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 전자회로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인공지능, 자율주행 및 사물인터넷 기술 등 날로 지능화되고 있는 기술을 구현하기 위하여 전자회로 설계기술의 중요성이 점점 더 대두되고 있다. 특히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는 전자회로는 모든 전자 시스템의 기초가 되는 핵심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필자는 대학에서 전자회로를 강의하면서 기존의 단일소자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회로를 설명하는 책들이 반도체 회로와의 연관성이 부족한 것에 많은 아쉬움을 느껴왔다. 따라서 본서에서는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전자회로를 집적회로와 연관시켜 저술하려고 노력하였다.
본서의 전반부에서는 반도체 소자이론과 다이오드로 구현할 수 있는 정류회로,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로 구현하는 증폭회로 및 MOSFET로 구현하는 증폭회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후반부에서는 다단증폭회로, 연산증폭기 응용, 전력증폭기, 전원회로 및 충전방전회로에 대한 해석 및 설계를 다루었다. 특히 증폭회로의 트랜지스터의 등가 모델을 반도체 회로에서 주로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파이형 모델을 적용하여 반도체 회로의 해석에도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각 장의 마지막 부분마다 연습문제 및 정답을 추가하여 배운 지식에 대하여 이해 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아무쪼록 본서가 전자회로를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
2018. 08.
손기성
1장. 반도체 구조
1.1 반도체 기초
1.2 에너지 대역
1.3 P/N 접합 반도체
2장. 다이오드 회로
2.1 다이오드 특성
2.2 정류회로
2.3 클리핑(Clipping)회로
2.4 클램핑(Clamping)회로
2.5 제너 다이오드(Zener Diode)
3장. BJT 증폭회로
3.1 BJT 개요
3.2 BJT 전류, 전압 특성
3.3 BJT 바이어스 회로
3.4 BJT 소신호 등가회로
3.5 BJT 기본 증폭회로
4장. MOS FET 증폭회로
4.1 MOS FET 개요
4.2 MOS FET의 전류 전압 특성
4.3 MOS FET의 소신호 등가회로
4.4 MOS FET 기본 증폭회로
5장. 다단증폭기 및 주파수 특성
5.1 다단 증폭기 개요
5.2 BJT 다단 증폭 회로
5.3 MOS FET 다단 증폭 회로
5.4 증폭기의 주파수 응답
5.5 광대역 증폭 회로
6장. 연산 증폭기 및 응용
6.1 연산 증폭기 개요
6.2 연산 증폭기 파라미터
6.3 연산 증폭기 응용
6.4 부귀환(Negative Feedback) 증폭회로
7장. 전력 증폭기
7.1 트랜지스터의 최대 정격
7.2 증폭기의 분류
7.3 전력 증폭기
8장. 전원회로
8.1 교류 전압의 변화
8.2 전압 안정화 회로
8.3 스위칭 레귤레이터(Switching Regulator)
9장. 충전방전 회로
9.1 충전 회로
9.2 방전 회로
9.3 충, 방전 응용회로
손기성 저자가 집필한 등록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