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보도의 실제
저자가 풍부한 취재경험과 연구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저술한 기자의 취재조건ㆍ취재원 개발과 이용, 기사작성, 기사의 가치 판단 등 취재보도의 실무 지침서. 또한 언론과 기자의 취재 활동 등에 대한 독자들의 이해를 높여 독자와 언론의 간격을 좁혀 보려는 의도에서 씌어진 책이다.
그 결과 제1장 '기자의 자질' 부분에 여러 가지를 보탰고, 제3장 '기사의 기본요소' 부분에도 '형태적 구성요소'와 '내용적 구성요소'를 추가했다. 가르치고 읽는 이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이다. 제6장 '뉴스 기사의 구성'과 제8장 '기사 작성기법'을 합쳐 제4장 '기사작성 기법'으로 한 장에 묶었고, 기사 구조모형 4개도 추가했다. 제4장 '취재보도의 실제'와 제5장 '취재원의 개발과 이용'은 제6장과 제7장으로 물렸다.
제7장에 '취재의 관행'을 보태서 상술했다. 제8장 '머리 문장(리드) 작성기법'에 '머리 문장 작성요령'을 추가했고, 제8장에 '의견이 있는 기사'를 새로 썼다. 제11장 '사건기자' 부분도 현실에 맞게 고쳐 썼다. 제12장 '편집의 원론과 실제'에 가로쓰기 편집과 컴퓨터 편집(CTS) 등을 추가 상술했으며 개정판의 제10장 중 '정당취재의 실제'와 제13장 '언론의 자율과 책임과 윤리' 부분은 삭제했다.
이 책을 쓰게 된 첫번째 동기와 목적은 신문과 방송에서 견습기자나 연조가 짧은 기자들이 유능한 기자로 대성할 수 있도록 길잡이 역할을 해보자는 것이다. 나의 경험으로 미뤄 말한다면 기자라는 직업은 타고난 재주, 즉 자질과 적성에 의해서만 유능과 무능이 판가름날 정도로 특별한 재능을 요구하는 특수 전문직업 분야라고 할 수는 없다. 오히려 기초훈련을 잘 받았다면 노력하는 기자가, 재능만 믿고 게으름 피우는 기자보다 대성하는 경우가 훨씬 많다는 것이 경험론에 입각한 나의 소신이다. 따라서 초년 기자시절에 기초훈련을 잘 받았느냐 그렇지 않으냐의 여부가 한 기자의 일생을 좌우하리만큼 중요한 일이며, 그 중요한 역할의 한몫을 해보자는 것이 이 책을 기획한 첫번째 동기이며 주된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저술의 두번째 목적은 신문기자들이 취재를 하고 기사를 작성해서, 신문 지면에 기사가 보도되기까지의 과정, 더 정확히 말한다면, 신문지면 제작의 메커니즘을 독자에게 가능한 한 자세히 보여줌으로써 언론에 관한 독자들의 이해를 높여 보자는 것이었다.
충남 천안 출생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업
미국 Univ.of Southern California 대학원 수학
한국일보 견습기자로 입사하여 사회부 기자, 사회부장, 논설위원, 편집위원(기명칼럼<메아리>, <일요시론> 집필)역임
현재 한국일보 논설위원
국무총리 직속 중앙교원지위향상심의위원
서울시 감사자문위원
한국교총 중앙교육심의위원(대학분과)
대통령 직속 교육개혁위원회 위원
저서:
<사이공 함락 그후>
<교육개혁의 논리>
<취재보도의 실제>
<한국교육의 선택>
개정ㆍ증보 10판을 내면서
머리말
제 1 장 ┃ 기자의 자질
1. 기자의 자질
2. 기자라는 직업
3. 사회부
4. 사 례
제 2 장 ┃ 무엇이 기사인가
1. 신문의 역사와 뉴스
2. 뉴스의 가치
3. 뉴스 가치의 상대성
제 3 장 ┃ 기사의 기본요소
1. 기사의 필수 요건
2. 기사의 구성요소
제 4 장 ┃ 기사 작성 기법
1. 쓰기 전에 할 일
2. 기사 작성기법
제 5 장 ┃ 머리 문장(리드, lead)
1. 머리문장(리드)의 유형
2. 머리문장 작성요령
제 6 장 ┃ 취재의 실제
1. 취재의 유형
2. 취재의 실제
제 7 장 ┃ 취재원의 개발과 이용
1. 인적 취재원
2. 물적 취재원
3. 취재원의 활용
4. 4개의 사례
5. 취재보도의 관행
제 8 장 ┃ 의견이 있는 기사(사설ㆍ해설기사)
1. 사설기사=논설
2. 해설기사
제 9 장 ┃ 읽을거리 기사와 방송기사
1. 읽을거리 기사
2. 방송 기사
3. 특집 기획 기사
제 10 장 ┃ 사건기자
1. 경찰 출입 기자
2. 법조 출입 기자
3. 외신 야근기자 25시
제 11 장 ┃ 인터뷰의 요령
1. 인터뷰의 유형
2. 일반적인 관례
3. 질문의 과정
4. 질문의 방법
제 12 장 ┃ 편집의 원론과 실제
1. 편집의 원론
2. 편집의 실제
제 13 장 ┃ 일선기자들의 취재 실화
1. '평소의 따뜻한 위로의 말 한마디가'
2. 한국판 모리나가 사건
3. 평소의 의리로 엮은 한건
4. 시대의 아픔이…
5. 이화장 도난사건
6. 데스크의 감각이 엮어낸 작품
7. '그런 사실 없다'
8. 신혼 주부 질식사건
9. 올챙이 기자 한돌 방담
제 14 장 ┃ 역대정권의 언론정책
1. 미군정 시대
2. 자유당 정권 시대
3. 민주당정권 시대
4. 제3ㆍ4공화국 시대
5. 제5공화국 시대
부록 ┃ 국내외 언론사의 직업윤리 강령
참고문헌
이행원 저자가 집필한 등록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