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 경제적인 하루 - 잘못된 선택 때문에 매일 후회를 반복하는 당신에게 권하는
한 사람의 하루하루를 통해 배우는 선택의 경제
우리 일상 그 자체인 경제학, 경제적으로 배우자
“시사경제, 아는 만큼 보인다”, “직장인에게 가장 필요한 주식공부”, “직장인과 대학생 모두 함께 배우는 경제동아리” 등등 경제 공부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목소리는 차고 넘친다. 이에 이끌려 경제학 책을 펼치지만 어렵고 딱딱한 용어와 재미없는 학교 수업 이야기뿐이다. 몇 가지 원리만 알면 학자 못지않게 경제학을 활용할 수 있다는데, 중요한 선택의 순간엔 이미 알던 것도 도움이 되질 않는다. 경제적인 삶에 이론이 진짜 도움을 주긴 하는 걸까. 의문만 늘어간다.
“경제학 공부 너무 어렵고 도저히 이해가 안 돼요. 써먹을 수 있는 몇 가지 스킬만 뽑아서 가르쳐주시면 안 될까요?” 경제학자인 저자가 수없이 들어온 질문이다. 착실히 돈을 모으고 싶은데 경제에 대해서는 알짜무식이고, 일터에선 구박을 맞지만 이유는 모르는 직장인. 사무실에서, 외근 장소에서, 마트와 은행에서 경제 문제로 고군분투하고 있을 팀장의 모습을 떠올리며 알짜배기 원리들만 추렸다. 책 속에서 팀장의 하루 일과를 함께하면서, 독자는 당장에 써먹기 좋은 10가지 경제 도구들을 살뜰히 챙길 수 있을 것이다.
합리적으로 선택하려면, 경제학이라는 무기를 장착하라!
책은 사람들이 경제 문제로 고민하는 순간이 언제 찾아오는지 포착해 알아야 할 원리들을 하나씩 짚어나간다. 우연한 기회로 현장에서 실무자로 일하게 된 저자는 실제 문제들을 접하면서 일터에서의 고민거리와 경제 원리를 따로 구분해 생각하는 사람들에게 단단한 연결 고리가 필요하다는 것을 느꼈다. 직장에서, 은행에서, 시장에서 모른다는 이유로 우유부단해지지 않기 위해 우리는 경제학이라는 무기를 장착해야 한다. 대충 결정하는 게 더 낫다는 상사의 말, 설문 문항 순서에 따라 천차만별 달라지는 수익, 고를 때마다 고민하면서도 현금 대신 선물을 주는 이유 등 저자는 일상에서 경제학이 필요한 순간들에 적절한 도구들을 제시한다.
하루가 벅찬 당신에게 건네는 맥가이버 경제도구 10가지
눈앞의 이익을 챙기기 위해서는 그 뒤에 존재하는 경제학의 구조와 논리를 써먹어야 한다. 직장인이라면 회사에서 이래도 고민, 저래도 고민인 상황을 수시로 마주한다. 저자는 결정의 순간에 경제학을 유연하게 써먹은 기업들을 소개하며 일터에서 만나는 경제 현상을 구체적으로 파헤친다. 모두가 고개를 저었던 자동차 회사 포드의 파격적인 임금 인상의 이면에는 효율임금이론이 있었으며, 냉장고를 공짜로 나누어 준 보쉬-지멘스는 고정비용 원리를 활용해 손해를 줄였다. 이처럼 경제학을 이용해 좋은 성과를 얻은 실제 기업의 사례는 일상의 문제들을 경제학적으로 받아들이는 데 무딘 사람에게 유용한 이정표처럼 다가올 것이다.
비효율적이었던 당신의 일상이 경제적으로 변화할 것이다
저자는 직장에서 고전하고 있을 팀장의 하루를 각 장 앞에 소개하면서 일상의 경제 문제를 더 가깝게 느끼도록 했다. 계속되는 원리 설명이 버겁게 느껴질 땐 알아두면 좋을 짧은 상식을 곁들이고, 어려운 개념이 얽혀 있을 땐 잠깐 정리로 이해를 도왔다. 실제 기업의 사례나 사회 현상을 분석할 때는 관련 사진을 함께 붙여 넣었다. 경제적 부가가치가 현금 흐름 파악의 지표가 될 수 있다는 상식, 요일제와 통행료가 보여주는 경제 개념의 요점, 집적 경제의 대표 사례인 이탈리아 밀라노의 사진까지. 책은 경제를 그래프와 도표로 자주 접했을 독자를 위해 실상의 언어를 선택해 설명하고 있다. 경제학 원론을 전부 다 알아야 할 필요는 없다. 우리는 경제학을 경제적으로 배울 수 있어야 한다. 당신의 하루를 단단하게 조여 줄 경제 도구 몇 가지만 익혀놓자. 책에 담긴 원리들을 통해 당신의 일상은 하루가 다르게 경제적으로 변화할 것이다.
