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창업 해설서 : 스타트업 4.0 미래시장
머 리 말
본서의 타이틀은 ‘스포츠 창업 해설서: 스타트업 4.0 미래시장’입니다. 말 그대로 체육·스포츠 분야의 창업에 대해 어렵지 않게 해설을 하기 위함입니다. 덧붙여 급변하는 시장(market)을 이해하기 위해 4.0 시장의 화두를 공감하고자 부제로 사용했습니다.
시간, 공간, 지식의 경계는 이미 허물어질 만큼 초(超) 연결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재미있는 콘텐츠가 많아져 혼자 있어도 즐길 거리가 도처에 있습니다. 지식도 넘쳐납니다. 누군가는 그 지식을 활용해 재미를 부여하고,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유도하고 있습니다. 새로운 시장이 형성되고, 생산자와 소비자가 모두 만족하는 성공적인 마케팅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도 누군가에게 재미와 혜택(benefit)을 전달하고, 관심을 붙잡을 수 있습니다. 신선한 아이디어는 기업에서 나오지 않고, 시장에서 나오는 현상이 부쩍 많아졌기 때문입니다. 앞서 언급한 4.0 시장의 특성이라 할 수 있습니다.
남의 지식은 진정한 자기 지식이 아닙니다. 마치 유튜브를 해보지 않고 1인 미디어를 운운하는 것과도 같습니다. 직접 경험하고 배우는 과정을 통해 체득을 해야 자기 것이 될지 안 될지를 가늠하게 됩니다.
무엇을 할지는 누가 가르쳐 주지 않습니다. 본인 편익을 위해 지시 혹은 부탁하는 정도에 그치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각자 잘하면 됩니다. 기준이란 없기 때문입니다. 사람들이 살아가는 방식이 매우 다양하고, 포괄적이어서 자기 주도적인 의지, 태도, 준비과정, 가치관에 따라 결정되는 것입니다.
창업이란 결국 사람이 하는 것입니다. 여러분도 경험을 많이 하듯이, 누구하고 일을 하느냐에 따라 의지가 에너지처럼 충전되거나 금세 방전됩니다. 이렇듯 의지보다 중요한 것은 환경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의지는 자신과의 싸움 혹은 약속이지만, 환경은 사람 간에 수행하는 절차이므로 보다 강력한 영향력을 갖습니다. 내부고객(직원)을 잘 두어야 동력이 생기고, 외부고객(인·허가 관료사회, 경쟁자, 공급자, 소비자)을 잘 두어야 에너지를 축적하며 그 절차가 수월하게 진행됩니다.
다시 말해 사람 간에 수행하는 일이므로 상대 입장을 먼저 알아야 합니다. 그래서 큰 그림을 먼저 그리고, 작은 그림을 그리면서 색칠을 하게 됩니다. 즉, 숲을 보고 나무에 다가간 후, 나뭇가지를 흔들어야 한다고 본 서에서는 표현했습니다. 아무쪼록 스포츠 창업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에게 스케치북에 큰 그림을 그리는 정도의 도움이 됐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이후 자기주도적인 결정을 통해 좋은 성과 얻으시길 기원합니다. 더불어 유튜브, 네이버 블로그 ‘M 스포츠 TV’를 통해 자주 소통할 수 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20년 매서운 겨울,
지덕겸수(知德兼修)와 도의실천(道義實踐) 연구실에서
문개성 드림
들어가기에 앞서
책의 특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갈 길 바쁜 예비 창업자를 위해 핵심만 담았습니다.
2. 여기서 잠깐! 코너를 통해 한 템포 쉬기도 하면서 다시 상기시킬 내용을 담았습니다.
3. Start-Up Tip! 코너를 통해 너무 조급하게 다음 단계로 넘어가지 않게 자신을 향한 질문을 담았습니다.
4. 아이템 공감! 코너를 통해 생각해봄직한 창업 아이템을 담았습니다. 이 부분은 스포츠 창업론, 캡스톤디자인과 같은 대학 내 실무적 교과과정을 통해 학생들이 도출하고, 필자가 지도를 하며 공모전수상, 실용신안 획득 등 실질적 성과를 얻었던 내용입니다.
5. 소규모 창업은 하이테크형보다 하이터치형 즉, 기존의 제품과 서비스를 놓고 품질·가격·디자인 등의 개선을 통해 초기 시장에 안착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이 책에 소개하고자 합니다. 이 자리를 통해 졸업을 했거나 재학 중인 수많은 학생들에게 고맙다는 인사를 전합니다.
