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찬란한 빛들 모두 사라진다 해도
살아가세요, 그저 살아가세요. 그거면 충분하답니다.
하버드 로스쿨을 졸업하고 세계 최대 로펌 중 한 곳에 입사해 열심히 일하는 커리어우먼으로, 든든하고 자상한 남자의 아내이자 사랑스러운 두 딸의 엄마로 살아온 서른일곱 젊은 여성 줄리 입 윌리엄스. 원하는 모든 것을 손에 쥐었다고 느낀 바로 그 순간, 결장암 4기 진단을 받은 그녀가 오늘을 살아갈 이들에게 남긴 마지막 5년의 기록 『그 찬란한 빛들 모두 사라진다 해도』.
베트남 내전이 한창이던 때 선천성 백내장을 가지고 태어나 돌도 지나지 않은 영아기에 친할머니에 의해 안락사 당할 뻔했다가 가까스로 살아남은 저자는 세 살이 되던 해, 부모님과 함께 목숨을 걸고 미국으로 이주해 수술을 받아 시력 일부를 겨우 회복했지만, 특수 안경 때문에 친구들에게 숱한 놀림을 받으면서 어딜 가서 뭘 하든 “너는 안 되잖니”라는 말을 들으면서 자랐다. 치열하고 고통스러운 하루하루를 보내면서도 하버드대학교 로스쿨을 졸업한 저자는 인생의 정점에서 느닷없이 말기 암 선고를 받게 됐다.
자신에게 주어진 시간이 짧게는 1년이지만 길게는 몇 년이 될지 몰랐지만, 아직 젊으니 얼마든지 완치될 수 있다는 의료진의 견해에 희망을 가졌던 저자는 생각보다 빠른 속도로 온몸에 퍼져나가는 암세포 앞에서 속수무책이 되고 말았다. 건강한 체력과 강인한 정신력을 무기로 암과 싸워 이기겠다 다짐했지만 난생처음 경험하는 통증과 화학요법의 후유증, 시도 때도 없이 덮쳐오는 공포와 두려움과 분노는 저자의 삶을 송두리째 바꾸어놓았다.
끝없는 수술과 항암치료, 화학요법을 반복하면서 인간이란 얼마나 보잘것없는 존재인지, 내일, 다음에, 언젠가로 미뤄두었던 일들이 얼마나 소중하고 중요한 것이었는지 절감하게 되었고, 그렇게 평범한 일상을 이어가는 한편, 암 환자와 그 가족들이 헛된 희망에 속아 아까운 시간을 낭비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이들을 둘러싼 오해와 혼란, 어려움에 대해서도 차분히 정리한 저자가 생의 마지막 기간 동안 보고 듣고 느끼고 깨달은 기록을 통해 무엇을 위해 살아야 하는지, 우리 삶에서 진정 중요한 것은 무엇인지 돌아보게 된다.
1976년 1월 베트남 땀끼에서 선천성 백내장을 가지고 태어났다. 맹인으로 태어난 손녀를 가문의 수치로 여긴 할머니 때문에 안락사 당할 뻔했으나 가까스로 살아남았다. 세 살이 되던 1979년 2월, 베트남 내전을 피해 가족과 함께 고향을 탈출했고 그해 11월 미국으로 이주했다. UCLA에서 수술을 받고 부분적으로 시력을 회복했다.
하버드대학교 법학 대학원을 졸업하고 변호사가 되어 세계적 로펌인 클리어리 가틀립 스틴 앤 해밀턴(Cleary Gottlieb Steen & Hamilton)에 입사했다. 변호사로 일하며 승승장구하는 한편 남편 조시를 만나 결혼했고, 두 딸을 낳고 행복한 가정을 꾸리며 남부럽지 않게 살았다. 2013년 서른일곱 젊은 나이에 결장암 4기 진단을 받았고, 5년의 투병 끝에 2018년 3월 여섯 살과 여덟 살인 두 딸을 남겨두고 세상을 떠났다. 이때 그녀의 나이 마흔둘이었다.
『그 찬란한 빛들 모두 사라진다 해도』는 수많은 시련에도 불구하고 열정적이고 활기차게 살아가던 한 여성이, 시한부 선고를 받고 5년간 투병 생활을 하면서 남긴 기록이다. 하루라도 더 살기 위해 몸부림치는 대신 살아 있는 동안 인생을 즐기고, 남겨진 두 딸에게 의미 있는 메시지를 전하기 위해 이 책을 썼다.
가족을 향한 사랑, 성공에 대한 야망, 시각장애인으로 살면서 느꼈던 수많은 방황과 분노, 암에 대한 공포와 혼란 등을 숨김 없이 써내려간 이 책은 출간 직후 미국 아마존 베스트셀러에 오르며 수많은 독자들의 찬사를 받았다.
줄리 입 윌리엄스 저자가 집필한 등록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