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페미니스트 유토피아

페미니스트 유토피아

저자
리아 페이- 베르퀴스트·정희진 외 62인 지음, 김지선 옮김, 알렉산드라 브로드스키&레
출판사
휴머니스트
출판일
2017-02-19
등록일
2017-08-17
파일포맷
EPUB
파일크기
50MB
공급사
알라딘
지원기기
PC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현황
  • 보유 1
  • 대출 0
  • 예약 0

책소개

We want more.
내일, 당신이 살고 싶은 그곳
페미니스트의 상상은 현실이 된다!


우리가 정말 살고 싶은 세상을 우리는 말할 수 있을까? 뭉뚱그리지 않고, 검열하지 않고, 눈치보지 않고, 정말로 살고 싶은 세상을 글로 쓸 수 있을까? 여기 미국의 페미니스트 57인과 한국의 페미니스트 7인이 정말 살고 싶은 세상을 상상해서 펼쳐 보여준다. 결혼은 어떻게 달라지고, 트랜스젠더를 포용하는 헌법의 전문은 어떤 것이며, 여자 혼자 떠나는 여행의 모습은 어떻게 될지, 10대 엄마의 일과는 어떻게 달라질지, 섹스에 관한 개념은 어떤 것인지, 공동체는 폭력 사태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등을 하나하나 구체적이고 유머러스하게 써내려간 흥미진진한 글들의 모음이다.

지난 해 독서시장을 뒤흔든 페미니즘 열풍이 이제 한 차원 더 진화했다. 교양으로서 페미니즘을 통해 세상을 새롭게 인식했다면, 이제는 새로운 인식을 바탕으로 구체적으로 어떤 세계를 만들어갈 것인지 한 발 더 나아가야 한다. 모든 새로운 것은 지난 시대의 상상이 현실이 된 것처럼, 페미니스트의 상상 또한 현실에서 이루어질 밑불이다. 그런 염원을 담아 여기, 동시대를 살고 있는 미국의 페미니스트 57인과 한국의 페미니스트 7인이 저마다 생각하는 유토피아를 픽션, 에세이, 인터뷰, 시, 시각예술로 담아냈다. 이들이 들려주는 유토피아의 모습은 비단 미국 사회, 한국 사회의 문제를 넘어 지금 전지구가 직면한 근원적인 젠더 문제를 감각적으로 첨예하게 담아내고 있다. 이 책에서 그려내는 저마다의 상상은 유토피아를 건설하는 데 있어, 모두 구체적으로 사유하고 대안을 마련해내지 않으면 안 되는 중요한 문제들이다. 이 책은 페미니즘에 관심을 가진 이들이나 처음 페미니즘에 접하는 독자들에게 생활 속에서 구체적으로 느낄 수 있는 성폭력, 패션, 가사노동, 식당노동자, 법체계, 경제, 보육, 일상적인 공포, 처벌, 피해자에 대한 태도 등의 문제가 어떻게 해소되고 새롭게 정의되는지를 흥미롭게 들여다보게 하고 나아가 새로운 페미니스트 유토피아를 건설하는 데 더 필요한 상상력이 무엇인지 완벽하진 않지만 구체적이고 디테일한 밑그림을 그리는 데 마중물이 될 만한 책이다.


1. 페미니스트가 구체적으로 상상하는 미래는 어떤 것일까?
- ‘이기적’이고 ‘게걸스러운’ 페미니스트들의 64가지 이유 있는 유토피아


‘상상’은 인간이 가진 가장 강력한 현실 전략이다. 인간의 역사를 돌이켜보면, ‘상상’했기 때문에 민주주의를 이룰 수 있었고, 상상했기 때문에 하늘을 날고 우주로 나갈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인간의 체계 중 가장 불합리한 체계인 젠더 문제만큼은 항상 ‘나중’으로 미뤄져왔다. 사회의 어떤 의제에서도 항상 다른 의제에 양보하고 나중에 생각하자라는 말로, 유보되었다. 그러나 지금 우리 사회의 문제는 젠더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키지 않고 새로운 세상을 상상하기란 불가능하다. 계속 미루다보니, 이제 ‘상상력’까지 메말라가고 있다. 이에 ‘페미니스트 유토피아’ 프로젝트는 페미니스트들이 구체적으로 상상하는 유토피아가 무엇인지 그 구체적인 실체를 탐색해보고자 했다. 페미니스트 유토피아에서는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시점에, 가장 필요한 유토피아가 무엇인지 다음과 같은 질문을 통해 그 상상력의 구체적인 밑그림을 그려보고자 한다. 이 질문을 토대로 페미니스트들이 상상하는 유토피아를 따라가다 보면, 단지 이 책이 페미니스트만을 위한 책이 아니라 인간 존엄에 대한 근본적인 성찰이 담겨 있음을 알게 된다.

