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직무능력표준 NCS 기반 교수법과 실제
디지털대전환으로 사회 변화와 기술 변화의 가속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맥락에서 직업교육이 현재를 거쳐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직업교육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기 위해서는 직업교육의 사회적, 경제적, 교육적 역할과 기능이 어떻게 변화해야 하는가를 고민해야 하는 시점에 와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 사회가 요구하는 인적자원의 질과 수준을 바탕으로 인력의 양성, 선발, 배치, 활용과 관련한 국가 수준의 표준을 설정하고 이를 참고(reference)할 수 있는 내용 체계와 수준을 담은 공공재를 개발하여 활용하는 것은 매우 유의미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국가 및 산업의 발달 단계에 맞추어 직업교육에서의 국가직무능력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활용을 위한 교육과정과 이를 어떻게 가르치고 학습할 것인가에 대한 실천적 논의와 사례의 확산은 중요하다.
이 책의 주요 핵심어인 국가직무능력표준에 대한 개념이 우리나라 교육계에서 처음 언급된 것은 1996년 5.31 교육개혁에서였다. 그 이후 국가직무능력표준은 직업교육 분야의 실질적인 혁신을 도모하고 국제화를 가능케 하는 주요 개념이자 수단의 원천이 되었다. 직업교육 분야에서 NCS를 어떻게 적용하고 활용할 수 있지를 가치와 역할의 관점에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NCS는 직업교육의 인력 양성 목표와 역할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해 준다. NCS에는 직무별 인력양성 유형, 내용 체계, 수준이 제시되어 있고 이러한 사항들은 국가역량체계(Korean Qualifications Framework, NQF)와 연계되어 있다. 따라서 NCS는 이러한 시스템 속에 직업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학교급별, 학과별, 학생 수준별 직업교육훈련이 가능하도록 내용별, 수준별 인력 양성 목표와 유형을 고용분류상의 직무별로 명확하게 구분하여 제시해 준다는 데 있어 그 가치가 있다.
둘째, NCS는 직업교육과정 개발의 측면에서 효율성을 제공해 준다. 직업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단위 학교가 산업 수요에 기반한 교육과정을 개발하기에는 전문성과 비용적인 측면에서 한계가 있다. NCS는 이러한 사항들을 해결해 준다는 측면에서 그 가치가 있다. 직업교육과정 개발 단계와 절차는 단위 학교에 적합한 전공 및 학과 선정, 그리고 이에 기반한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구성 요소이자 단계이기 때문이다.
셋째, NCS는 직업교육이 직무습득과 관련된 교육훈련을 수행할 때 해당 직무와 관련된 인지적, 정의적, 심동적 영역의 학습 내용과 기술을 학습자에게 균형적으로 함양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준다는 측면에서 가치가 있다. NCS는 능력단위별로 해당 직무 내용과 관련된 지식, 기술, 태도, 그리고 이러한 직무가 구현되는 산업 현장의 환경적 조건으로 구성된 체계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NCS 기반 교육과정은 이를 이수한 학생들의 숙련의 균형성, 태도, 그리고 산업 현장 적응 능력을 향상시킬 가능성을 높여주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넷째, NCS를 활용한 학습 모듈은 기술적 내용의 전달 위주로 운영되었던 기존 직업교육의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개선과 변화에 기여할 것이다. 학습 모듈은 기본적으로 완전학습을 지향하고 있으며, 학습자의 개인차에 따른 수준별 자기 주도적 학습이 가능한 교육 방식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특성을 참고해 본다면 학업성취도 측면에서는 과거와 달리 다양한 분야에서 학업 성취 스펙트럼을 가지고 있는 직업교육 참여 학생들에게 적합한 교수·학습 환경을 제공해 줄 수 있다. 