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한계기업의 재탄생 - 구조조정, 회생, 프리패키지 - 기업의 경영 위기 극복 매뉴얼

한계기업의 재탄생 - 구조조정, 회생, 프리패키지 - 기업의 경영 위기 극복 매뉴얼

저자
UAMCO연합자산관리 지음
출판사
한국경제신문
출판일
2017-05-29
등록일
2017-08-17
파일포맷
EPUB
파일크기
13MB
공급사
알라딘
지원기기
PC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현황
  • 보유 1
  • 대출 0
  • 예약 0

책소개

한계 상황에 맞닥뜨린 기업, 위기의 돌파구 어디서 찾아야 하는가?
합리적 경영 판단 없이 진행된 무리한 시설투자, 급작스런 경기 침체에 따른 재무 부실화 등 기업의 경영 활동은 오늘도 내외부의 무수한 요인에 의해 위협받고 있다. 부실징후가 나타나기 전 선제적, 자발적, 상시적인 자체 구조조정을 진행해야 하지만 실제로 이를 실천하는 기업은 드문 게 현실. 결국 구조조정 타이밍을 놓치고 채권자의 자금상환 압박, 상거래채권자의 변제금액 반환 요구 등으로 인한 유동성 부족으로 기업은 정상적인 경영활동이 불가능해지는 극한 상황에 이르게 된다. 늦었지만 공적 구조조정을 통한 정상화의 단계에 접어든 것. 이러한 절체절명의 상황에서 기업주와 임원들은 자사의 현실에 맞는 가장 합리적인 구조조정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동분서주하지만 운전자금 압박, 채무 상환 압박, 신규대출 중단, 거래처 대금 압박 등 무수한 악재들 속에서 스스로 올바른 구조조정 방안을 마련하기란 결코 쉽지 않다. 『한계기업의 재탄생』은 이처럼 한계 경영 상황에 처한 기업을 위해 실제 현장에서 구조조정을 담당하고 있는 공인회계사, 변호사 등 각 분야 전문가 집단의 상세하고 다양한 노하우를 담아내 확실한 경영 정상화의 돌파구를 제시하고 있다.

워크아웃, 회생, 패스트 트랙, 사모펀드, M&A…
현 구조조정 시장의 상황에 대한 정확한 로드맵을 제시하다

『한계기업의 재탄생』은 기업의 재무 담당자를 위해 워크아웃, 기업회생절차 등의 구조조정의 다양한 방안에 대한 정의와 그 효용성 및 한계점에 대해 일목요연하게 보여준다. 1997년 IMF 외환위기에 도입돼 채무상환 위기에 빠진 기업들에 금융권 중심으로 갱생의 기회를 제공했던 워크아웃은 2007년 리먼 브라더스 사태로 전 세계를 휩쓴 경제공황에서 낡은 제도가 되어버렸다. 키코로 인한 외화평가손실 등의 미확정채무, 우발채무, 선수금 환급 보증 등 기업의 자금조달 방식이 그만큼 다양해졌기 때문. 이에 부상한 것이 법원의 적극적 통제에 따르는 기업회생절차였다. 그러나 회생절차 역시 신규자금 지원과 채무 조정의 유연성에서 많은 제약이 따를 수밖에 없었고, 이에 최근에는 법원 중심의 회생절차 틀 안에서 금융권 중심의 워크아웃 장점을 각각 취합한 패스트 트랙이 등장하고 있다. 『한계기업의 재탄생』은 그밖에도 재기지원사모펀드 등 최근 구조조정 시장에서 떠오르고 있는 전략적 시장 투자자의 다양한 역할들을 소개함으로써 기업 담당자에게 자사의 구조조정에 대한 전략을 세우는 데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현업에 종사 중인 구조조정 전문가들이 설명하는 최신 기업 갱생 사례
『한계기업의 재탄생』과 기존 구조조정 관련 서적들의 확실한 차이점은 현재 시장 상황에 맞지 않는 과거 사례가 아닌, 최근 실제로 기업 갱생에 성공한 다양한 사례들을 적극 소개함으로써 현 구조조정 시장을 명확하게 보여주고 있다는 점이다. 저자들은 우선 산업환경 변화 적응 실패에 따른 부실, 영업 또는 생산 관리 소홀에 따른 부실, 기술변화 적응 실패에 따른 부실, 사업 예측 실패로 과도한 시설투자에 따른 부실, 이종사업으로의 무리한 진출에 따른 부실, 관계사 부실에 따른 부실, 클레임 소송 등에 대한 부적절한 대응에 따른 부실 등의 다양한 기업 부실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이러한 정확한 부실 원인 파악을 통해 그에 맞는 대처 방안이 갈릴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책에서 저자들은 다양한 부실 원인을 바탕으로 사모펀드의 자금 유치와 채권 매집을 통한 기업 갱생 사례를 비롯해 채무자와 채권자가 함께 상생 가능한 변경회생계획안을 통한 갱생 사례, 채권자들의 회생절차 참여 유도를 통한 갱생, 구조조정 전문가의 정밀한 기업 분석을 통한 갱생, 담보권자의 출자전환을 통한 경영 정상화 사례, 적절한 기업분할을 통한 기업 갱생, 신규출연자 유치를 통한 갱생 사례 등, 실제 현장에서 파산의 위기에 몰렸다가 경영 정상화에 이른 다양한 사례를 일목요연하게 설명하고 있다. 한계 상황에 처한 각 기업들에게는 최고의 묘수를 찾는 기회가 될 것이다.

