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드라이닝
신문 제목은 어떻게 달아야 하는가
쉽고 정확한 제목 달기에 대한 탐구와 노력
현직 편집기자의 쉽고 정확한 제목 달기에 대한 탐구와 노력을 담은 책. 편집기자들이 반드시 읽어야 할 책으로, 신문 제목은 어떻게 달아야 하는가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1장. 제목은 입말, 제목달기는 선택
1. 제목은 말이다
2. 제목달기는 선택이다
2장. 기사는 스트레이트와 박스만 고려
1. 스트레이트와 박스기사 어떻게 다른가
2. 스트레이트와 박스제목 어떻게 다른가
3. 기타
3장. 쉽게 제목달기 기본 원칙
1. 문장론 : 제목 형태에 대한 기본개념
1) 제목은 문장이다
2. 주요지론:큰 제목 어떻게 달 것인가
1) 주요지를 잡아라
2) 단수에 맞는 큰 제목을
3) 단수에 따라 들어가는 말 다르다
3. 육하원칙론:작은 제목 어떻게 달 것인가
1) 육하원칙론
2) 육하원칙론 예 ①
3) 육하원칙론 예 ②
4) 육하원칙론 예 ③
4. 결국엔 기사대로
1) 기사대로
2) ‘아’ 다르고 ‘어’ 달라
4장. 쉽게 제목달기 구체적인 방법
1. 독자처럼 생각한다는 것
1) 제목달기 알고리즘
2) 제목 달 때 지켜야 할 짧은 준칙
2. 큰 제목의 내용 어떻게 할 것인가
1) 질러가라
2) 첫줄에서 완전한 메시지를
3) 쉽고 적확하게
4) 구체적일 것
5) 단수에 따라 내용 달리해야
6) 단수에 따라 톤 다르게
7) 시류에 맞게
8) 기타
3. 큰 제목의 형태 어떻게 할 것인가
1) 기본 어법 지켜라
2) 하나에 집중하라
3) 독립된 정보 가져야
4) 문패 있더라도 큰 제목에 독립된 정보 가져야
5) 두줄제목, 적절히 활용을
6) 기타
4. 무엇이 큰 제목 거리인가 스트레이트기사에서
1) 무엇이 큰 제목거리인가
2) 기타
5. 무엇이 큰 제목거리인가 박스기사에서
1) 박스제목 어떻게 달 것인가
2) 박스는 박스성격에 따른 제목이어야
3) 박스제목 낯설게 하기
4) 낯설게, 도발적이게
5) 기획 박스제목 어떻게 달 것인가
6) 박스제목 달 때도 기사를 주시하라
7) 박스성 스트레이트 제목은
6. 작은 제목 어떻게 달 것인가
1) 큰 제목과 작은 제목의 연관성
2) 작은 제목, 큰 제목과 상응하게
3) 두줄 작은 제목의 상하위치는
4) ‘자기 만족식’ 제목 때문에 작은 제목을 그르친 사례
5장. 깨뜨려야 할 편견
1. 좋은 편집기자가 되려면
1) 깨뜨려야 할 제목달기 편견
2) 독자입장에서 제목달기
3) 회사임을 분명히 할 땐 ‘社’를 넣어라
4) (주)○○는 회사명
5) 제목을 달고 읽어볼 것
6) 꼭 필요한 어휘 빠뜨린 예
7) 이런 제목은 외워 둬
8) ‘…’와 ‘, ’의 용법
글을 쓰고 나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