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이름은 김삼순 2 - 김도우 대본집
스토리는 심플하게 감정은 깊게
웃음은 호탕하게 눈물은 진하게
인생사 희로애락이 쌈박하게 녹아 있는
우리 모두의 인생 드라마
“이렇게 20년 가까이 회자되고 극찬받는 드라마가 또 있을까!” (LiLiKOLoo*** 님)
“지극히 현실적인 삼순이의 독백이 나의 심금을 울린다. 인생 최고의 드라마!” (euncheolkim4*** 님)
“좌절하지 않고 당당하며 자주적으로 판단해 나아갈 줄 아는 정말 멋진 여자 삼순!” (jellajella2*** 님)
<내 이름은 김삼순>을 딱 한 번만 본 사람이 있을까? 아니, 질문을 바꿔보자. 한 번 봤다고 한들 이 드라마를 기억 못 하는 사람이 있을까? 단언컨대, 없을 것이다. 19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이 드라마는 지나칠 정도로 생생하다.
“제가 만든 초콜릿은 제가 만든 상자에 넣자는 게 원칙이거든요.” “나의 치유법은...지금처럼 아침이 다가오는 시간에 케이크와 과자를 굽는 것...” 행복하게 케이크를 만들던 삼순이의 모습. “이거 하난 확실해요. 사랑이 뭔지 생각하는 사람, 사랑이 이거다라고 단정하는 사람은 이미 사랑을 할 수가 없다는 거...” 사랑 앞에서 당당하고 솔직하던 삼순이의 모습. “삼식아~ 이젠 완전 쫑이다.” “누구 맘대로!” 폭우가 내리는 한라산 정상에서 삼순이를 기다리던 진헌이의 모습. “가끔은 그런 생각도 한다. 어쩌면 우리도 헤어질 수 있겠구나... 연애라는 게 그런 거니까...” 남산공원 계단 위에서 삼순이와 진헌이를 배경으로 흐르던 드라마 엔딩 내레이션까지.
<내 이름은 김삼순>은 사소해 보이는 신이나 대사조차 강하고 깊다. ‘로맨틱코미디’라 불리지만, 우리의 삶이 그대로 담긴 ‘인생 드라마’다. 드라마 한 편에 사랑, 일, 가족… 한 명의 삶이 그 무엇 하나 소홀하지 않게 고루고루 진하게 녹아 있다. 아마 그래서 일 테다. 이 드라마를 볼 때마다 우리의 가슴이 뜨거웠다 식었다 차가웠다 데워졌다 여러 감정으로 복작거리는 이유가. <내 이름은 김삼순>은 드라마의 계절 배경인 뜨거운 여름을 닮아 젊은 날의 찬란함이 가득 녹아든 드라마다.
19년 만에 풀리는 각종 비하인드!
작가·배우 인터뷰, 초기 시놉시스 최초 공개
<내 이름은 김삼순>은 시청자는 물론 작가 지망생과 기성 작가들도 매우 궁금해하는 작품이다. ‘대본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을까?’, ‘시놉시스는 어떨까?’ 작가 커뮤니티에 김삼순 대본을 구한다는 글이 유독 많은 이유이기도 하다.
19년 만에 출간되는 대본집이자 <내 이름은 김삼순>, <눈사람> 등 여럿 인기 드라마를 쓴 김도우 작가의 첫 대본집인 만큼, 많은 사람들이 알고 싶어 했던 자료들을 가득 실었다. 55쪽 분량의 초기 시놉시스와 방송용 시놉시스를 함께 실어 두 버전을 비교할 수 있도록 했다. 인물들의 서사가 어떻게 달라졌는지, 어떤 인물이 생기고 사라졌는지 등 다른 점을 찾아보며 작가의 의도를 파악해볼 수 있도록 했다. 더불어 6쪽 분량의 김도우 작가 인터뷰와 각각 3쪽 분량의 김선아·현빈 배우 인터뷰를 수록했다. 세 사람이 생각하는 ‘삼순이와 진헌이의 연애 결말’을 비롯해 집필 및 촬영할 때의 생각, 19년이 지난 후 작품에 대한 감상이 어떻게 달라졌는지 등을 확인해볼 수 있다. 드라마 밖의 이야기가 궁금했던 팬들에게 <내 이름은 김삼순> 대본집은 아주 귀중한 선물이 될 것이다.
SBS 극본공모에서 <삼십세>로 가작에 당선되며 작가로 데뷔, 2003년 MBC 미니시리즈 <눈사람>으로 대중에게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 형부와 처제의 사랑을 다룬 다소 파격적인 소재의 드라마임에도 탄탄한 스토리 전개와 섬세한 감정 표현으로 보는 이 모두를 납득시켰다. 2년 후인 2005년, <내 이름은 김삼순>으로 무려 51.1%의 시청률을 기록하며 제42회 백상예술대상에서 극본상을 받았다.
이외에도 <여우야 뭐하니> <나도, 꽃!> <일리 있는 사랑>과 다수의 단막극을 집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