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지지 않는 예술, 무용이론을 말하다
이 책은 서양과 한국의 무용이론을 다양한 관점에서 심도 있게 고찰한 국내 최초의 연구서이다. 원시 시대의 석벽화와 조각, 고대의 건축물 등에 새겨진 문양을 비롯해 최초의 무용이론서인『오케소그래피(Orchesographie)』를 포함한 문헌에서 보이는 무용 및 무용이론에 관한 묘사와 기록을 토대로 서양 무용이론이 어떻게 생성되었는지 그 배경을 알아보고 무용이론의 흐름을 통시적으로 조망한다. 아울러 시대별 사회문화를 고려한 당대 철학자 및 비평가, 무용학자들의 춤에 관한 담론을 살펴봄으로써 서양 무용이론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서양 무용이론에 대한 고찰에 이어 이 책에서는 오랜 역사와 다양한 춤이 존재함에도 한국 춤의 원리나 이론, 방법론 등에 대한 체계적인 논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지적하고 한국 무용이론에 대해 자세하게 논하고 있다. 한국 춤 역사에 존재하는 최고(最古)의 이론서인 『악학궤범』을 비롯해 『정재무도홀기』, 『국조오례의』 등 다양한 문헌을 분석해 한국 전통춤의 원리와 특징을 설명한다. 또한 서구와 본격적으로 교류를 시작한 시기인 근대 지식인층에 의해 형성된 무용학적 담론이 어떤 과정을 거쳐 무용이론으로 발전하게 되었는지 살펴봄으로써 한국에서 본격적으로 무용이론이 정립되기 시작한 시기와 그 배경을 밝히고 있다.
책머리에
제1부 | 서양 춤의 이론적 담론
제1장 무용이론을 말하다 _ 신상미
1. 무용이론의 정의
2. 무용이론의 흐름
3. 무용 연구의 뉴 패러다임
제2장 중세 미로무용: 신화와 신성이 상징에 잠들다 _ 김은혜
1. 미로무용의 수평축: 신화 속에서 인생을 걷다
2. 미로무용의 수직축: 인생의 발걸음마다 신성으로 인도될지니
3. 미로무용의 시상축: 신성은 상징으로 세계에 드러난다
4. 출구를 향해서
제3장 낭만주의의 환영 _ 박성혜
1. 계몽주의를 넘어
2. 낭만주의와 발레
3. 낭만주의 발레와 평론
제4장 루돌프 폰 라반과 안무이론의 정초 _ 김재리
1. 안무 실제와 이론의 협업
2. 안무의 비(非)정의적 정의
3. 라반의 안무이론과 움직임의 언어
4. 라반 안무이론의 현재적 관점: 안무학
5. 라반 이론의 과거와 현재의 거리
제5장 비판무용학: 캘리포니아대학교 리버사이드 캠퍼스를 중심으로 _ 황혜원
1. 미국 대학 무용과의 발전과 현황
2. 캘리포니아대학교 리버사이드 캠퍼스 비판무용학
3. 비판무용학 연구의 공통점
4. 비판무용학의 연구 동향과 특징
제2부 | 한국 춤의 이론적 담론
제6장 한국 전통춤 움직임의 원리, 풍(風) _ 김영희
1. 유교 악론에서 풍과 무
2. 풍과 결부된 춤의 표현
3. 풍과 결부된 춤 움직임의 표현
4. 한국 전통춤 움직임의 원리로서 풍
제7장 조선 시대 춤이 있는 의례 _ 조경아
1. 왜 의례인가?
2. 궁중, 국가 의례의 춤
3. 관아, 지방 의례의 춤
4. 사가, 개인 의례의 춤
5. 의례 속의 춤, 그 현재적 울림
제8장 한국 근대 지식인층과 무용학적 담론의 생성 _ 유화정
1. 무용학적 담론
2. 담론의 주체: 한국 근대 지식인층
3. 한국 근대 춤문화와 지식인층의 필연적 만남
제9장 한국 창작춤, 그 혼종의 역사 _ 황희정
1. 한국 창작춤의 시작
2. 한국 창작춤 속 전통춤
3. 한국 창작춤 속 고전 발레
4. 한국 창작춤 속 현대무용
5. 한국 창작춤, 혼종에서 독창적 원리로
제10장 춤, 사회, 무용계 _ 윤지현
1. ‘한국의 무용계’라는 용어
2. 무용과 사회
3. 한국의 무용계
4. 무용사회학의 전개
5. 무용의 동시대성과 무용계
특별 담론
Theories and ‘Theory’: Considering French Court and Theatre Dance during Louis XIV’s Reign _ Linda J. Tomko
1. Some shifts and gains
2. Some applications to early 18th?century French dance
이화여자대학교 무용학연구소 편 저자가 집필한 등록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