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시민성 교육 - 기억에서 연결의 시대로
이 책은 ‘기억’의 시대에서 ‘연결’의 시대로 변화하고 있는 디지털 시대에 시민성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저자는 기존의 시민성과 차별화된 디지털 시민성의 속성으로 ‘도덕성’, ‘합리성’, ‘실천성’을 제시한다. 디지털 시대에서의 ‘도덕성’은 결과에 대한 책임뿐만 아니라 과정에 대한 책임도 포함한다. 과정에 대한 책임은 내가 왜 이러한 판단과 결정을 내렸는지에 대해 다른 사람에게 설득력 있는 이유를 제시할 수 있는 ‘설명 책임(accountability)’을 의미한다. 인공지능 알고리즘이 사회의 전반에 적용되는 오늘날 이러한 설명 책임은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된다. 또한 인간은 학습의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편향성을 가지는 존재이며 이러한 편향성은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의해 더욱 고착화되는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따라서 자신의 편향성을 인식하고 이를 최소화하려는 ‘유연한 편향성’ 역시 ‘도덕성’의 한 부분이다. ‘합리성’은 ‘기억과 연결(connection)’의 속성을 포함한다. 오늘날 우리는 지식과 정보는 폭발적으로 증가하지만, 반감기는 점차 단축되는 시대에 살고 있다. 따라서 정형적 지식을 기억하기보다는 네트워크 기반의 외뇌(exo-brain)를 활용하여 필요할 때마다 필요한 정보와 지식을 수집하고 연결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이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실천성’은 ‘적극적 참여’를 의미한다. 디지털 사회는 전통적인 사회에서보다 공동체 구성원들이 복잡하게 연결되는 양상을 보이며, 다양한 정보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진영 안에 함몰된 소통으로 극단적인 충돌이 야기되기도 한다. 따라서 디지털 사회의 시민은 구성원은 구성원 사이의 연결을 통해 사태를 파악하고 재구성하며 이를 바탕으로 실천으로 나아가야 한다.
본 책은 디지털 시대의 이러한 세 가지 시민성의 속성을 바탕으로 디지털 시민성 교육이 나아갈 방향과 실제 교육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현장 연구 사례를 상세히 제시하고 있다. 이론과 실제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실제 수업 현장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PART 01 디지털 시민성
Chapter 01. 디지털 시대의 시민
Ⅰ. 문제 제기
Ⅱ. 21세기 디지털 시민성의 연구 경향
Ⅲ. 디지털 시대의 시민성 탐색
Ⅳ. 맺음말
Chapter 02. 디지털 네트워크 시대의 디지털 시민성
Ⅰ. 문제 제기
Ⅱ. 디지털 사회의 단면
Ⅲ. 디지털 위기사회와 인간의 자유의지
Ⅳ. 시민으로서 인간은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
Ⅴ. 맺음말
Chapter 03. 디지털 시민성을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의 개념과 성격
Ⅰ. 문제 제기
Ⅱ. 디지털 리터러시의 의미와 필요성
Ⅲ. 맺음말
Chapter 04. 디지털 위험 사회 고찰
Ⅰ. 문제 제기
Ⅱ. 디지털 사회의 문제
Ⅲ. 21세기 위험 사회의 시민적 자질
Ⅳ. 맺음말
Chapter 05. 디지털 시민성으로서 책임
Ⅰ. 문제 제기
Ⅱ. 디지털 시민성과 책임의 명료화
Ⅲ. 디지털 시민성의 도덕적 속성으로서 책임
Ⅳ. 맺음말
Chapter 06. 인간과 AI의 ‘생각하기’
Ⅰ. 사고의 도전
Ⅱ. 인공지능을 바라보는 시민의 관점과 인공지능의 본질
Ⅲ. 인공지능에 대한 사회과교육의 관점
Ⅳ. 맺음말
Chapter 07. AI 쇼크와 시민교육의 과제
Ⅰ. AI시대의 도래
Ⅱ. 제4차 산업혁명 시대와 인공지능(AI)
Ⅲ. AI쇼크와 시민교육의 방향
Ⅳ. 맺음말
Chapter 08. AI 편향 시대에 시민의 자질
Ⅰ. AI 편향에 노출되는 시민
Ⅱ. AI 편향 이슈
Ⅲ. 왜 편향하는가?
Ⅳ. AI 편향의 필연성과 시민의 자질
Ⅴ. 맺음말
Chapter 09. 디지털 시대 융합 교육
Ⅰ. 문제 제기
Ⅱ. 미래 사회의 새로운 시민성
Ⅲ. 새로운 시민성을 위한 지식의 융합
Ⅳ. 맺음말
PART 02 수업 모델링과 현장 연구 사례
Chapter 10. AI 편향 시대에 유연한 편향성 함양 수업 모델링
Ⅰ. 편향의 필연성
Ⅱ. AI 편향에 대비한 유연한 편향성 함양수업의 원리
Ⅲ. 수업 모델링
Ⅳ. 교육적 시사점
Chapter 11. AI 의사결정트리 알고리즘 기반 수업 모델링
Ⅰ. AI 의사결정트리 알고리즘 학습의 필요성
Ⅱ. 이론 연구
Ⅲ. 수업 모델링
Ⅳ. 교육적 시사점
Chapter 12. 디지털 연결학습 수업 모델링과 적용 사례
Ⅰ. 디지털 연결학습의 필요성
Ⅱ. 연결학습의 원리
Ⅲ. 수업 모델링
Ⅳ. 수업 실행 및 분석
Ⅴ. 교육적 시사점
Chapter 13. 연결학습 기반 교재 개발의 적용 사례
Ⅰ. 연결 기반 학습의 필요성
Ⅱ. 이론 연구
Ⅲ. 소프트 지식 기반 사회과 교재 개발 전략
Ⅳ. 소프트 지식 기반 교재 구성 전략을 반영한 교재
Ⅴ. 교육적 시사점
Chapter 14. K-평균 군집화 알고리즘 기반 수업 적용 사례
Ⅰ. K-평균 군집화 알고리즘 학습의 필요성
Ⅱ. 이론 연구(K-평균 군집화 알고리즘)
Ⅲ. 수업 모델링
Ⅳ. 교육적 시사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