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R 영상 콘텐츠 - 만화웹툰이론총서
VR는 의료, 교육, 게임, 영화 등 활용 분야도 다양하게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아직 초기지만 VR 영상 산업도 사용자에게 좀 더 친숙하게 점차 성장해 갈 것이다. 그러나 아쉽게도 한 분야를 집중적으로 다루는 책은 찾아보기 힘들다. 이 책은 VR의 여러 분야 중 영화, 방송, 애니메이션과 같은 엔터테인먼트 영상에 집중한다. 개념, 산업 현황부터 실제 제작자들에게 도움이 될 제작 기법까지 VR 영상에 대해 폭넓게 다루고 있다. 향후 VR 영상 분야의 등대 역할을 해 줄 것이다.
서울예술대학교 영상학부 방송영상 전공 교수다. 광운대학교 대학원에서 홀로그래피3D콘텐츠 박사를 받았다. MBC와 SBS에서 32년간 영상 제작과 영상 연출을 했으며, SBS 3D방송 TF와 실감 방송TFT 총괄을 하며 2015년 가상현실 K팝 3D 콘텐츠를 다수 제작했다. 2009년부터 SBS 3D 방송TF에서 활동하며「난타 3D」(2012), 「드림콘서트 3D」(2014), 「빅뱅 빅쇼 3D」(2014) 등의 입체 영상 제작과 연출을 했다. 한국전파진흥협회 3D제작가이드라인 WG(Working Group) 위원, 미래창조과학부 디지털헤리티지포럼 위원, 2015 ISU BUSAN 집행위원장, 평창ICT 동계올림픽 방송통신분과 위원을 맡고 있다. 2016년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상, 2014년 미래창조과학부 장관표창, 2014 3D한국국제 영화제 우수상, 2012 KOREA AWARDS 3D 발전공로상을 수상했다. 저서로는 『4K UHD 프로젝터 베이스 제작』(2014), 『3D 방송영상 제작가이드』(2013), 『3D콘서트 제작가이드라인』(2012) 등이 있다.
01 VR 영상 콘텐츠의 개념
02 VR 영상 콘텐츠 산업
03 VR 영상의 스토리텔링
04 VR 영상의 연출
05 스토리스튜디오의 연출 노하우
06 VR 영상 콘텐츠의 제작 방법
07 VR 영상의 입체 제작
08 방송과 VR 영상 콘텐츠
09 영화와 VR 영상 콘텐츠
10 애니메이션과 VR 영상 콘텐츠
김상일,유미,김광집 공저 저자가 집필한 등록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