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지의 작은 역사
헌법 위에 금지가 있었다
― 세상이 나에게 주입한 20가지 불온한 것들의 목록
‘지금, 여기, 한국’에서 금지 또는 금기시되는 여러 가지 것들로부터 출발해 그 역사와 문화, 그리고 정치의 맥락을 짚어보려는 의도로 기획된 『금지의 작은 역사』가 출간되었다. 한국에서 금지 또는 금기시되는 여러 가지 것들의 역사와 그를 둘러싼 규범과 문화정치를 살피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금지한 자들, 금지한 집단들은 어떤 이익을 얻으려고 금지를 기획했을까?
그것들은 ‘현재’에도 살아 있는 것이어서 문제적이고, 이를 통해 우리는 한국의 자유와 다양성의 규모를 가늠해볼 수 있을 것이다. 곧 우리가 누리는 ‘자유 민주주의’의 양과 질에 대한 점검이며 동시에 ‘평등’의 수준에 대한 평가도 된다. 억압이란 모두에게 똑같이 가해지는 것이 아니고, 금기는 항상 특정한 젠더나 계급을 배제하는 힘이기 때문이다.
근·현대문학사, 법사회사, 문화연구 등 서로 다른 전공의 연구자들로 구성된 다섯 명의 저자들은 ‘세상이 나에게 주입한 20가지 불온한 것들의 목록’을 추렸고, 그 금지된 것들의 합법화 필요성을 주장하는 차원을 넘어 정상·비정상과 건전·불온을 가르는 잣대들이 우리의 일상에서 어떻게 작동하고 있으며, 어떠한 연원을 갖는지 들여다보고 있다.
『금지의 작은 역사 ― 세상이 나에게 주입한 20가지 불온한 것들의 목록』은 노조금지와 금서·검열, 반공주의 등 한국 사회의 치명적인 정치적 금압의 쟁점들과 동성애나 혼인 등의 인권 문제, 더불어 복장이나 갑질, 순수성 등과 같은 미시적인 소재들을 다루고 있다. 아울러 타투(문신)나 도박, 대마와 낙태 등 제도적으로 금지된 대상들과 함께 부랑인과 청소년처럼 주체성을 배제당한 주체들에 관해서도 이야기했다. 저자들은 우리 주변에서 늘 벌어지는 일상의 금기들을 세심히 살피며 ‘자유·평등의 제도적 총량뿐 아니라 개인적 분량도 늘려가는’ 계기가 되었기를 소망하고 있다.
1 갑질 ‘권위주의’로 추상화된 폭력, 갑의 횡포를 희석하다
2 북한 맹목적 ‘반북’과 환상적 ‘종북’을 넘어
3 정신병 왜 정신병을 이토록 두려워할까
4 부랑인 ‘건전사회’와 그 적들, 밝고 환한 사회를 위한 ‘잉여인간 청소’
5 타투 생살에 새긴 ‘자기 마음’, 그 선망과 혐오 사이
6 정상가정 이성결혼 후 출산한 가정만 정상? ‘배제의 울타리’ 걷어내야
7 동성애 동성애 반대하십니까?
8 가정의례준칙 법으로 구속한 관혼상제, ‘과시욕망’까지 가두진 못했다
9 패션 옷이라는 미디어가 만들어낸 많은 의미들
10 청소년 누구를 위한 금지인가, 짓눌린 청소년의 자기결정권
11 순수성 잡스러운 것을 허하라, 순수하지 않은 것은 정녕 나쁜가
12 도박 불황의 그늘에서 피어나는 ‘요행 심리’ 노름꾼의 욕망
13 낙태 합법화 논쟁 이전에 여성의 목소리 경청해야 할 순간
14 노조 모두에게 노조 할 권리, 노조 없는 경제민주화가 가능할까?
15 방송과 권력 금지곡·땡전뉴스·블랙리스트, 방송 검열의 문화적 파급과 저항의 기록들
16 마약 사이키와 뽕, 금지를 넘어선 상상과 욕망을 위하여
17 대마초 한국인의 대마포비아, 세계는 합법화 추세
18 유머의 정치 웃음이 세상을 구하는가, 비극적 희생이 세상을 구하는가
19 반미 여러 가지 얼굴을 가진 미국, 한 가지 시각만을 강요한 권력들
20 금서 100년 동안의 금지된 책읽기, 지금도 현재진행형
김성환,오영진,이소영,천정환,허민 공저 저자가 집필한 등록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