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지인의 눈으로 읽는 제주 문화 이야기
해민정신(海民精神)은 삼무 정신을 뛰어넘어 제주인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정신이다. 자연환경에서 기인한 삼무 정신에 해민정신은 제주인의 정신세계를 입힌 이념이라고 할 수 있다. 해민의 진취적 정신이야말로 제주 기층민의 해방을 지향한 미덕이었고 제주 섬 공동체의 문화를 끌어냈다. 개체적 대동주의란 자유를 신장할 수 있도록 개체를 인정함과 동시에 평등을 지향하여 공동체 의식을 갖도록 하는 인간주의적 이념이다.
-본문 중에서
이어도연구회 연구위원
수필 「열무 이야기」로 등단
동화 『여돗할망 이야기』
이어도연구 『이어도 100문 100답』 공저
제주학연구 「이어도 설화 스토리텔링 방안 연구」 공저
제주학연구 「제주인의 삶 속에 나타난 해민정신 연구」 공저
발간사
서문
1장 지리와 문화
1. 지리적 환경과 다양한 문화
2. 천리부동풍 백리부동속
3. 뜬 땅에 거센 바람
작가의 말
2장 제주인의 정체성
1. 신들의 벗
2. 해상왕국 탐라의 후예 해민
3. 자기 완결적 구조의 광풍촉석(狂風矗石)
작가의 말
3장 제주의 지역 정신
1. 관제 이데올로기 삼무 정신
2. 개체적 대동주의 해민정신
작가의 말
4장 척박한 환경
1. 석다가 만든 삶
2. 거대한 물허벅 한라산
3. 메마른 땅에 가난한 백성(地瘠民貧)
작가의 말
5장 제주인의 삶과 문화
1. 의식주 이야기
2. 이어도 이야기
3. 궨당 이야기
작가의 말
6장 여성 중심 사회
1. 여성 중심 사회
2. 경제적 주체로 살아온 해녀
3. 해녀가 짊어지는 삶의 무게
작가의 말
7장 느영나영 따로 또 같이
1. 개체적 자작농의 평등 사회
2. 노동 등가의 수눌음
3. 배타성 이야기
작가의 말
8장 제주인의 삶 속에 나타난 해민정신
1. 안거리-밖거리 주거 경관의 독립성
2. 제주 해녀의 공동체 문화
3. 관용적 신앙 공동체의 개방성
작가의 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