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나는 왜 고민하는 게 더 편할까 - 고민될 때, 심리학

나는 왜 고민하는 게 더 편할까 - 고민될 때, 심리학

저자
가토 다이조 지음, 이현안 옮김, 이정환 그림
출판사
나무생각
출판일
2016-11-27
등록일
2016-12-14
파일포맷
EPUB
파일크기
20MB
공급사
알라딘
지원기기
PC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현황
  • 보유 2
  • 대출 0
  • 예약 0

책소개

성장의 고통보다 안전한 불행을 선택하는 고민의 실체

고민에 고민을 거듭하는 당신을 위한 맞춤 심리학!



당신이 고민에 의존하고 있는 것을 아십니까?


사람은 누구나 고민 없는 행복한 삶을 바란다. 그러나 한편으로 우리는 고민하는 스스로를 꽤 괜찮은 사람으로 인식하기도 한다. 우리는 하루 동안 수만 가지 고민에 휘둘리고, 거기에 하루를 지탱할 삶의 에너지를 쏟아붓는다. 문제를 해결하고 앞으로 나아가기 위한 고민은 삶에 유익하기도 하지만 고민의 본질과 원인, 목적이 명확하지 않은 고민이나 자기 연민 형태의 고민은 결코 유익하지 않다. 자기의 불행을 과장하고 호소하는 형태로 고민을 끊임없이 늘어놓는 사람들, 문제를 해결하려기보다는 고민하는 행위에 그저 안주하고 만족하는 사람들, 솔직히 말하면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이런 고민 의존증이 있다.



고민하는 데 에너지를 쓰느라, 행복에 쓸 에너지가 없다

별일도 아닌데 한숨을 쉬는 사람이 있고, 매우 힘든 상황에서도 마음의 평온을 유지하는 사람이 있다. 지금 자신이 고민하는 것이 정말 그렇게 고민할 문제인지 생각해보자. 지금 자신이 후회하는 것이 정말 그렇게 후회해야 할 문제인지 생각해보자. 지금 자신이 큰일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정말 그렇게 큰일인지 생각해보자. 일본 와세다 대학 심리학과 명예교수이며 일본 정신위생학회 고문인 가토 다이조는 오랜 상담 사례들을 토대로 고민의 본질을 이해하고 진정한 마음의 평화를 얻는 방법을 소개한다. 고민 의존증을 단순한 결정 장애로 보지 않고, 마음이 성장해온 지도를 되짚어봄으로써 고민의 이면에 심리적 결핍과 분노, 존재감 상실 등이 자리하고 있음을 파악했다.

이 책은 고민 의존증에 걸린 사람에게 내리는 심리학적 처방이다. 스스로 행복하지 않다면, 고민 의존증이 의심된다면, 이 책을 통해서 자신이 왜 그렇게 고민하고 있으며, 어떤 목적으로 고민하고 있는지부터 생각해보자. 원인을 파악할 수 있다면 정말 다행스러운 일이다.



“고민하는 과정을 통하여 무의식 영역에서 끌어안고 있는 마음의 갈등을 해결하고 있다는 사실을 이해할 수 있다면 앞길은 밝다. 자물쇠가 걸린 고민의 방에서 나오려면 의식이 갈망하는 배후에 존재하는 무의식의 욕구를 이해해야 한다.”(본문 중에서)



고민에 감추어진 분노와 불안

고민에 사로잡힌 사람들은 행복해지기를 간절히 바라면서 실제로는 불행해지는 행동을 한다. 자신의 고민이 결코 유익하지 않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지만 고민하지 않고는 못 견딘다. 가토 다이조는 그 원인을 ‘의식’이라는 관점으로만 자신을 생각하기 때문이라 말한다. 무의식에 존재하는 자신은 다른 것을 바라고 있는데, 그것을 감추기 위해 고민을 반복하는 것이다. 한숨을 내쉰다고 사태가 바뀌지는 않는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으면서도 스스로 ‘불행의 방’으로 들어가는 것이다.

가토 다이조는 《나는 왜 고민하는 게 더 편할까》를 통해 우리가 휘둘리는 고민의 이면에는 불안과 분노가 감추어져 있다고 진단한다. 어린 시절 부모로부터 충분한 사랑을 받지 못하고 자란 사람에게는 근본적으로 애정 결핍이 있다. 이 결핍에 대한 억울함과 분노는 무의식에 축적된다. 따라서 고민에 사로잡힌 사람은 ‘고통스럽다’, ‘괴롭다’고 고민하는 과정을 통하여 무의식중에 축적되어 있는 불안과 분노를 간접적으로 방출한다는 것이다.



“늘 고민에 사로잡혀 있는 사람의 입장에서 보면 고민하는 것 자체가 구원이다. 고민에 사로잡혀 있어야 편안한 것이다. ‘고통스럽다’, ‘괴롭다’고 고민을 하지 않으면 무의식에 축적되어 있는 분노를 표현할 수 없다. 끊임없이 고민하고 소란을 피워야 무의식이 원하는 것을 충족시킬 수 있는 것이다.”(본문 중에서)



자신의 감추어진 분노의 크기가 어느 정도인지를 깨닫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왜 이렇게까지 자기 연민에 빠져 있는지, 왜 이렇게까지 고민에 빠져 있는지, 왜 이렇게까지 다른 사람을 부러워하는지, 그 진정한 원인을 찾는 것이다.



행복을 위한 마음의 성장이 필요할 때

‘고민하지 않겠다’는 결심도 중요하지만 결심만으로는 효과가 없다. 현재의 자신을 올바르게 이해하는 것이 먼저다. 현재의 자신이 왜 이렇게 고민에 사로잡혀 있는지가 궁금하다면 현재의 자신이 진정으로 바라는 것이 무엇인지를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런 자각을 할 수 있으면 인생에 대해서도 올바른 태도를 취할 수 있다.



“괴로워도 현실을 인정해야 한다. 현실을 인정하는 고통이야말로 해방과 구원으로 가는 길이다. 심리적으로 성장한다는 것은 심리적으로 불구덩이의 지옥을 통과한다는 것이다.”(본문 중에서)



가토 다이조는 고민에 빠져 헤어 나오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증오와 불신의 한가운데에 서서 힘들다고 절규하지 말고 지금 현재 자신이 할 수 있는 사소한 일들을 이어가라고 조언한다. ‘싫다’는 자신의 인생의 축을 ‘좋다’는 축으로 바꾸는 것이다. 이것이야말로 ‘마음의 혁명’이고 진정한 행복으로 나아가는 길이다.

“인간을 합리적인 지성만으로 해석하기는 어렵다. 자신을 올바르게 이해하는 것이 자신에게 너그러워지는 것이며 상대를 올바르게 이해하는 것이 상대에게 너그러워지는 것이다.”(본문 중에서)

QUICKSERVICE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