- 성폭력 없는 세상은 가능한가? 가능하다면 그 세상에서의 성애는 어떻게 정의되는가?
‘강간 문화가 사라진 미래에서 알립니다’ ‘길거리 성희롱이 없는 세계’ ‘환상적인 섹스’ 편에서는 페미니스트 유토피아에서 성폭력의 문제를 다루며, 성폭력이 없어진 세계에서 섹스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 페미니스트 유토피아에서 몸과 외모에 대한 편견은 사라지는가? 그 세상에서 몸은 어떻게 인식되는가?
‘내 몸은 부끄럽지 않아’ ‘레스보스 섬’ ‘2801년 패션 뉴스’ ‘브래지어 대신 입을 수 있는 아름다운 것들’ ‘섭식장애를 보내며’ 편에서는 소비되는 몸이 아니라 주체로서 존엄받는 몸이 어떤 것인지 보여준다.

- 여성의 스포츠나 문화 참여는 어떻게 이루어질까? 젠더의 제약이 없다면 성별에 구분 없이 동등한 경쟁이 가능한가?
‘스포츠에 멋지게 참여하는 몇 가지 방법’ ‘우리는 걸 밴드가 아니에요’ 편에서는 남성 중심 문화를 대표적으로 나타내는 스포츠 분야와, 록 밴드에서 젠더 구분이 사라진다면 남녀의 생물학적 격차라는 것도 환상처럼 덧씌워진 편견임을 보여준다.

- 페미니스트 유토피아에서 범죄는 발생하는가? 만일 발생한다면 그 처벌은 어떤 방식과 목적으로 이루어지는가?
‘복수, 정의, 공동체’ ‘치유에 주목하는 처벌’ 편에서는 유토피아에서 범죄가 발생한다면 사회는 그 범죄를 어떻게 처벌하는지에 관심을 두고 그려낸다. 단지 죗값을 치루는 데 그치는 처벌을 넘어 공동체 일원으로 다시 기여할 수 있는 바를 탐색하는 사회를 상상한다.

- 교육은 어떻게 바뀌어야 하는가? 아이들은 무엇을 배우게 될까?
‘공감 세대 키우기’ ‘유색인종 부모에게 페미니스트 유토피아는 어떤 모습일까’ ‘ 유토피아에서는 뭘 배울까’ ‘경계를 허무는 교실’ ‘페미니즘 기반의 의학 교육’ ‘아이들은 유토피아에서 뭘 가지고 놀까’ ‘새로운 세대의 시민권 선서’ 등의 편에서는 페미니스트 유토피아를 건설하는 데 있어, 교육이 가장 중요한 요소임을 분량 면에서 단적으로 보여준다. 새로운 세계를 만들기 위해서는 새로운 인식을 지닌 주체들이 성장해야 하고, 그 과정에서 교육의 혁신은 꼭 필요한 요소이다. 아울러 페미니스트 유토피아를 유지하고 더 보완하는 과정에서도 교육의 역할은 매우 중요함을 보여준다.

- 결혼 제도는 계속 유지될 것인가? 바뀐다면 새로운 대안은 무엇일까?
‘레스보스 섬’ ‘재생산 도우미’ ‘결혼은 안 해’ ‘어느 10대 엄마의 하루’ ‘트랜스젠더 유토피아’ ‘어느 흔한 밤, 어느 흔한 술집에서’ 편에서는 결혼 제도에 얽매이지 않는 미래의 모습을 상상해 보여준다. 동성이든 이성이든 누구나 아이를 기르거나 낳는 것을 선택할 수 있으며, 기혼자 위주의 복지 제도에서 벗어나 누구나 동등하게 복지를 누릴 수 있는 사회를 보여준다.