한계기업들의 경영 정상화를 위한 핵심 실무 가이드
기업에 위기는 언제든 찾아올 수 있다. 적게는 수년부터 많게는 수십 년을 피와 땀으로 회사를 일군 창업주에게는 하루아침에 모든 것을 날릴 파산의 위기이며, 임직원들에게는 자신뿐만 아니라 가족의 생계가 달린 절체절명의 문제이다. 이렇듯 중차대한 상황에서 어떤 구조조정 프로세스를 선택하느냐 하는 것은 기업의 갱생에 있어 결정적인 문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구조조정을 당하는 한계기업은 자사의 경영 상황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기가 힘든 게 현실이다. 따라서 어떤 구조조정 전문가를 만나느냐에 따라서 기업의 앞날이 갈리게 된다. 전문가와 함께 채권자협의회를 설득하고, 채무자회사와 채권자 사이의 균형 있는 희생이 담보될 때, 기업에게는 회생의 기회가 생길 수 있다. 한계기업들을 위해 다양한 실제 기업회생 사례를 중심으로 핵심 실무를 알기 쉽게 정리한 『한계기업의 재탄생』을 통해 충분히 회생을 넘어 경영 정상화의 기회를 잡을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공동 저자

김원기(대표 저자)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부. 現연합자산관리 CR본부 2팀장. 공인회계사. 前삼일회계법인, 한영회계법인, 하나대투증권 M&A팀

노환종(부대표 저자)
성균관대학교 경영학부. 現연합자산관리 CR본부 부장. 공인회계사. 前한영회계법인, 아주산업 회장실

박경도
고려대학교 경영학과. 現연합자산관리 CR본부 부장. 공인회계사. 前NH투자증권, 우리투자증권, 삼일회계법인

한순우
고려대학교 경영학과. 現연합자산관리 CR본부 부장. 공인회계사. 前하나은행, 한영회계법인, 삼일회계법인

권용
중앙대학교 경영학과, 한국과학기술원 테크노경영학과 석사. 現연합자산관리 CR본부 부장. 공인회계사. 前규캐피탈, 신한BNP파리바자산운용, 한영회계법인, 하나은행

고영주
경희대학교 회계학과. 現연합자산관리 CR본부 부장. 공인회계사. 前삼일회계법인

윤대웅
연세대학교 경영학과. 現연합자산관리 CR본부 부장. 공인회계사. 前삼일회계법인

박현
연세대학교 경영학과. 現KPMG삼정회계법인 Deal Advisory 공인회계사

김태훈
홍익대학교 경영학과. 現KPMG삼정회계법인 Deal Advisory 공인회계사

엄태정
서강대학교 경영학과. 現EY한영회계법인 공인회계사. 前 삼일회계법인

오동혁
서강대학교 경제학과. 現한영회계법인 공인회계사

송승언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現부일회계법인 공인회계사. 前한영회계법인

김병균
서울대학교 법학과. 現 법무법인 로고스 변호사. 前 법무법인 세아

박진홍
서울대학교 법학과. 現 법무법인 태평양 변호사

감수

오광희
고려대학교 국제금융 박사, Claremont Univ. 경영 MBA. 現 옥터스인베스트먼트파트너스 대표이사. 前 Global Star Korea Fund Advisors, Henderson-IIC Private Equity, 한국신용정보㈜

나종선
중앙대학교 경제학과. 現 세하(주) · (주)바오스 부사장. 前 연합자산관리 CR본부 본부장, 우리은행 기업개선부장

김정호
연세대학교 경영학과, 뉴욕주립대 기술경영 석사. 現 오퍼스프라이빗에퀴티㈜ 대표이사. 공인회계사. 前 우리프라이빗에퀴티㈜

김두일
고려대학교 경영학과. 現 연합자산관리 CR본부 본부장. 공인회계사. 前 삼일회계법인

QUICKSERVICE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