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툰 2
웹툰은 기존 만화를 디지털로 변환해 유통하는 매체가 아니라 한국의 디지털 환경에서 탄생한 독특한 문화콘텐츠다. 이제 한국을 넘어 글로벌 시장에서 유통되어 새로운 문화와 산업을 이끄는 웹툰을 이해하려면 단편적인 뉴스와 논의로는 불가능하다. 역사, 시장, 참여 주체, 미학적 특징, 기술적 발전 등 웹툰 생태계를 유기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이 책은 가장 빠르고 수월하게 웹툰의 지형을 탐색할 수 있도록 42명의 전문가를 동원하여 만든 웹툰 입문서다.
만화 없이 24시간 이상 버티기란 상상할 수도 없는, 만화를 그리지는 못하지만, 누구보다 만화를 사랑하는 만화 마니아다. 광운대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성균관대, 광운대 대학원을 졸업했다. 1995년 「스포츠서울」 신춘문예 만화평론 부문에 당선되면서 만화평론가로 등단했으며 현재 청강문화산업대학 만화창작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만화평론가, 만화창작학과 교수, 만화 기획자로 숱한 만화와 애니메이션을 보다 접하니 자연히 만화 강국, 전 세계 캐릭터 산업을 주무르는 나라 '일본'에 관심이 갔다. 처음에는 만화에만 국한된 눈으로 일본을 보다가 점차 그 안에서 애니메이션, 영화, 장난감, 테마파크, 한도시의 경제를 이끄는 동력으로 넓혀 하는 '일본 서브 컬처'의 힘을 발견했다. 바로 그 서브컬처라는 프리즘을 통해 바라본 일본의 자연, 도시, 시골, 사람, 문화, 예술, 역사를 담아 만화공화국 일본 여행기를 펴냈다.
서울국제만화애니메이션페스티벌(SICAF) 큐레이터 겸 코디네이터, 2000년 서울프리에니메이션영화제 기획·진행, 2003년 프랑스 앙굴렘 국제만화페스티벌 한국 만화 특별전 공동 큐레이터로 활동했으며, 한국만화복간프로젝트를 기획해 이두호 『객주』, 박흥용 『구르믈 버서난 달처럼』, 길창덕 『꺼벙이』, 윤승운 『두심이 표류기』를 출간했다. 저서로는 『만화를 위한 책』, 『아니메가 보고 싶다』, 『누가 캔디를 모함했나』, 『박인하의 즐거운 만화가게』, 『꺼벙이로 웃다, 순악질 여사로 살다』, 『아니메미학 에세이』, 『장르 만화의 세계』, 『골방에서 만난 천국-박인하의 만화풍속사』, 『월트 디즈니 VS 미야자키 하야오』 등이 있다.
4 트랜스 미디어 기술
17 VR 페인팅 기술 / 권혁주
18 매체 변환을 위한 협업 / 이승형 · 나윤빈
5 수용자
19 남성성과 젠더 수행 / 구자준
20 웹툰과 공론장 / 윤은주
21 여성 혐오 서사 / 구자준
22 탈주하는 여성 서사 / 허 윤
23 그녀들은 왜 소년들의 사랑에 열광하는가: BL 심리학 / 김소원
24 비판적 가족 재현 / 구자준
25 학원물 폭력 / 김윤종 · 문안나
6 아이피, 비즈니스
26 작가, 자유와 무료노동 / 양경욱
27 흥행 요인 / 박문호 · 이상우
28 퍼블리시티권 / 노현숙
29 웹툰 속 광고효과 / 유승엽 · 김은희
30 광고와 웹툰 / 최성호 · 허 혁 · 이종희 · 원종서
7 글로벌
31 K웹툰과 J망가 / 윤태진 · 이효민
32 한국, 미국, 일본의 웹툰 구독자 / 도상범 · 강주영
8 기타
33 스마트툰 / 전경란
34 SNS 브랜드 웹툰 / 류유희
박인하 편 저자가 집필한 등록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