- 페미니스트 유토피아 경제체제에서는 무엇을 중점에 두고 경제정책이 집행될 것인가?
‘불완전해도 괜찮아: 인간의 결점을 포용하는 유토피아’ 편에서는 유토피아에서 경제 정책이 구체적으로 어떤 방향으로 집행될지 상상해 보여준다. 아이들에게 원하는 교육을 누구나 무료로 받을 수 있게 하고, 가사 및 양육 노동이 직업노동과 구분되지 않고 동등하게 대우를 받는 등, 공공 부분과 인권에 아낌없는 지원을 하는 경제 정책이 어떤 관점에서 나올 수 있는지 탐색한다.

- 페미니스트 유토피아에서 직장 노동과 가사 노동은 어떻게 달라지는가?
‘동네 급식소’ ‘재생산 도우미’ ‘페미니스트의 미래 직장’ ‘적은 노동, 많은 시간’ ‘자수 혁명’ ‘평등 식당’ 편에서는 현재까지 여성의 일로 젠더화된 식사, 출산, 양육, 청소 등의 가사 노동과 그것의 사회적 확장판인 식당, 청소 노동자의 모습을 통해 유토피아에서 노동이 어떻게 대접받는지를 그린다. 가사 노동으로 일컬어진 노동은 모두 전문 직업군으로 분류되어, 존중과 대우를 받으며 식당, 청소 업체의 근무환경은 지금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인간 존엄적인 모습을 상상해 보여준다.

- 페미니스트 유토피아의 보건 정책은 어떻게 달라지는가?
‘미친년들’ ‘페미니즘 기반의 의학 교육’ 편에서는 자본주의 사회를 공고히 떠받드는 젠더적 편견이 사회적으로 어떻게 미친년을 만들어내는지, 또 의학교육에서 표준적인 몸을 상정하고 그에 부합하지 않는 몸을 폭력적으로 배제하는 현상이 얼마나 위험한지를 보여준다.

- 페미니스트 유토피아에서 성 노동은 어떻게 받아들여지는가?
‘유토피아에도 성 노동이 있느냐고 묻는 것에 관하여’ ‘ 유토피아에서 포르노 배우는 어떻게 받아들여질까’ 편에서는 성 노동에 대한 논쟁적인 지점들이 미래에 어떻게 변화해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을 풀어내고 있다.

- 페미니스트 헌법은 무엇을 근본적인 가치로 두고 법체계를 세울 것인가?
페미니스트 헌법에서 가장 핵심적인 가치는 바로 자유의 재정의이다. 기존의 침해에서 벗어나는 부정적이고 소극적인 자유가 아니라 긍정적인 측면에서 ‘존재할’ 자유가 중요함을 근본적으로 재정의한다.


2. 미국 페미니스트들의 불쏘시개에 한국 페미니스트들이 기름을 붓다
- 정희진, 은하선, 최은영, 김하나, 최서윤, 김지양, 이진송이 더하는 페미니스트 유토피아


이 책은 미국의 페미니스트 57인이 젠더 문제를 구체적인 언어로 상상해서 펼쳐놓고 보자는 프로젝트로 시작했다. 그에 더해 한국의 페미니스트들이 생각하는 유토피아를 함께 보여주는 것이 필요하다는 판단에 한국에 살고 있는 페미니스트 7인이 동참했다.
한국적인 맥락에서, 유토피아는 가족의 식사로 대표되는 가사노동의 문제, ‘메갈’로 표상되는 미러링의 전략적 의미, 문단 등 문화계에서 위계화된 젠더 문제, 젊은 여성으로서 페미니스트를 표방할 때의 어려움, 낙인 찍지 않고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사회, 남성중심의 폭력적인 젠더 사회에서 상처받은 소수자의 목소리 등에 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오랫동안 여성문제를 사유해온 여성· 평화학자 정희진을 필두로, 카피라이터로 널리 알려진 김하나, 소설집 《쇼코의 미소》로 문단의 주목을 받은 최은영, 《월간 잉여》라는 잡지를 만들고 다방면에서 활동하는 최서윤, 몸매에 대한 강박을 넘어 당당한 플러스 사이즈 모델을 표방한 김지양, 섹스칼럼니스트로 한국 사회의 위선적이고 가부장적인 문화에 도발적인 질문을 던진 은하선, 《계간 홀로》를 창간해 연애와 결혼을 강요하고 조장하는 사회에 새로운 목소리를 던진 이진송 등 한국 페미니즘의 최전선에서 활약하는 이들의 글을 통해, 한국에서도 현실진단과 비판을 넘어 페미니즘의 이상이 구현된 실체를 구체적으로 사유하고 언어화하는 첫걸음을 내딛고자 한다. ‘언어가 곧 세계’라는 말처럼, 구체적으로 상상하고 언어화하면 반드시 현실이 될 것을 믿으면서, 이 책을 독자들과 함께하고자 한다.

