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나로그 사진입문
디지털 시대에 난데없는 아날로그 사진입문 이라고 하니 의아해 하시는분들도 많을듯 합니다. 물론 디지털 사진이나 아날로그 사진이나 큰 차이는 없습니다. 카메라 조작하고 셔터를 눌러 촬영하는건 필름 카메라나 디지털 카메라나 거의 비슷 합니다. 아니 똑같다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물론 필름 카메라는 디지털 카메라에 비해 수동으로 조작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는 차이는 있습니다. 그러나 필름 카메라도 전자식 바디는 디지털 카메라와 거의 차이가 없습니다.
가장 큰 차이는 촬영후 마무리 작업을 암실로 들어가는지 아님 책상앞에 있는 컴퓨터를 사용하는지 하는 차이 입니다.
굳이 또 다른 차이를 찾는다면 디지털 사진은 필름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점 입니다. 필름을 알고 사용하는게 아날로그 사진에서는 상당히 중요한 요소 입니다. 사진의 기본적인 이론은 당연히 필름사진에서 시작 합니다. 필름사진으로 사진을 시작하면 디지털 사진으로 옮겨 타기는 쉽습니다. 그러나 반대로 디지털사진으로 시작했다 필름 사진으로 가려면 힘든 부분이 많습니다.
단적인 예가 자동차 운전 입니다. 수동으로 운전을 배우면 자동으로 자연스럽게 옮겨 갑니다. 그러나 자동으로 운전을 배웠다가 수동 차량을 운전 하려면 처음부터 다시 배워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디지털 사진이 그렇습니다. 어차피 사진을 제대로 배우시길 결정 했다면 당연히 필름 사진부터 하는게 올바른 판단 입니다.
필름사진과 디지털 사진은 보는 느낌도 차이가 있습니다. 어느게 더 좋다고 단적으로 말 할수는 없습니다. 개인적인 차이가 많기 때문 입니다.
최근들어 디지털로 입문 했다가 필름 사진에 관심을 갖는분들이 많아 졌습니다. 그러나 시중에 나와있는 대부분의 사진 입문서들이 디지털에 초점을 맞추다 보니 아날로그 사진을 제대로 이해 할 수 있는 기회가 적어졌습니다.
이와같은 이유에서 다소 부족한점은 있지만 아날로그 사진에 모든것을 담아 보았습니다. 사진을 제대로 이해하고 활용 할 수 있는 방법론을 알아 봅니다.
이 책이 여러분들의 사진 발전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을 가져 봅니다.
판권 페이지
1장 사진의 역사
1. 카메라의 기원
2. 사진의 발명
1) 사진 발명에 사용된 도구들
3.사진의 발명가
4. 클로디온 습 판 사진술
5. 건판 사진술의 등장
6. 롤 필름의 등장:
7. APS(advanced Photo System)카메라와 필름
8. 디지털 카메라의 등장
2장 기본 메커니즘
1. 기계식 카메라
2. 전자식 카메라
3. 감광도 설정
1) 기계식 카메라 감도 설정
2) 전자식 카메라 감도 설정
3)DX코드 (Date Index Code)
4. 구도
5. 초점
초점 스크린의 종류
6.노출
1) 노출 조절
2) 조리개와 셔터와의 관계
3장 카메라(Camera)의 종류
1) 콤팩트 카메라와 그 종류
2) 레인지 파인더 카메라(Rangefinder Camera)
3) 반사식 카메라 (Reflex Camera)
(1) 일 안 반사식 카메라
(2) 이 안 반사식 카메라 (Twin Lens Reflex)
4) 자동 초점 카메라
5) 뷰 카메라(View Camera)
(1) 조작방법
(2) 필름 장전
(3) 노치 코드
(4) 무브먼트의 종류
(5) 뷰 카메라의 종류
(6) 샤임 플러그 법칙 (Scheim plug Rule)
6) 그 밖의 카메라
7) 카메라 액세서리
8) 카메라 선택 및 보관 법
4장 셔터(Shutter)
1. 셔터의 종류
2. 그 밖의 셔터 명칭
3. 셔터의 싱크로 접점
5장 렌즈(Lens)
1. 렌즈의 원리
2. 렌즈의 밝기
3. 렌즈의 명칭
4. 렌즈에서의 빛의 현상
5. 렌즈의 포괄 범위
6.렌즈의 화각
7. 렌즈의 초점거리
8.렌즈의 코팅
9.조리개
10.피사계 심도
11.렌즈의 종류
1) 표준 렌즈
2) 광각 렌즈
3) 망원 렌즈
◈ 초점거리에 따른 화 각의 변화
◈ 초보자들의 렌즈 사용순서
4) 반사 렌즈
5) 줌 렌즈
6) 접사 렌즈
7) 비구면 렌즈
8) 저 분산율 렌즈
9) 시프트렌즈(Shift)
12. 렌즈의 수차
13. 렌즈의 화면 훼손 현상
14. 기타
15. 렌즈의 선택 및 취급 방법
6장 필름 (Film)
1. 필름의 발명
2. 필름의 구조
3. 필름의 특성
1) 감광도
2) 감색성
3) 해상력
4) 입상성
5) 관용도
6) 콘트라스트(contrast)
4. 필름의 형태
1) 롤 필름(Roll Film)
2) 시트 필름(Sheet film)
5. 흑백 필름의 종류
6. 컬러 필름의 종류
1) 이용 광원에 따른 컬러 필름의 분류
2) 현상 처리 법에 따른 컬러 필름의 분류
3) 화상에 따른 분류
7. 그밖의 필름
8. 필름의 보관
9. 특성 곡선 (H&D곡선)
7장 필터 (Filter)
1. 필터가 사진에 미치는 영향
2. 필터의 형태
3. 필터의 작용
4. 필터의 노출배수
5. 필터의 기호
6. 필터의 종류
1)흑백 필터의 종류
2) 컬러 필름용 필터
3) 그 밖의 필터
7. 필터의 보존
8장 노출계
1. 노출계의 기본구성
2. 노출계의 선택법
3. 노출계의 종류
4. TTL 노출계(Through The Lens)
5. 단독 노출계
6. 노출
1) TTL에 의한 측정법
2) 노출측정방식 (반사식)
3) 노출 보정 방법
7. 노출계의 점검과 관리
9장 라이팅 (Lighting)
1. 빛의 이론
2.광원 종류
3. 전자 플래시
1) 전자 플래시 원리
2) 발광시간에 따른 종류
3) 전자 플래시의 종류
4) 발광방식
5) 전자 플래시를 이용한 촬영
6) 플래시 라이팅의 종류
7) 플래시 사용 테크닉
4. 광선의 특성
5.광선의 방향
6. 광선의 기능
10장 사진표현의 기법
1. 사진의 특성
2. 사진의 시각
3.필름의 선택
11장 촬영
1. 포커스 (초점)
2. 클로즈업
3.셔터 속도와 시각의 변화
4. 원근법
5. 카메라 앵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