(현) 원광대학교 스포츠과학부 교수
(현) 원광대학교 2급 장애인 스포츠지도사 연수원 원장
(현) 한국연구재단 평가위원
(현) 원광대학교K-MOOC(교육사업) 책임교수
(현) PY러닝메이트 스포츠지도사 특강교수
(전) 서울특별시 체육회 집필위원
(전)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이사
(전) 한국체육학회 영문저널 편집위원
(전)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영문저널 편집위원
(전) 미국 플로리다대학교 Research Scholar
(전) 국민체육진흥공단Tour deKorea조직위 팀장
(전) 경희대학교 테크노경영대학원 외래교수
(전) 국제・전국 체육대회 현장 모니터링 평가단장(전라북도 전주시)
제1부 숲을 보자
제1장 기업경영과 창업의 이해 / 15
제1절 기업의 의미와 역할 16
1. 기업의 의미 16
2. 기업의 역할 16
제2절 경영의 의미와 역할 18
1. 경영의 의미 18
2. 경영의 기능 18
3. 경영의 역할 19
4. 경영의 목적 20
5. 경영자의 계층 20
6. 경영자의 역할 23
제3절 리더십 24
1. 리더와 경영자 24
2. 리더십 종류 24
3. 리더십 이론 25
제4절 동기부여와 커뮤니케이션 27
1. 동기부여 이론 27
2. 의사소통 과정과 활성화 29
제2장 스포츠 산업과 창업의 방향 / 31
제1절 스포츠 산업의 이해 32
1. 스포츠 산업의 정의 32
2. 스포츠 산업의 분류 33
3. 스포츠 산업의 특성과 중요성 35
제2절 스포츠 창업의 방향 38
1. 스포츠 시설업 38
2. 스포츠 용품업 40
3. 스포츠 서비스업 42
제3장 스포츠 기업 / 45
제1절 스포츠 기업의 의미와 의의 46
1. 스포츠 기업의 개념 46
2. 스포츠 기업의 의의 47
3. 일반 기업과 스포츠 기업 49
제2절 스포츠 기업의 종류 51
1. 스포츠 시설관련 기업 51
2. 스포츠 용품 관련 기업 53
3. 스포츠 서비스 관련 기업 55
제2부 나무에 다가가자
제4장 시장환경분석 및 창업모델 선정 / 67
제1절 스포츠 창업 환경의 이해 68
1. 스포츠 기업 환경변화 68
2. 시장의 변화 70
제2절 환경분석 73
1. PEST 분석 73
2. 3C 분석 76
3. SWOT 분석 77
제3절 스포츠 창업모델 선정 및 창업절차 79
1. 창업 아이디어 선정의 원칙 79
2. 창업의 핵심요소 82
3. 제품과 서비스 아이디어의 발굴 84
4. 창업의 절차 88
제5장 스포츠 창업모델 사업타당성 분석 / 93
제1절 수익구조 94
제2절 사업타당성 분석 95
1. 기술성 분석 95
2. 시장성 분석 99
3. 재무 분석 103
4. 경제성 분석 109
제6장 스포츠 경영 전략 / 113
제1절 전략 경영 114
1. 미션 114
2. 비전 115
3. 전략 경영 프로세스 116
제2절 경영 전략 119
1. 성장 전략 119
2. BCG 매트릭스 123
3. 경쟁 전략 126
제7장 스포츠 마케팅 전략 / 129
제1절 마케팅 전략 130
1. 마케팅 경영관리 130
2. STP 132
3. 4P와 4C 137
제2절 스포츠 소비자와 서비스 143
1. 스포츠 소비자 143
2. 스포츠 서비스 144
제3부 나뭇가지를 흔들자
제8장 스포츠 창업관련 법령 / 151
제1절 법령과 제도 152
1. 스포츠산업 진흥법 152
2. 체육시설의 설치·이용에 관한 법률 156
3. 중소기업창업 지원법 164
4. 협동조합 기본법 169
5. 1인 창조기업 육성에 관한 법률 175
제9장 스포츠 창업지원 제도 / 179
제1절 중소벤처기업부 제도 180
1. 소개 180
2. K-Startup 182
제2절 문화체육관광부 제도 189
1. 소개 189
2. 국민체육진흥공단 기금지원사업 190
3. 스포츠 산업지원 제도 192
제3절 창업상담 제도 195
제10장 스포츠 사업계획 작성실무 / 199
제1절 사업계획서의 개념 200
1. 기획과 계획 200
2. 작성기준 202
제2절 사업계획서의 구성요소 205
1. 제목 205
2. 사업의 목적과 취지 206
3. 조직 및 인력계획 207
4. 제품과 서비스 계획 209
5. 마케팅 계획 210
6. 재무계획 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