[저자 소개]

◎ 한국의 페미니스트 7인


정희진
여성학?평화학 연구자다. 저서에 《아주 친밀한 폭력》, 《페미니즘의 도전》, 《정희진처럼 읽기》가 있다. 최근작 《양성평등에 반대한다》의 편저자이며, 50여 권의 공저서가 있다. 300권이 넘는 책의 해제와 서평을 썼다. 책읽기를 좋아하는 글쓰기 강사이기도 하다.

은하선
섹스를 좋아하는 페미니스트이다. 여성과 퀴어를 위한 섹스 토이샵 ‘은하선토이즈’를 운영하고 있다. 다수의 섹스 토크, 토이 파티 등을 진행했고 10대 여성들의 즐겁고 안전한 섹스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저서로 《이기적 섹스: 그놈들의 섹스는 잘못됐다》와 《그럼에도 페미니즘(공저)》이 있으며, 2017년 현재 《경향신문》에 ‘은하선의 섹스올로지’를 연재하고 있다. 여성 파트너와 고양이 두 마리를 모시고 살아가고 있다.

최은영
소설가. 지은 책으로 《쇼코의 미소》가 있다.

김하나
브랜드라이터. 브랜드라이터이자 ex-카피라이터이다. 광고와 모든 매체에서 다양한 여성들을 더 보고 듣고 싶은 사람이다. 지은 책으로 《내가 정말 좋아하는 농담》이 있다.

최서윤
《월간잉여》 편집장. 역지사지 잘하는 것도 능력이라고 본다. 역지사지 능력을 키우는 데 기여하는 문화 콘텐츠를 궁리하며 살고 있다. 잡지를 만들었고, 보드게임을 개발했고, 단편영화를 찍었다.

김지양
한국인 최초로 미국 런웨이에서 데뷔한 플러스 사이즈 모델이자 사이즈 너머의 무한함에 대해 이야기하는 매거진《66100》의 편집장이다.

이진송
《계간홀로》 편집장. 3녀 1남 중 둘째, 경상도 출신의 내추럴 본 페미니스트 스웨거. 독립잡지 《계간홀로》 발행인. 읽고 쓰고 덕질하는, 현대소설 박사과정 과정생이다.


◎ 미국의 페미니스트 57인


리아 페이-베르퀴스트
작가?영화제작자?교육자로 디스코 시대와 샌프란시스코의 에이즈 충격 사이 잠깐 지나간 문화적 반란기에 태어났다. 현재 석사 학위를 준비하면서 하버드 교육대학원 어반 스콜라 과정에서 소년원의 모범적인 아이들을 위한 교육적 접근법을 연구하고 있다.

테사 스미스
독일 베를린에서 주로 활동한다. (2014-2015년 풀브라이트 장학금을 받는) 현재 작업은 독일의 시각예술과 영화에서 젠더와 관객 문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에린 맷슨
페미니스트 작가이자 풀뿌리 조직자다. 웹사이트 〈RH 현실 확인RH Reality Check〉의 편집자, 전미여성연맹NOW의 부회장을 지내고 광고 제작에 참여하는 등 다양한 경력이 있다. 거식증 생존자다.

질 솔로웨이
2015년 골든글로브상을 받은 아마존스튜디오의 〈트랜스페어런트Transparent〉를 제작했다. 첫 작품인 〈애프터눈 딜라이트Afternoon Delight〉로는 2013년 선댄스영화제에서 미국 드라마 감독상을 받았다. 에미상 후보에 일곱 번 올랐으며, 회고록 《빛나는 바지를 입은 작은 숙녀들Tiny Ladies in Shiny Pants》을 썼고 여성을 위한 비디오 네트워크Wifey.tv를 공동 창립하기도 했다.

저스틴 우
뉴저지 주의 낙태 시술자다.

마야 듀슨베리
〈페미니스팅Feministing〉의 편집장이다. 조지아 주 애틀랜타에 살며 섹스에 관해 글을 쓰고 생각한다.

