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툰 비즈니스 딜레마
웹툰 생태계는 아이피(IP, Intellectual Property) 공장이다. 이야기 산업의 원천 데이터 활용부터 애니메이션, 영화, 드라마 제작까지 아이피 세계관은 확장되고 있다. 웹툰 비즈니스에서 아이피의 원천 데이터를 더욱 신속하고 대량으로 구매하기 위한 경쟁은 전쟁을 방불케 한다. 나아가 유료 결제 모델의 개발과 스튜디오 시스템의 진화 등을 통해 독자층의 다변화와 수익 극대화를 꾀하고 있다. 웹툰 비즈니스는 팬데믹 이후 전 세계적으로 증가한 콘텐츠 소비 시간과 표준화된 서비스 기준을 바탕으로 글로컬 시장으로 확장되고 있다. 웹툰 산업을 관통하는 10개의 딜레마를 살펴보고 발전 방향을 제시한다.
세종대학교 만화애니메이션학과 교수 및 융합콘텐츠산업연구소 소장이며, (사)한국애니메이션학회 학술지 ≪애니메이션연구≫ 편집위원장, (재)한국만화영상진흥원 이사, (재)전남문화산업진흥원 이사, 전라남도 문화산업정책특별보좌관, 부천시의회 의정자문위원, 한국콘텐츠진흥원 정책자문위원, 방송통신위원회 국내제작애니메이션 인정자문위원회 위원, 문화체육관광부 애니메이션진흥 산업협의회 위원 등을 맡고 있다.
저서로는 『한국만화산업연구』(1996), 『애니메이션경제학』(1998), 『저패니메이션과 디즈니메이션의 영상전략』(2001), 『애니메이션 용어사전』(2002, 공저), 『만화에 빠진 아이, 만화로 가르쳐라』(2008), 『만화』(2012, 공저)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애니메이션 제작기법의 모든 것』(1999), 『존 할라스의 유럽 애니메이션 이야기』(1999), 『애니마톨로지: 애니메이션 이론의 이해와 적용』(2001, 공역), 『움직임의 미학: 애니메이션의 이론·역사·논쟁』(2001, 공역), 『21세기 애니메이션의 혁명가들』(2003, 공역),『저패니메이션 하드코어』(2004, 공역),『애니메이션 시나리오』(2009, 공역), 『얼굴표정』(2010, 공역),등이 있다.
스킨십 비즈니스와 이현세 키즈의 약진
01 댓글과 팬덤의 딜레마
02 아이피 오픈 마켓과 진입 장벽의 딜레마
03 장르 실험과 장르 편향성의 딜레마
04 비즈니스 모델의 딜레마
05 연재 분량의 양극화와 스타 시스템의 딜레마
06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딜레마
07 에이전시 및 스튜디오 시스템의 딜레마
08 기술 융합형 창작 소프트웨어의 딜레마
09 불법 복제 플랫폼의 딜레마
10 중국 웹툰의 도전과 일본 시장의 패러독스
한창완 저자가 집필한 등록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