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찬와카집 천줄읽기 - 지식을만드는지식 천줄읽기
<지식을만드는지식 천줄읽기>는 오리지널 고전에 대한 통찰의 책읽기입니다. 전문가가 원전에서 핵심 내용만 뽑아내는 발췌 방식입니다.
칙찬 와카집(勅撰和歌集)이란 임금의 하명으로 당대의 가장 뛰어난 노래들을 모아 편찬하는 왕실 공인 가집으로, 헤이안 시대 궁중 문화를 대표하는 문예인 와카를 통해 당시의 문화 융성을 상징하는 기념비적인 성격을 띠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후찬와카집≫은 최초의 칙찬 와카집인 ≪고금와카집(古今和歌集)≫에 이어 두 번째로 편찬된 칙찬 와카집이다.
≪후찬와카집≫은 유포본의 계통에 따라 총 1425수, 혹은 1426수가 20권으로 나뉘어 수록되어 있다. 각 노래는 그 내용에 따라 주제별로 분류되어 있으며, 이 분류의 기준을 ‘부타테(部立て)’라고 한다.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권1에서 18까지는 봄노래 상중하, 여름 노래, 가을 노래 상중하, 겨울 노래, 사랑 노래 1∼6, 잡가(?歌) 1∼4의 순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권19는 이별 노래와 여행 노래, 권20은 축하 노래(賀の歌), 애상 노래(哀傷歌)로 되어 있다. 이 ≪후찬와카집≫의 부타테 구성은 전대의 칙찬집인 ≪고금와카집≫의 구성을 큰 틀에서 받아들이고 있으면서도, 사계 노래의 경우, ≪고금와카집≫이 봄과 가을을 상, 하로 분류하는 데 반해, 후찬와카집은 이를 상, 중, 하로 분류해 형식보다는 각 계절의 흐름과 섭리를 중요시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사물의 이름 노래(物名), 잡체(??), 가요 등의 비일상적인 주제들은 과감하게 생략하는 등, ≪고금와카집≫과는 구별되는 ≪후찬와카집≫ 나름의 구성 논리도 확인할 수 있다.
≪후찬와카집≫이 편찬되던 당시에는 후궁들과 그들을 모시던 시녀들인 여방들이 만들어 낸 독특한 후궁 살롱 문화가 활발하게 펼쳐졌다. 그에 따라 남녀 간의 사랑을 다루는 이른바 ‘이로고노미(色好み)’의 와카와 이를 둘러싼 이야기를 다룬 우타 모노가타리(歌物語)가 후궁 문화권 내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하게 되기에 이른다. 이러한 배경은 ≪후찬와카집≫의 내용 면에서도, 사랑노래와 잡가에 실려야 할 법한 내용들, 즉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 일어나는 마음과 감정을 노래한 와카들이 봄노래와 가을 노래들로 구성되는 부타테에 많이 실리고, 다른 칙찬 와카집에 비해 남녀 간에 사랑노래를 주고받는 증답가가 압도적으로 많은 것에도 영향을 끼쳤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시대적 배경 속에서 탄생한 ≪후찬와카집≫은 전대의 유명 가인들의 노래와 더불어 당대의 권문귀족들과 여방들 간의 도회적 사랑의 정서를 상당 부분 반영하게 됨으로 인해, 섭관 정치제가 확립되던 시기의 문화를 대표하는 기념비적인 작품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후대 36가선의 한 사람으로 31세 때 나시쓰보(梨壺)의 5인 나시쓰보(梨壺)의 5인 : 나시쓰보는 궁궐의 전사(殿?) 중 하나인 쇼요샤(昭陽?)의 별칭으로 쇼요샤의 정원에 심어져 있던 배나무에서 유래했다. 이 나시쓰보에 무라카미 천황의 명령으로, 『만엽집』의 훈독 작업과 칙찬 와카집 편찬을 위한 기구인 와카소(和歌所)가 설치되었고 여기에 소속되어 있던 다섯 명의 가인을 나시쓰보의 5인으로 불렀다.
중 하나로 선정되어 『만엽집(万葉集)』의 훈독 작업에 참가했다. 권문세가의 요청에 의해 읊어진 축하 노래(賀歌)나 병풍가(?風歌) 제작 등에 뛰어난 실력을 보인 당대를 대표하는 전문 가인이었다. 세 번째 칙찬 와카집인 『습유와카집(拾遺和歌集)』 이후 124수를 칙찬 와카집에 실었다.
해설
엮은이에 대해
봄노래 상(春上)
봄노래 중(春中)
봄노래 하(春下)
여름 노래(夏)
가을 노래 상(秋上)
가을 노래 중(秋中)
가을 노래 하(秋下)
겨울 노래(冬)
사랑 노래 1(?一)
사랑 노래 2(?二)
사랑 노래 3(?三)
사랑 노래 4(?四)
사랑 노래 5(?五)
사랑 노래 6(?六)
잡가 1(?一)
잡가 2(?二)
잡가 3(?三)
잡가 4(?四)
이별 노래(離別)
여행 노래(?旅)
축하 노래(賀歌)
애상 노래(哀傷)
옮긴이에 대해
오나카토미노 요시노부 등저 저자가 집필한 등록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