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필드 매뉴얼
현장 전문가가 사례와 컨설팅 실전 경험으로 알려주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성공 전략
“DT = (Geek + Data) × Business”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T)이란 무엇일까? 언제부터인가 일부 기업들의 성공적인 DT 사례가 회자되면서 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전통 피자 기업인 도미노 피자가 DT 성공 사례로 꼽히면서 주가 상승률이 아마존이나 애플을 추월했고, 이제 도미노는 일개 피자 제조기업이 아니라 IT 기업으로 변환했다는 말까지 나온다. 그렇다면 DT는 과연 무엇일까? 사내 전산실을 대폭 확충하고, 개발자를 늘리고, 모든 업무 과정을 디지털화한다고 해서 DT를 이룰 수 있을까? 왜 그렇게나 많은 기업들이 어마어마한 예산을 쏟아붓는 데도 DT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것일까? 이사회를 위시한 회사 리더들은 그다지도 DT에 혈안이 되어 있는데 일선 실무자들은 왜 심드렁한가? 기존 부서와 DT 태스크포스는 왜 기름과 물처럼 따로 노는가? 과연 우리 회사의 DT는 가능하기는 한 건가?
다년간 수많은 기업 현장의 최일선에서 뛰며 DT를 진행한 두 저자는 DT에 성공하는 기업들에게서 하나의 공식을 발견했다. ‘DT=(GEEK+DATA)×BUSINESS.’ 즉, 새로운 지식과 기술로 무장한 디지털 인재인 기크(Geek)의 영입, 데이터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 두 가지가 정착되고 나서 업무 전반에 스며들 때 비로소 DT의 성공적인 연착륙이 가능하다는 얘기다.
한국의 대표적 IT 평론가로, 한겨레, 경향, 조선, 동아, 아시아경제, 미디어오늘 등 다양한 매체에 기술과 인문학을 아우르는 글을 연재해 왔고, 포털 줌에서 만평을 연재 중입니다. 서울대에서 생물학과 전산을, KAIST에서 소프트웨어를 공부했습니다. 1세대 벤처를 거쳐 IBM과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일했으며, 현재는 IT 자문 기업 에디토이 리서치 스튜디오를 설립, 앱을 출시하고 기업 자문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2012년 비트학술상 최우수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지은 책으로는 『오프라인의 귀환』, 『우리에게 IT란 무엇인가(한국과학창의재단 선정 우수과학도서)』, 『스마트워크(문화체육관광부 선정 2011년 우수학술도서)』, 『웹 이후의 세계(문화체육관광부 선정 2009년 우수교양도서)』, 『웹 2.0 경제학』, 『코드 한 줄 없는 IT 이야기(간행물윤리위원회 선정 도서, 대한민국 학술원 기초학문분야 우수학술도서)』가 있습니다.
들어가며 _ 005
01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은 무엇인가 _ 013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본질과 효과 _ 017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 게임의 룰을 만든다
_ 020
02 디지털 시대, 기업의 생존 전략
기업에 제대로 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 필요한 이유 _ 029
모든 것이 변화하는 디지털 시대 _ 037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필수 요소 _ 058
03 공식의 첫 번째 요소, 기크
기크 문화의 정착 _ 077
전통적인 인재보다 기크가 더 중요하다 _ 081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주역인 기크 _ 087
04 공식의 두 번째 요소, 데이터
데이터로 완성하는 폐쇄 루프 _ 103
기업이 데이터에 집중해야 하는 이유 _ 107
기업의 데이터 활용 방법 _ 111
05 데이터가 만드는 데이터 드리븐 경영
데이터 드리븐 경영을 위한 사전 과제 _ 161
고객을 디지털로 이해하기 _ 177
데이터 드리븐 경영 구동하기 _ 195
06 디지털 조직 설계하기
미래 기업의 핵심 부서, 디지털 직군 _ 213
디지털 조직의 성장 방법 _ 228
디지털 조직으로 성장 시 고려 사항 _ 231
디지털 직군 평가하기 _ 249
07 디지털 기업으로의 도약
도약을 위한 준비 _ 267
추진을 위한 디지털 전담 조직 설계 _ 289
디지털 제품 수립하기 _ 299
애자일 전환으로 나아가기 _ 306
성공적인 디지털 기업으로 도약하기 _ 318
나가며 _ 조직과 우리 모두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위해 _ 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