학』(문예춘추), 『영성의 철학』(가도카와선서(選書)) 등이 있다.
Ⅰ_삶과 죽음의 경계에서 마주치다
눈물 속에 파종하는 자, 기쁨 속에 수확하리니
누군가를 마음 다해 사랑하는 일
쌓여가는 슬픔
Ⅱ_내 글이 위로가 될 수 있다면
어둠 속에서 홀로 베개를 적시는 밤
슬픈 당신에게 다가오는 것
사라지지 않는 내면의 빛
그대여, 그대가 오직 진리다
Ⅲ_슬픔이 스미는 시간
보이지 않는 눈물
영혼에서 피어나는 꽃
읽고 쓰는 것이 주는 위로
Ⅳ_우리에게 축복을 내려주소서
하늘에서 온 사자(使者)
글을 마치며
단평(조형래_문학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