따라서 여러 형태의 교실과 실험·실습 상황에서 다양한 학업성취도를 가지고 있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능력단위 또는 능력단위 요소별 1~8수준까지의 표준화된 내용 체계를 학습자의 수준과 연계한 수준별 학습을 시도한다면 직업교육 대상자의 학업성취도 및 해당 기술의 숙련도를 향상시킬 중요한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다섯째, NCS는 일-학습-자격 간의 연계뿐만 아니라 중등단계-고등단계-평생학습 단계를 비롯한 교육의 과정과 훈련의 과정을 연계시켜 개인 학습자의 능력을 필요한 시간, 내용, 공간에 따라 연속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체계 구축이 가능하다. 능력중심사회 조성과 역량 중심의 NCS 기반 인재 채용 확대에 따라 직업계고와 전문대학에 한정된 것으로 인식되던 직업교육의 범위가 4년제 대학 이상으로 확산되고 있는 상황에서, NCS는 이들 학교급 간을 비롯한 평생교육 차원에서 지속적인 직업능력개발을 할 수 있는 기회와 이정표를 제공해주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특히, 현재 4년제 대학의 학부교육이 전통적인 학문중심 교육에서 벗어나 다양한 실무 중심 교육과정이나 프로그램을 편성·운영하고 있고, 실제 대학 교육과정에 NCS와 직업기초능력을 적용하여 다차원적인 교육과정으로 개편하거나 취업지원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고 있다는 점은 NCS를 기반으로 한 평생직업능력개발 체계와 다양한 접근 기회의 확장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여섯째, NCS는 직업교육을 통해 달성한 개인 학습자의 능력을 인정하는 기준과 체계를 제공해준다는 측면에서 가치가 있다. NCS와 학습 모듈에 제시된 수행 준거를 비롯하여 이와 연계된 각종 NCS 기반 자격 제도를 통하여 개인이 함양한 능력의 내용과 수준을 기록 또는 인정받게 됨으로써 직업교육을 통해 체득한 능력에 대한 신호기제의 기준과 입직 및 직무 배치를 위한 수단적 기제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이다.
일곱째, NCS를 기반으로 국내에서 공인받은 기술과 숙련이 글로벌화 되어가고 있는 노동시장에서 인정받을 수 있는 기회 요인이 됨과 동시에, 인력의 국제적인 이동성과 통용성을 확대할 수 있는 토대가 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가치가 있다. 따라서 앞으로 NCS와 이를 기반으로 한 교육과정과 평가 결과는 국가간 인력 수준의 상대적인 위치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으로서의 역할을 할 것이다.
앞서 전술한 직업교육 분야와 NCS의 상호작용적인 가치와 역할의 측면에서 이를 적극적으로 확산시켜 나가기 위해서는 NCS와 이를 기반으로 한 교육과정에 담긴 내용을 어떻게 학생들에게 전달할 것인가와 관련성이 높은 교수·학습 방법과 실제 사례들을 정리하여 보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과정이 될 것이다. 특히, NCS 기반 교육과정에 편성된 실무과목 운영에 필요한 NCS 학습 모듈을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방법과 관련된 요구가 높은 상황을 고려한다면 NCS 기반 교수·학습 방법과 사례를 정리한 이 책의 활용도가 더욱 클 것으로 예상된다. 그 이유는 NCS 학습 모듈이 기존 교과서에 상당하는 지위는 얻었지만 그동안의 교수·학습 과정에서 구체적 학습 내용과 정보를 제공하였던 기존의 교과서가 아닌 기본적인 관련 지식과 산업 현장에서의 활용성 중심으로 구성된 체계에 학교 구성원들이 아직 적응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책은 NCS 기반으로 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자 하는 다양한 학교급에서 NCS 학습 모듈과 단위 학교와 연계된 산업체의 요구에 기반한 학습 내용을 상호 블렌딩하여, 새로운 교수·학습 패러다임 변화에 교원들이 적응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 아울러 학습 모듈에 의한 수업, 특히 실험·실습이 가능한 학습 환경 구축 및 개선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2022. 2. 15. 집필자 일동
