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스님의 마음공부 - 해인사 고승 산방한담
“큰스님, 산중에서 홀로 무얼 깨달으셨습니까?”
20년간 산중 수행에 정진해온 보광 큰스님의 설법집
세계의 자랑인 우리 종교 유산 팔만대장경이 보존되어 있는 가야산 해인사의 보광 큰스님(보광 성주 대선사)은 한국 불교의 대표적인 선지식 성철 스님이 열반에 드신 이래로(1993년) 그 뒤를 이어 가야산 호랑이로서 옹골차게 팔만대장경의 뜻을 지키는 수행승이다. 스님들은 보광 큰스님을 두고 해인사의 마지막 큰 어른이라 입을 모은다. 큰스님은 평생 동안 전 세계에서 찾아오는 많은 이에게 불법의 깨달음을 전수해온 것은 물론 현재 한국 불교계를 이끌고 있는 걸출한 지도자들을 가르친 대석학임에도 불구하고, 서로 하려드는 큰절의 주지나 방장, 조계종 원로의원 등과 같은 모든 공직을 떠나 지난 20년간 해인사의 산중 암자 희랑대에서 은둔 수행 중이다. 팔만대장경 속 불법을 수행하며 올해 세수 77세, 법랍 60년을 맞은 보광 큰스님이 조곤조곤 사람들에게 들려주신 불법 이야기를 제자들인 경성 스님(해인사 희랑대 주지)과 각산 스님(세계명상대전 주최자)이 한 권의 책으로 모았다. 이 책은 큰스님이 평생에 걸쳐 산중에서 깨친 불법의 고귀한 진리, 수행을 통해 마음의 평안을 얻은 깨달음의 정수 자체다.
“보광 대선사는 이 시대의 진정한 수행승이자 참선, 교학, 율학을 두루 갖춘 대선사입니다. 평생을 수행자로 살아가며 감히 범접하지 못할 경지의 언행일치를 이루셨으며, 구수한 시골 할아버지처럼 다정하면서도 때로는 삶의 문제와 인생의 애환을 번득이는 섬광같이 예리하게 통찰한 지혜의 말씀을 전해왔습니다. 그 말씀을 한 권의 책으로 모으니, 이 책에 담긴 대선사의 말씀은 우리 중생의 삶을 바로 지금 이 자리에서 성공적으로 변화시켜줄 법문입니다.” ?<머리말> 중에서(엮은이 경성 ? 각산 스님)
“큰스님, 왜 행복을 좇을수록 괴로워질까요?”
마음공부의 네 계단, 알고-믿고-행하고-깨닫다
현대인의 마음의 병은 바로 ‘풍요’에 기인한다고 사회학자들은 말한다. 우리는 나와 가족의 평안과 행복을 바라는 마음으로 살지만, 대부분의 삶을 연봉을 높이고 집을 사며 명예를 드높이고 부귀영화를 보는 데 쓴다. 행복에 도달하기 위해 복작한 풍요가 전제되어야 한다고 믿는 것이다. 너나 할 것 없이 나름의 행복을 찾기 위해 바삐 살아가지만 행복에 도달하는 길은 요원하기만 하고, “난 지금 행복해”라고 말하는 사람도 드물다. 마음 같지 않은 일에 상황 탓, 남 탓을 하며 원망과 원한을 쌓고, 언제 올지 모를 위기에 대한 불안감으로 전전긍긍하는 것이 우리네 모습이 아닌가.
이것이 산중에서 홀로 팔만대장경의 깨우침을 공부하고 수행하신 보광 큰스님의 불법 이야기가 우리 마음을 들여다보게 하는 이유이다. 여느 법문집보다 더 조곤조곤하게 불법을 이야기로 풀어주시는 보광 큰스님은 우리 내면 깊은 곳에 자리하고 있는 ‘나’를 바로 보게 해준다. 마음이 병드는 근원은 어디에 있는가? 내 바깥에 있는가? 과연 ‘나’는 누구이며, 내가 원하는 것은 무엇인가? 보광 큰스님은 신기루 같은 허상을 좇다가 진정 원하는 것을 잊고 살아가는 우리에게 ‘바로 지금 여기’에서 ‘마음을 들여다보라’고 가끔은 따끔하게 죽비를 드시고, 또 가끔은 등을 쓰담쓰담 어루만져주신다.
