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지금은 대학교육 혁신으로 지역사회를 깨울 때

지금은 대학교육 혁신으로 지역사회를 깨울 때

저자
전상길.권혁남 지음
출판사
한경사
출판일
2025-02-27
등록일
2025-04-03
파일포맷
PDF
파일크기
35MB
공급사
알라딘
지원기기
PC PHONE TABLET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현황
  • 보유 1
  • 대출 0
  • 예약 0

책소개

어떻게 하면 대학교육의 혁신을 통해 지역사회의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을까? 우리는 오랫동안 대학교육의 혁신을 통해 지역사회의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논의를 지속해왔지만, 구체적인 방법론을 명확히 제시한 사례는 많지 않았다. 그러나 한양대학교 ERICA 캠퍼스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산학협력 중심 대학으로서, 2016년부터 산학연계형 IC-PBL(Industry-Coupled Problem-Based Learning) 방법론을 도입해 국내외 기업과 지역사회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해 왔다.
본서의 산학연계형 IC-PBL 방법론은 크게 두 가지 핵심 요소로 구성된다. 첫째는 저자가 개발한 IC-PBL 6단계 순환 모형이다. 이 모형은 지역사회의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는 전 과정을 아우르며, 심리학, 철학, 문학적 배경과 함께 국내외의 다양하고 역동적인 사례들이 녹아 있어 학습 과정이 흥미롭고 효과적이다. 둘째는 RTM(Round Tour Method)과 ALP(Accumulated Learning Process)이다. 이는 팀 기반의 적극적인 수업 참여 방법론으로, 모든 학생이 문제 해결 과정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본서는 이러한 방법론을 바탕으로 새솔 다이아몬드㈜, 파크시스템스㈜, 휴림로봇 등의 지역기업과 안산산업박물관, 남가주 한인기업, 경찰청 등의 지역사회가 직면한 문제를 해결한 실제 사례들을 소개하였다.
현재 한국 경제는 저성장의 장기화로 인해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으며, 기존의 지식 전달형 교육 패러다임만으로는 한계를 극복하기 어렵다. 본서는 산학연계형 IC-PBL을 활용하여 지역기업과 지역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그 과정에서 새로운 지식을 창출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론을 제시한다. 이러한 혁신적 교육 방식을 전국적으로 확산하는 과정에서 ‘교육 혁신을 통한 경제 회복(E2E: Education to Economy)’이라는 의미 있는 플랫폼 역할을 수행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통해 학생들이 창의력, 소통 능력, 협업 능력, 문제 조정 능력, 표현 및 전달 능력 등 다양한 리더십 역량을 키울 수 있다는 점도 중요한 발견이다.
마침 우리 정부는 대학을 지역혁신의 핵심 주체로 설정하고, 지자체 중심의 ‘지역혁신 중심 대학 지원 체계(RISE: Regional Innovation System & Education)’를 마련하였다. 본서는 일반적인 문제해결형 수업을 담당하는 교수와 강사는 물론, RISE 사업을 준비하는 모든 대학 관계자들에게 유용한 참고서가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저자들은 이렇게 강조한다. “제발 학생들에게 강의(講義)하지 말고, 강의(强疑)하게 해주세요!” 즉, 단순한 지식 전달을 넘어 학생들이 스스로 질문하고 탐구하며 성장할 수 있는 교육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출판사동일
저자동일

QUICKSERVICE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