제니 트라우트
블로거이자 《USA투데이USA Today》의 베스트셀러 작가다. 자부심 넘치는 미시간 주민이자 두 아이의 엄마고, 살아 있는 사람 가운데 그녀를 오랫동안 참아 줄 유일한 남자의 아내이기도 하다. 블로그 주소는 jennytrout.com이다.

크리스틴 선 김
시청각 예술가로, 국내외에 작품을 전시했으며 최근 뉴욕현대미술관에서도 작품을 선보였다.

세라 마테스
시를 쓰고 큰 범선을 몬다. 캘리포니아 주 버클리에 살고 있다.

엘리자베스 도이치
《뉴욕타임스The New York Times》, 《폴리티코Politico》, 《블룸버그 뷰Bloomberg View》에 기고해 왔다. 런던정치경제대학교 젠더학 석사 학위가 있다.

케이티 J.M. 베이커
기자로, 쇼핑에만 열을 내는 부잣집 딸 같은 말투를 쓴다는 이유에서 적어도 한 번 이상 크게 욕을 먹었다.

제시카 루터
젠더와 운동의 교차점에 관한 글을 쓰며 《스포츠 온 어스Sports on Earth》, 《텍사스 옵저버The Texas Observer》, 《오스틴 크로니클The Austin Chronicle》, 《애틀랜틱The Atlantic》, 《더 네이션The Nation》 등에 기고해 왔다. 현재 아카식북스에서 출간될 대학 미식축구와 성폭행을 주제로 한 책을 쓰는 중이다.

니콜 킬리언
작품을 통해 인터넷, 휴대전화 메시지, 공유되는 온라인 플랫폼 들의 구조가 어떻게 동시대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고 문화적 정체성을 형성하는지를 탐구한다. 최근 미국비교문학협회의 연례 모임에서 진행 중인 연구, 〈세일러문★글리터 텍스트+그래픽 디자인3Sailor Moon★Glitter Text+Graphic Design3〉을 발표했다.

에이미 진 포터
화가다. 뉴욕, 시카고, 로스앤젤레스, 파리에서 개인전을 열었다. 《캐비닛Cabinet》, 《아울The Awl》, 《플론트Flaunt》, 《주빌라jubilat》, 《미트페이퍼Meatpaper》, 《맥스위니McSweeney》 등에 작품을 발표했다.

메리엄 카바
시카고에 사는 조직가?교육자 겸 작가다. 폭력 근절과 교도소 산업 복합체 해체, (징벌보다는 개선과 치유를 목적으로 하는) 변형적 정의 구현, 젊은 지도자 육성 및 후원을 위해 노력한다. 청소년 수감 폐지가 목표인 풀뿌리 조직, 프로젝트 NIA의 창립자이며 이사로 있다.

로렌 치프 엘크
미국에서 공권력의 관심 밖에 있는 원주민 여성의 실종?피살 사건을 기록하는 ‘위야비 구하기 프로젝트’를 공동 창립했으며 젠더 기반 폭력에 대해 경찰과 형법 제도를 거부하고 공동체가 주도하는 대응 전략을 발전시키기 위한 글쓰기와 조직화를 맡고 있다.

한나 기오르기스
흑인 페미니스트 작가, 조직가 겸 교육자다. 자신의 블로그 ethiopienne.com에 글을 쓰고, 훨씬 해방된 세계를 상상하며 그것에 관해 긴 대화를 나누고, 에티오피아 음식을 만들고, 아프리카계 영국인 배우인 이드리스 엘바IdrisElba 보는 것을 좋아한다.

민디 로즈 잉글라트
불혹에 사랑스러운 딸을 낳은 싱글맘이다. 화가이자 작가로, 코네티컷 주 뉴헤이븐의 한 예
술 마그넷 학교(인종이나 통학 구역에 제한을 두지 않는, 뛰어난 설비와 교육 과정을 갖춘 학교 ─ 옮긴이)에서 창조적 글쓰기를 가르친다. 문예지 《에세터러Etcetera》를 창간해 편집자를 맡고 있으며 2010년 수르드나 장학금을 받았다. 아동서 열두 권을 썼고, 여성 대상 성폭력을 다루는 연극 〈루크레티아협회The Lucretia Society〉를 함께 쓰기도 했다.


(이하 본문 수록)

저자동일

QUICKSERVICE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