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네상스 창조 경영
삼성그룹의 이건희 전 회장이 1994년 공무원 특강에서 "21세기에는 한 명의 천재가 10 만 명을 먹여 살릴 것이다"라는 창조경영의 기치를 내걸었다. 그 이후부터 이 슬로건은 한 글로벌 기업의 미래 경영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경제의 미래 생존 전략으로까지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동안 여러 각도에서 창조경영에 관한 논의가 전개되어왔음에도, 그 개념 정의나 실체 규명은 명확하지 않은 상태다. 기업혁신이론의 재탕이라고 보는 다소 비판적인 견해도 있고, 마케팅과 신상품 개발 분야에서 새롭게 등장한 개념이라고 보는 사람도 있다. 결국 '창조적 인물'의 문제이므로 뛰어난 인재를 개발하고 활용하는 인사의 한 분야로 보는 경영자도 있다. 또한 '창조성'이라는 개념 자체가 시스템화 하기 불가능한 것이기 때문에 실제 경영 현장에서 창조경영이 유기적으로 응용되기가 쉽지 않다. 과연 이러한 현실에서 어떻게 창조경영의 개념을 규명하고, 나아가 기업 경영에의 도입을 실천할 수 있을까?
21세기 창조경영,
르네상스 시대에서 해답을 찾다!
인류 역사에서 "창조성"이라는 단어가 시대정신과 결부되고, 천재들의 창조적 영감이 활화산처럼 분출하여 동시대의 사람들로 하여금 새로운 문명 건설을 가능케 했던 역동적인 시대가 존재했다. 아마도 5000년 인류 역사 가운데 가장 강렬한 "창조성"의 기운이 분출되었던 시기는 누가 뭐래도14세기부터 16세기까지 이탈리아와 유럽 전역에서 발생했던 르네상스 시대일 것이다. 100년에 한번 나올까 말까 한 천재들이 4~5년 단위로 줄줄이 태어나서 문학과 예술과 과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창출한 시기였다.
최근 르네상스 시대에서 창조경영의 해답을 이끌어낸, 창조경영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시도한 책이 출간되어 주목 받고 있다. 『르네상스 창조경영(최선미, 김상근 지음 | 21세기북스)』은 '창조경영'의 실체를 르네상스 거장들의 천재적인 작품을 통해 관찰하고, 이를 실제 경영의 차원에서 응용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제시한다. 경영학자와 신학자가 함께 쓴 이 책은 인문예술과 경영의 통합적인 관점에서 분석하는데, 르네상스 예술의 천재성에서 창조성 진작의 모티브를 확보한 다음, 구체적인 사례 및 전문 연구와 결합시켜 경영 현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책은 창조적인 열정과 획기적인 사고의 모범이 되었던 르네상스 천재들의 삶과 그들의 깨달음을 통해 그들에게 공통적으로 존재했던 창조적 사고의 모형을 10가지로 분석한다. 경영자뿐 아니라 미래의 CEO를 꿈꾸는 모든 이들에게 창조성을 키울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면서 새로운 경영의 시대를 열도록 돕는다. 저자는 경영자나 관리자 자신이 창조경영의 주체로서 창의적인 아이디어맨이 되어야 함과 동시에, 회사 내 직원들의 창조성을 진작시키는 관리적 차원의 창조경영도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지금까지 출간된 창조경영에 대한 책들은 대부분 심리학이나 역사, 혹은 성공적인 기업 사례를 중심으로 접근해나갔다. 반면 이 책은 수많은 천재와 거장들이 탄생하여 중세의 암흑을 걷어내고 인류의 근대를 개막시켰던 르네상스 시대를 중심으로 "천재적 영감"의 특징과 경영학적 응용을 도출한다는 데서 차별성을 가진다.
여는 글: 창조경영의 열쇠, 르네상스 거장들에게서 찾다
01. 사물의 본질을 파악하라
- 마사초의 작품 앞에서 선 소년 미켈란젤로
02. 현실을 뛰어넘는 상상력으로 무장하라
-「광인들이 탄 배」에 함께 탄 시대의 천재
03. 고정관념을 해체하라
-「붉은 터번을 한 남자」가 보여준 '새로운 것'
04. 천재들의 창조력을 후원하라
- 메디치 가문, 르네상스 시대의 황금기를 열다
05. 열정적으로 모방하라
- 천하의 미켈란젤로도 「라오콘」을 보고 배웠다
06. 공공의 선을 위해 경쟁하라
- 시대를 초월한 경쟁, 미켈란젤로 vs 엘 그레코
07. 창의적 인재를 발견하라
- 엘 그레코를 놓친 펠리페 2세
08. 다양성을 인정하라
- 베네치아를 이끈 개방적인 사고와 문화
09. 몰입의 환경을 구축하라
- 조각가가 완성한「시스티나 예배당의 천장벽화」
10. 적절한 여가와 보상이 필요하다
- 창조적 게으름을 즐긴 르네상스 천재들
맺는 글: 창조경영을 실현하는 10가지 방법
감사의 글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