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정보학의 길라잡이
경영정보학의 중요성이 소리 높이 거론되는 한편, 경영정보학을 어떻게 배우는가는 간단한 것 같으면서 매우 어렵다. 그렇다면 경영정보시스템의 전체는 어떠한 기원과 흐름으 가지고 움직이며 현재는 어떠한 전개가 이루어지고 있는가?
경영학이 크게 확대된 것은 20세기 초에 미국기업이 대규모 경영의 운영을 시작하면서 요구되기 시작하였다. 경영정보학을 경영학의 연장으로 본다면, 경영정보는 결국 언제부터 시작한 것인가에 대한 문제 제기가 본서의 원점이 된다.
경영정보시스템이라는 단어의 등장을 문헌에서 찾아보면 '사이먼(H.A.Simon)'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경영정보시스템을 비롯하여 그 위에도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키워드에 대하여 같은 의문을 가지게 되면 흥미롭게도 추이와 변천을 연속하여 찾을 수 있다.
시대의 커다란 흐름에서 컴퓨터가 등장하는 '생성의 단계'는 컴퓨터의 경이적인 힘이 인식되어가는 시대이고 '제2단계'는 컴퓨터의 힘이 과대평가된 시대이며 '전략적 전개의 단계'는 경영과 정보시스템을 접목시킴에 의한 전략 정보활용이 전개되는 시대이고, '현재의 혁신 단계'는 정보기술의 기술혁신이 경영에 커다란 영향을 제공하고 있는 현재의 시대라고 분류할 수 있다.
* 강원대학교 전자계산학과 이학박사과정 수료
* 연세대학교 산업대학원 전자계산학과 공학 석사
*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원 정보처리전공 경영학 석사
* 동국대학교 공과대학 공업경영학과 공학사
* 한국 생산성본부 OA추진사무국장 역임
* 제주은행 전산실장 역임
* 현 남서울대학교 전자계산학과 교수
한국 정보처리전문가협회 총무이사
한국 첨단게임산업협회 및 한국 멀티미디어 컨텐트 센터 자문교수
산업자원부 산업기반기술 개발사업 심의위원
* 저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시작하기 전에 - 경영정보의 계보
제1부 생성단계 - 경영학에서 경영정보로
제1장 조직과 관리의 이론
제2장 의사 결정론
제3장 조직과 데이터 처리
제4장 MIS의 제창
제2부 시스템 - MIS를 넘어서
제5장 경영 계획론
제6장 지식 시스템
제7장 정보시스템 발전단계설
제8장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제3부 전략시스템의 등장
제9장 정보자원관리
제10장 경쟁우위
제11장 뉴 미디어
제12장 전략정보시스템
제4부 현대의 혁신 시스템
제13장 시스템 개발기법의 변혁
제14장 다운사이징과 그룹웨어
제15장 조직변혁
제16장 멀티미디어론
제17장 정보 시큐리티와 시스템 감사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