“사슴 한 마리가 마실 물을 찾아서 이 언덕 저 언덕을 헤매고 다녔습니다. 그러다가 들판 저 먼 곳에 큰 물웅덩이가 보였습니다. 사슴은 기쁜 마음에 한숨에 들판으로 달려갔습니다. 그런데 어찌된 일인지 들판에는 물 한 모금도 없었고 다시 저 언덕 너머로 물웅덩이가 보이는 것입니다. 사슴은 지친 몸을 끌고 또 달려갔지만 그곳에도 물은 없었습니다. 과연 물은 어디로 사라진 것일까요? 물은 애초에 있지도 않았습니다. 대지의 열기로 뜨거워진 공기에 햇빛이 반사된 신기루였던 것이지요. 우리 삶도 목마른 사슴과 그리 다를 것이 없습니다.” ?<어제와 오늘의 인연> 중에서(27쪽)
“큰스님, 사막의 사슴은 어디서 목을 축여야 합니까?”
지금 바로 여기에서 시작하는, 팔만대장경 속 불법의 가르침
“정해진 법이란 있을 수 없다는 것만이 진정한 법이 진정한 깨달음이다.”
“돌부리에 걸려 넘어졌다고 돌부리를 깨랴? 스스로가 정신을 다잡고 세상을 바로 보며 걸어야 한다.”
“우리가 괴로운 이유는 결국 나에게 있다.”
“원한은 내가 그 일을 잊어버릴 때 사라지게 된다.”
-본문 중에서
사막의 사슴 같은 신세의 사람들은 하늘에서 뚝 떨어질 진리를 찾지만, 큰스님은 말씀하신다. ‘지금 바로 여기’에서 시작하는 사람만이 진리에 도달할 수 있다고. 누군가의 말과 법에 기대지 않고 스스로 마음을 수행하지 않고서는 진리에도 행복에도 도달할 수 없다는 큰스님의 말씀은 일반의 지혜와 다르지 않으면서도 다른 깊이와 무게가 있다. 그것이 산중에서 오랜 수행 끝에 ‘산방한담’ 이야기로 사람들을 깨치는 큰스님만의 비법인 것은 아닐까?
‘정해진 진리란 없다는 것만이 진정한 진리’라 강조하는 이 책은, 그러나 불교의 신(信)-해(解)-행(行)-증(證)의 정해진 수행과정을 따라 1부, 2부, 3부, 4부 구성으로 취하고 있다. 이해와 믿음으로부터 수행과 깨달음으로 나아가는 불교의 수행과정은 선교겸수, 선경율 삼장, 유불선을 통달한 보광 큰스님이야말로 진정 안내할 수 있는 제대로 된 마음수행의 단계이기 때문이다. 큰스님의 말씀이 있기에 마음수행의 네 계단을 디디고 올라서는 여정이 외롭고 어렵지만 않다. 큰스님의 말씀과 더불어 “속세의 복에 만족하지 말고 더 높은 이상의 세계를 추구”하기 위해 마음공부의 첫걸음을 바로 지금 시작해보자.
