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융합예술교육
창의융합예술교육 톺아보기
창의융합예술교육에 대한 관심은 날로 증가하고 있지만 창의융합예술교육의 개념을 명쾌하게 제시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창의융합은 미사여구가 아니며 창의융합예술교육은 융복합적 개념이자 실천이다. 그 개념을 제대로 알아야 효과적이고 지속가능한 창의융합예술교육을 구상할 수 있다. 저자는 듀이의 미적 체험, 질성적 경험 등의 개념과 여러 학자의 창의성 논의를 종합하여 탄탄한 이론적 기반 위에서 창의융합예술교육의 개념을 정의한다. 창의융합예술교육의 정체가 궁금하다면 저자의 친절한 안내를 따라가 보자.
창의융합예술교육 실천 A to Z
창의융합예술교육은 완결된 개념이 아니라 실천을 통해 새롭게 구성되는 열린 개념이다. 효과적으로 창의융합예술교육을 기획하고 운영하려면 그 구성 원리를 알아야 한다. 저자는 교과나 지역 연계, 생애 주기별 맞춤 구성 등 다양한 창의융합예술교육 구성 원리를 구체적인 사례를 중심으로 소개한다. 이에 더해 수업 계획안 등 독자의 이해를 돕는 각종 참고 자료를 큐알 코드를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제시했다.
지속가능한 창의융합예술교육을 위한 생태계 만들기
이제는 창의융합예술교육의 양적 확대뿐만 아니라 질적 성장을 꾀해야 한다. 저자는 예술교육가, 문화예술교육사, 관련 정책 입안자, 연구자와 유관 기관 등 창의융합예술교육 생태계 구성원들이 협력한다면 예술을 근간으로 창의융합교육을 실현할 수 있다고 말하면서 작은 실천의 힘을 강조한다. 지속가능한 창의융합예술교육을 실천하기 위해 지금, 여기서 할 수 있는 작은 실천을 함께 찾아보자.
숙명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화예술교육학과 교수다. 숭실대학교 융합영재교육 전공 겸임교수, 서울사이버대학교 문화예술경영학과 객원교수도 맡고 있으며 `아트리서치랩` 대표다. 영리 기업, 비영리 기관, 지자체 공공 재단까지 다양한 예술 산업체에서 십여 년간 근무했다. 웰빙과 문화예술, 문화예술교육, 창의성, 예술기반 논문작성법 등을 연구한다. 2023년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 분야 신진 우수연구자로 선정되었다. 주요 논문으로 “놀 권리 보장에 대한 아동의 목소리”(2023, 공저), “자연 기반 문화예술교육을 바탕으로 한 유아의 창의력과 자기표현력 발달을 위한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연구”(2023, 공저)가 있으며, “전업 예술인이 생각하는 예술의 가치 탐색 및 예술인 복지법에 관한 인식 연구”(2022, 공저)로 최우수 논문상을 수상했다. 동시에 예술교육 현장에서 아동부터 노인까지 전 연령대와 만나고 있으며, 특히 이주배경청소년, 장애인, 느린학습자, 북한이탈청소년과 함께 포용적 예술 활동을 실천한다. 창의예술교육 교강사 양성과 중앙 및 지방 정부 정책 개발에도 참여하고 있으며 생활인으로는 두 아이를 양육하며 성장하고 있다.
창의융합 시대의 예술교육
01 창의성
02 창의융합
03 창의융합예술교육
04 문화다양성과 창의융합예술교육
05 주제 중심 창의융합예술교육
06 지역과 창의융합예술교육
07 생애 주기별 창의융합예술교육
08 창의적 나이 듦
09 지속가능발전교육과 창의융합예술교육
10 창의융합예술교육의 내일
안지언 지음 저자가 집필한 등록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