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사회와 매스미디어 - 매스커뮤니케이션 교양강좌
현대사회의 미디어 기술과 정책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는 대학 교양과정 학생들을 위한 개론서.
사회화의 요체로서 미디어 환경의 변화원인은 바로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발달 때문이다. 그러나 오늘날 정보와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급격한 발달은 우리가 우리 스스로를 '자연적 존재'로서 그리고 '문화적 존재'로서 인식하고 기술응용의 한계와 인간과 사회친화적인 정책과제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게 하고 있다. 특히 정보화와 미디어화가 촉진되면 될수록 중요한 사회적 이성의 요체인 '경험'과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더욱 위협받게 된다.
인간은 사실적인 '경험'을 통해서 생기있고 생동감있는 환경에 능동적으로 조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되고, 또한 통치권에 대해서 비판하고 부정할 수 있는 능력으로서 '커뮤니케이션 권한'을 취할 수 있는 권리를 갖는다. 그러나 인간적인 상호작용의 기회와 정보적인 권한은 특히 광역대 통신망을 통한 영상중계의 단계에서는 한번도 현장에 있어보지 않고도 공간 - 시간 - 관통적인 통제가능성들을 열어놓음으로써 제한되고 박탈되고 만다.
20세기에 들어와서 매스미디어는 가장 중요한 사회화의 장이 되어 현대사회의 매스 커뮤니케이션 현상에 대한 이해는 커뮤니케이션 전공자뿐만 아니라 모든 동시대인들에게 요구되고 있다. 이 책은 급속한 매체환경의 변화와 위성방송, CATV정책이 겪고 있는 현실을 담기 위해서 새로운 통계자료들이나 매체정책의 내용들을 수정하여 내놓은 세번째 개정판이다.
* 중앙대 신문학과 졸업
* 독일 koln대, Bochum대 수학
* Munster대 철학박사(신문학 전공)
* 중앙대 신문방송대학원 원장
* 한국언론학회장
* 현재 중앙대 정경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 저서
- Community-Development durcb Selbstbifegruppen
- <커뮤니케이션 사회학>
- <매스미디어 효과이론>, <출판사회학>
- <커뮤니케이션 과학>, <독서와 출판문화론>(공저)
ㆍ제3판을 내면서
제 1 장 커뮤니케이션의 이해
1. 커뮤니케이션의 성립조건
2. 커뮤니케이션의 유형
3. 매스 커뮤니케이션의 이해
제 2 장 커뮤니케이션의 연구체계
1. 연대별 커뮤니케이션 모형의 비교
2. 라스웰 모형의 기능적 고찰
3. 라스웰 모형의 확대
4. 라스웰 모형과 상업주의적 커뮤니케이션 연구
제 3 장 매스 커뮤니케이션의 사회적 기능
1. 문화적 기능
2. 사회적 기능
3. 정치적 기능
4. 경제적 기능
5. 정보전달 기능
제 4 장 매스미디어의 유형과 매체적 특성
1. 서 론
2. 대중매체의 발전과정
3. 대중매체의 유형과 종류
4. 대중매체의 일반적 특성 Michael W.Gamble&Teri Kwal Gamble, op.cit., pp.9~12.
5. 대중매체의 개별적 특성
제 5 장 신문의 제작과 편집과정
1. 신문의 개요
2. 신문의 취재과정
3. 신문의 기사 작성
4. 제목(headline)과 전문(lead)
5. 신문 편집의 과정
6. CTS 제작
7. 신문형태의 변화
제 6 장 텔레비전과 라디오의 매체적 특성
1. 텔레비전의 매체 특성과 기능
2. 텔레비전 시청행위와 사회화
3.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유형과 다양화 경향
4. 텔레비전 프로그램 편성의 경향과 제작구조
5. 라디오 시대의 TV와 TV시대의 라디오
6. 라디오의 특성과 프로그램 포맷의 변화
7. 텔레비전/라디오 문화와 대중문화의 흐름
제 7 장 매스미디어와 광고
1. 광고의 개념 및 유형
2. 매스미디어와 광고
3. 세계의 광고산업 현황
4. 한국 광고산업 현황
5. 광고의 사회적 영향력
제 8 장 정보사회와 뉴미디어
1. 정보사회의 기본 이해
2. 정보사회의 전개와 뉴미디어
3. 신정보기술의 발달과 멀티미디어
4. 멀티미디어가 언론환경에 미치는 영향
5. 매체구조의 변화와 사회적 영향
6. 정보사회의 전망과 문제점
제 9 장 케이블 TV와 위성방송
1. 케이블 TV에 대한 이해
2. 케이블 TV의 현황
3. 케이블 TV의 경제적 측면과 편성
4. 외국의 케이블 TV
5. 위성방송에 대한 이해
6. 위성방송 채널분배와 편성 방안
7. 외국의 위성방송
8. 전파월경과 대응방안
제 10 장 매체산업과 집중화
1. 매체산업의 성격
2. 세계적 매체산업
3. 한국 매체산업의 집중화
4. 90년대 매체산업의 전망
제 11 장 다매체 경쟁시대의 지역언론
1. 지역언론을 보는 시각
2. 지역언론의 실태와 문제
3. 지방지의 실태와 문제점
4. 지역방송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
제 12 장 매스미디어와 미디어교육
1. 미디어교육의 필요성
2. 미디어교육의 개념 및 내용
3. 미디어교육의 실행형태
4. 세계 각국의 미디어교육
5. 한국에서의 미디어교육
6. 독서교육의 형태로서 신문교육
ㆍ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