대통령직속국가
교육회의 위원
충남대학교 기계공학교육과 교수
교육정책, 직업교육, 진로교육, 발명지식재산교육 등
Ⅰ
NCS 기반 강의법과 실제
1. 강의법의 개요 3
가. 강의법의 특징 3
나. 강의법의 원리 4
다. 강의법의 수업 설계 전략 5
2. 강의법의 교수·학습 모형 7
가. 도입 7
나. 전개 10
다. 통합 12
라. 평가 및 정리 12
3. 강의법을 활용한 NCS 기반 교수·학습 전략 32
가. 도입 32
나. 전개 34
다. 통합 37
라. 평가 및 정리 38
4. 강의법의 NCS 교수·학습의 실제 40
Ⅱ
NCS 기반 시범 학습의 방법과 실제
1. 시범 학습의 개요 47
가. 시범 학습의 개념 47
나. 시범 학습의 수업 적용 상황 48
다. 시범 학습의 형태 49
라. 시범 학습의 장·단점 50
마. 시범 학습의 유의사항 52
2. 시범 학습의 교수·학습 모형 53
가. 시범 학습에 적합한 교과 선정 53
나. 시범 학습의 적용 단계 53
다. 평가 단계 56
3. 시범 학습을 활용한 NCS 기반 교수·학습 전략 58
가. 시범 학습을 위한 준비 사항 58
나. 시범 수업의 실습지시서 작성 및 활용 59
4. 시범 학습의 NCS 교수·학습의 실제 63
가. 시범 학습 적용을 위한 교육과정 분석 63
나. 시범 학습의 수업 설계서 작성 64
다. 시범 학습의 학습지도안 작성 66
라. 시범 학습의 평가 방법 선정 및 적용 67
마. 시범 학습 수업 적용 예시(교과목: 피복아크용접) 69
Ⅲ
NCS 기반 협동학습 방법과 실제
1. 협동학습의 개요 89
가. 협동학습의 등장 배경 및 필요성 89
나. 협동학습의 특성 92
2. 협동학습의 교수·학습 모형 98
가. 팀 성취 분담학습(STAD) 모형 98
나. 직소Ⅰ(JigsawⅠ) 모형 100
다. 직소Ⅱ(JigsawⅡ) 모형 101
라. 집단 탐구(GI) 모형 102
마. 자율적 협동학습(Co-op Co-op) 모형 103
바. 팀 보조 개별학습(TAI) 모형 105
3. 협동학습을 활용한 NCS 기반 교수·학습 전략 107
가. 교수·학습 전략 107
나. 고려 사항 108
다. 협동학습의 교수·학습 설계 109
라. 수업 설계 110
4. 협동학습의 NCS 교수·학습의 실제 117
가. 교육과정 분석 117
나. 수업 설계 120
Ⅳ
NCS 기반 토의·토론 학습 방법과 실제
1. 토의·토론 학습의 개요 135
가. 토의·토론의 개념 135
나. 토의·토론 학습의 필요성 및 요소 137
다. 토의·토론 학습의 효과 140
2. 토의·토론 학습의 교수·학습 모형 142
가. 토의·토론 학습 방법의 종류 142
나. 토의·토론 교수·학습 모형 147
다. 토의·토론 교수·학습의 준비 152
3. 토의·토론 학습을 활용한 NCS 기반 교수·학습 전략 156
가. 분석 단계 156
나. 설계 및 개발 단계 157
다. 실행 단계 158
라. 평가 단계 159
4. 토의·토론 학습의 NCS 교수·학습의 실제 162
가. 교육과정 분석 162
나. 수업 설계 163
Ⅴ
NCS 기반 문제해결법과 실제
1. 문제해결법의 개요 171
가. 문제의 개념 171
나. 문제의 유형과 구조화 172
다. 문제해결의 의의 173
라. 문제해결법의 정의 173
마. 문제해결법과 문제중심학습 174
바. 문제해결법과 프로젝트법의 비교 175
2. 문제해결법의 교수·학습 모형 177
가. 문제해결법의 목표 177
나. 문제해결법 적용 수업 178
다. 문제해결법 적용 수업의 준비 원리 179
라. 문제해결법 적용 수업의 일반적 순서 180
마. 문제해결법 교수·학습 단계 모형 181
3. 문제해결법을 활용한 NCS 기반 교수·학습 전략 184
가. 문제의 선정 단계 184
나. 해결방안 탐색 단계 185
다. 실행 단계 186
라. 평가 단계 187
4. 문제해결법의 NCS 교수·학습의 실제 189
가. 교육과정 분석 189
나. 수업 설계 193
다. 문제해결법의 단계별 교수·학습 활동 내용 194
Ⅵ
NCS 기반 프로젝트 기반 학습과 실제
1. 프로젝트 기반 학습의 개요 213
가. 프로젝트 기반 학습의 특징 213
나. 프로젝트 기반 학습의 수업 설계 전략 214
2. 프로젝트 기반 학습의 교수·학습 모형 217
3.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활용한 NCS 기반 교수·학습 전략 219
가. PBL 구상 219
나. PBL 설계 221
다. 수업 설계 224
라. PBL 교수·학습 활동 내용 232
4. 프로젝트 기반 학습의 NCS 교수·학습의 실제 239
가. PBL 구상 239
나. PBL 수업 설계 242
다. 수업 설계 246
참고문헌 2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