해인사 고승으로 오로지 산중에 머물면서 불법의 진리를 터득한 이 시대의 진정한 수행승이자 선교겸수, 선경율 삼장, 유불선을 통달한 대선사. 출세간을 달관하여 산골의 샘물로 목을 축이며 청산을 벗 삼고 있지만, 예리한 직관과 통찰력으로 많은 수행자를 양성한 출가자의 표상이다. 현재 우리나라 불교계를 이끄는 많은 지도자가 대선사의 제자들이다. 17세 나이에 동진 출가했고 강원(승가대학) 교수사와 해인사승가대학 대학장을 9년 동안 역임하며 대강백(대석학)으로서 20여 년 동안 학승을 가르쳤다. 이후 해인사 선방, 칠불사 선방 등 20안거를 성만하고, 2000년 해인사 주지를 마지막으로 산속에서 독야청청 유유자적의 칩거수행 중이다. 2017년 올해 세수 77세 법랍 60년으로 현재 해인사 희랑대 조실로 계신다.
추천사
머리말 | 이 시대의 참다운 큰스님, 보광 대선사가 전하는 지혜의 말씀
1부 信(신) : 마음공부의 첫걸음
영원한 진리는 없다
나라고 할 만한 것이 없다
어제와 오늘의 인연
진리를 구하는 마음
믿음과 실천
사람에서 시작한다
마음이 열리면 모든 것이 열린다
인생이라는 그림자
마음에서 일어나는 일
마음공부의 길
허공에 핀 꽃
현실을 떠난 진리는 없다
지금의 나는 누구인가
마음의 밭갈이
선악을 뛰어넘은 마음
어리석음을 끊으면
해탈의 맛
공덕과 복덕
스스로를 진정 위하는 일
진정한 복은 어디에서 올까
지금 여기가 복밭이다
세계의 문을 여는 열쇠
2부 解(해) : 앎이 곧 깨달음이다
씨앗을 뿌리는 마음
씨앗을 뿌릴 터전
고통의 근원
인연의 여섯 가지 매듭
결박을 풀어버린 사람
인연의 고리가 풀리는 삶
업보의 그물
마음 주인이 되는 길
게으름을 벗어던지고
해마다 달마다 날마다
불법으로 얻는 공덕
빗물을 모으는 그릇
마음의 보리수
부처님이 이 땅에 오신 뜻
인연 법칙
몸, 입, 마음으로 짓는 업
비움이라는 지혜의 문
탐욕, 세상의 뿌리
업의 결과물
3부 行(행) : 믿고 아는 대로 실천하라
기도의 원리
허공은 물들지 않는다
진리를 구하는 자세Ⅰ
진리를 구하는 자세Ⅱ
똑바로 생각하고 똑바로 살아가는 것
흔들리지 않는 마음으로
천녀의 법문
치우침 없는 견해
도 아닌 것을 행하는 도
원망의 마음을 버리고
참다운 자비와 나눔
인간은 누구나 평등하다
바다에 파도가 없다면
진리의 바다에서 물러나지 마라
마음의 그림자를 소멸시켜라
밝음을 찾는 자리
어둠에서 깨우침으로
일단 멈추어 서기
정법으로 기도하기
수행을 시작할 때
정진하고 또 정진하라
인정에 얽매임 없이
인정이 향하는 방향
바라밀을 실천하는 삶
먼지 하나에 온 우주를 담는다
긴 안목으로 세상을 보다
영원한 행복과 영원한 자유
4부 證(증) : 내 마음에 부처를 이루다
당신은 어떤 보살입니까
법을 구하는 진정한 용기
위로는 불도를 아래로는 중생을
보살의 길을 말하다
스스로 중심을 잡을 때
부처를 보고 부처를 이루다
거울의 때를 말끔히 닦아내고
시공을 초월하는 자유
내 스스로가 주인 되어
힘을 얻게 되는 순간
무엇이든 뜻대로 되리라
평등 속의 차별
바른 도리와 바른 행동
지금이 가장 좋은 때
마음에 모시는 부처님
바로잡고 되돌리기
인연의 도리
가장 존귀한 존재
고요한 바다에 삼라만상 드러나듯이
깨달음의 길, 팔정도
깨달음이 열리는 날
보광 대선사 지음, 경성스님.각산스님 엮음 저자가 집필한 등록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