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은 대학교육 혁신으로 지역사회를 깨울 때
어떻게 하면 대학교육의 혁신을 통해 지역사회의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을까? 우리는 오랫동안 대학교육의 혁신을 통해 지역사회의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논의를 지속해왔지만, 구체적인 방법론을 명확히 제시한 사례는 많지 않았다. 그러나 한양대학교 ERICA 캠퍼스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산학협력 중심 대학으로서, 2016년부터 산학연계형 IC-PBL(Industry-Coupled Problem-Based Learning) 방법론을 도입해 국내외 기업과 지역사회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해 왔다.
본서의 산학연계형 IC-PBL 방법론은 크게 두 가지 핵심 요소로 구성된다. 첫째는 저자가 개발한 IC-PBL 6단계 순환 모형이다. 이 모형은 지역사회의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는 전 과정을 아우르며, 심리학, 철학, 문학적 배경과 함께 국내외의 다양하고 역동적인 사례들이 녹아 있어 학습 과정이 흥미롭고 효과적이다. 둘째는 RTM(Round Tour Method)과 ALP(Accumulated Learning Process)이다. 이는 팀 기반의 적극적인 수업 참여 방법론으로, 모든 학생이 문제 해결 과정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본서는 이러한 방법론을 바탕으로 새솔 다이아몬드㈜, 파크시스템스㈜, 휴림로봇 등의 지역기업과 안산산업박물관, 남가주 한인기업, 경찰청 등의 지역사회가 직면한 문제를 해결한 실제 사례들을 소개하였다.
현재 한국 경제는 저성장의 장기화로 인해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으며, 기존의 지식 전달형 교육 패러다임만으로는 한계를 극복하기 어렵다. 본서는 산학연계형 IC-PBL을 활용하여 지역기업과 지역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그 과정에서 새로운 지식을 창출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론을 제시한다. 이러한 혁신적 교육 방식을 전국적으로 확산하는 과정에서 ‘교육 혁신을 통한 경제 회복(E2E: Education to Economy)’이라는 의미 있는 플랫폼 역할을 수행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통해 학생들이 창의력, 소통 능력, 협업 능력, 문제 조정 능력, 표현 및 전달 능력 등 다양한 리더십 역량을 키울 수 있다는 점도 중요한 발견이다.
마침 우리 정부는 대학을 지역혁신의 핵심 주체로 설정하고, 지자체 중심의 ‘지역혁신 중심 대학 지원 체계(RISE: Regional Innovation System & Education)’를 마련하였다. 본서는 일반적인 문제해결형 수업을 담당하는 교수와 강사는 물론, RISE 사업을 준비하는 모든 대학 관계자들에게 유용한 참고서가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저자들은 이렇게 강조한다. “제발 학생들에게 강의(講義)하지 말고, 강의(强疑)하게 해주세요!” 즉, 단순한 지식 전달을 넘어 학생들이 스스로 질문하고 탐구하며 성장할 수 있는 교육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경영학계와 비즈니스 현장을 위해 혁신적인 창조인재 교육방식을 개발해 이식시키는 최고의 인사/조직 멘토. 고려대학교 경영대학과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현재 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 경상대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SK텔레콤 전략기획실 선임연구원, 캐나다 빅토리아대학교 경영대학 초빙 및 방문교수를 지냈으며, LG연암재단의 Research Fellow, 한국연구재단 전문위원, 제주연구원의 연구자문위원과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장과 Aon Hewitt Korea의 <Best Employer in Korea> 심사위원장을 역임하였다. 또 인사혁신처 및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자문위원, 대통령국정과제평가위원, 산업통상자원부 사업재편심의위원, 국가연구개발사업심의위원을 역임하였고, 또 국가과학기술연구회과 경제인문사회연구회의 경영평가위원으로 활동하였다. 현재는 한국인사관리학회장, 한국경영학회 부회장 및 뉴로경영위원장을 맡고 있다. 또 벨기에 겐트대학교 글로벌캠퍼스와 연암대학교의 운영위원, 미국 캘리포니아주 오렌지카운티 한인상공회의소 경영자문위원과 마이다스 자인연구소 경영고문, 공무원연금공단 자문위원, 광해관리공단 인권위원, 파크시스템스(주)의 사외이사로도 활동하고 있다. 대표저서로는 <창조경영을 위한 인적자원관리, 길을 묻다>와 2024년 세종도서 교양부문에 선정된 공저<실패하는 비즈니스에는 이유가 있다>가 있으며 60편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2024년에는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과 한국경영학회가 수여하는 우수경영학자상을 수상하기도 하였다.
"
저자 소개
추천의 글
책을 내며
1장우리는 왜 이 책을 쓰게 되었는가
1.1 최근의 대학교육의 위기를 다룬 두 기사
1.2 한국의 대학교육 위기의 본질은 무엇인가
1.3 대학교육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 무엇을 우선적으로 준비해야 하는가
1.4 스킬 갭을 줄이기 위한 한국 대학교육혁신의 방향
2장IC-PBL의 6단계 순환모형
2.1 IC-PBL 순환모형의 개관
2.2 IC-PBL의 네 가지 유형
2.3 IC-PBL 6단계 순환모형의 진화과정과 개념적 틀
3장IC-PBL 6단계 순환모형의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
3.1 Phase 0: 경쟁적인 마인드 세팅 조성
3.2 Phase 1: 문제 상황 제시
3.3 Phase 2: 사전 학습(개별 학습)
3.4 Phase 3: 창조적 문제해결(집단 학습)
3.5 Phase 4: 결과발표 및 평가(사회적 학습)
3.6 Phase 5: 성찰 학습
4장산학연계형 PBL(IC-PBL)의 혁신성과
4.1 학생들의 고용가능성을 높인다
4.2 산업컨설턴트로서의 자질을 함양하게 된다
4.3 해외 한인기업들에 대한 경영컨설팅 제공
4.4 공공부문에 대한 교육도 IC-PBL로 진행하다
4.5 IC-PBL은 지식재산권 창출의 일등공신이다
5장한양대 에리카 산학연계형 PBL(IC-PBL)의 산업적 의미와 미래 비전: E2E 전략
5.1 산학연계형 PBL(IC-PBL)의 산업적 의미
5.2 한양대 에리카 산학연계형 PBL(IC-PBL)의 미래비전
부록
[연습]의 해답
개념융합을 위한 미니 단어사전
인용된 명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