열심히 배우고, 현장을 뛰며 지식을 나누고, 현장에서 다시 배우는 것에 보람을 느낀다.
KDI 전문연구원으로 연세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경제학을, KAIST대학원에서 경영학을 공부했다. 현재 여성부 양성평등위원,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상임이사, 이야기경영연구소 기획위원, 세종시 지역산업발전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문득 디자인을 통한 혁신 창출에 관심이 생겨 홍익대 대학원에서 산업디자인을 공부하기도 했고, 한국디자인단체총연합회 사무총장 등을 역임한 바도 있다. 경제, 경영, 디자인, 인문학, 사회문제 등 그야말로 종횡무진 지적 호기심을 발산하고 있는 중이다.
그러면서 가진 경제지식을 대중과 나누고 있다. .MBC 라디오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KBS1 〈아침마당〉, KBS2 〈여유만만〉, tvN 〈곽승준의 쿨까당〉, EBS 〈TESAT 경제강의〉 등 다양한 매체와 주요 공공기관 및 기업에서 보통 사람들을 위한 교양 경제 강의를 한다. 대표 저서로 《경제학자의 인문학 서재》(1권, 2권), 《경제학 입다/먹다/짓다》, 《한국사에 숨겨진 경제학자들》 등이 있다. 한국경제신문, 네이버캐스트 등에도 글을 쓴다.
먹고살기 위해 직장으로, 아이를 위해 가정으로, 노후를 위해 은행으로 가는 사람들이 효율적으로 경제학을 익히길 바랐다. 경제는 어렵다고 말하는 사람들을 만날 때마다 하고 싶은 말은 많았지만 해줄 수 있는 말이 정리되어 있지 않아 답답했다. 진짜 알아야 할 것들만 추려보자는 마음으로 10가지 도구들을 골랐고, 현실감을 살리고 싶어 회사에 있음직한 팀장 한 명을 떠올려 상황극을 만들었다. 다짐과는 다르게 반도 못 읽고 책을 덮었던 사람에게, 유용하게 쓰이는 한 권의 책이 되기를 소망한다.
들어가기 전에
일상의 합리성은 경제학에서 나온다 04
01 합리적 선택을 위한 물음표들
잘한 결정이란 무엇일까 15
출근길, 교통난을 해소하는 경제적인 방법이 있을까 19
회의 1, 왜 경쟁자들끼리 모이는 걸까 25
회의 2, 법과 제도를 만드는 데 왜 경제학자가 필요할까 36
퇴근길, 어떻게 선물해야 가장 경제적일까 40
대충 결정하면 비경제적일까 45
02 비용을 평가하면 결정이 쉬워질까
당신이 포기해야 하는 것 55
가치 판단과 비용은 분리될 수 없다 60
기회비용과 함께 계산해야 할 한계들 64
혁신을 위해 버려야 할 것들 71
잘못된 결정의 폐해들 76
돌이킬 수 없는 비용을 자꾸만 고려하는 사람들 82
직관적인 결정은 비경제적일까 88
03 합리적인 사람은 한계적으로 사고한다
만족을 극대화하는 방법 97
한계적 인간이 사람을 움직인다 105
많이 소비해도 만족이 줄어들 때 113
비용보다 편익이 많게 하려면 125
편익 분석은 불안에 의해 좌우된다 132
04 우리는 인센티브에 지배당하고 있다
인센티브에 움직이는 사람들 145
주관적으로 평가해도 괜찮은 걸까 159
우리를 움직이는 다양한 인센티브 요인들 171
05 자유거래는 모든 사람을 이롭게 한다
태초의 잉여는 경제학에 있었다 187
거래방법의 선택, 자유 vs 보호 202
06 가장 가깝지만 제일 모르는 곳 - 시장
시장은 살아있다 그리고 변화한다 217
독점기업이 되면 돈을 많이 벌 수 있을까 224
무기가 되는 매력, 진입장벽 233
독점, 독이 되지 않으려면 245
07 보이지 않는 손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때 - 시장실패
우리는 의도치 않게 서로에게 영향을 미친다 256
모르는 사람이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한다 265
국립공원 입장료가 하는 일 270
비효율적인 기업이 계속 운영되는 이유 292
08 성공을 좌우하는 몇 개의 숫자들 - 지표
현실 경제를 알기 위한 가장 기초적인 것 302
경제지표는 ‘어떻게’가 중요하다 321
09 가장 고통스러운 화폐 현상 - 인플레이션
경제문제가 가장 피부로 와 닿을 때 336
높은 물가도 변명이 필요하다 346
인플레이션을 설명할 단어는 더 필요하다 354
10 안전하기 위해 가장 먼저 챙겨야 할 것 - 위험
먼저 기울어진 주관을 극복하라 368
우리가 직접 만나는 위험들 378
감사의 말 3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