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로 돈 버는 자유기고 한번 해볼까?
자유기고가를 꿈꾸거나 대중적인 글쓰기에 대해 고민하는 사람들을 위한 책이다. 현직 기자 생활을 거쳐 대학과 사회교육기관에서 글쓰기와 자유기고가 과정의 수업을 10년 이상 진행해온 저자가 자신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자유기고가의 기본적인 활동에서부터 실제 글쓰기에 이르기까지 예비 자유기고가들이 꼭 알아야 하고 궁금해할만한 사항 73가지를 Q&A형식으로 명쾌하게 정리했다.
자유기고가의 활동 영역, 입문 방법, 자격 요건은 물론이고 실제 작업 진행에 필요한 계약관련 사항, 기획안 구성, 취재 및 기사 작성할 때 유의 사항, 다양한 미디어 글쓰기 요령 등을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제시하고 자유기고란 직업의 매력과 비전을 제시한다.
현재 가톨릭대학교 교양교육원 교수로 있으며 한겨레교육문화센터 「자유기고가 과정」을 10년째 운영하고 있다. 대학에서 독일어를 전공하였으
며 중앙일보에서 10여 년간 기자생활을 하였다. 독일의 기록문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건국대, 덕성여대, 성신여대, 한국외대, 한신대 등
에서 독일문학과 신문방송학, 글쓰기를 강의하였다.
한겨레교육문화센터와 한국 언론재단, 한국여성기업인협회 등의 사회교육기관에
서 글쓰기와 관련한 강좌를 운영하였으며 통계청과 한국금융감독원, 대한상공회의소, 한국수자원공사, 한국물류진흥원, 삼성그룹 등의 정부기
관과 기업체에서 글쓰기 특강도 실시하였다. 현재에도 정부기관은 물론 기업체, 사회교육기관에서 일반글쓰기를 비롯해 미디어글쓰기, 비즈니
스글쓰기에 대한 특강을 진행하고 있다.
저서로는 『미디어글쓰기』, 『너무나도 쉬운 비즈니스 글쓰기』, 『독일문화읽기』, 『정보
의 생산과 시각적 표현』, 『기록극이란 무엇인가』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아우슈비츠 강제수용소』가 있다.
PART 1. 자유기고가, 이렇게 활동한다
Section 1. 자유기고가의 다양한 활동영역
Question 01 자유기고가는 어떤 일
을 하는 사람들인가요?
Question 02 자유기고가가 활동할 수 있는 영역은요?
Question 03 기자와 자유기고가는 어떤 차이가 있나
요?
Question 04 자유기고가와 칼럼니스트의 차이점이 있다면 무엇인가요?
Question 05 외국에 살거나 여행하면서 자유기고를
하는 사람들도 많나요?
Question 06 혹시 외국잡지나 신문에도 연재하는 사람이 있나요?
Section 2. 자유기고가의 자격요건
Question 01 자유기고가가 되는 데 나이 제한은 없나요?
Question 02 필요한 자격조건이 있나요? 학력이나 경력이 아주 중요한
가요?
Question 03 자유기고가로 활동하기 위해 필요한 소양이나 적성이 궁금해요.
Question 04 사진까지 찍어서 올리는 사람들
도 있던데, 사진도 잘 찍어야 하나요?
Question 05 얼마나 글을 잘 써야 자유기고를 할 수 있나요?
Section 3. 자유기고
가의 일상과 경제학
Question 01 다른 일을 하면서 자유기고가를 겸업할 수 있나요?
Question 02 자유기고가로 전업했을 때, 어
느 정도 일해야 생계에 지장을 받지 않을까요?
Question 03 우리나라에서 자유기고가의 비전은 어떤가요?
Question 04 자유기고
가라는 직업의 매력은 무엇일까요?
Question 05 자유 기고가로 활동할 때 가장 어려운 점은 무엇인가요?
Question 06 세금은 어
떻게 내나요?
PART 2. 자유기고가, 이렇게 도전하라
Section 1. 알아두면 도움이 되는 준비사항
Question 01 완전 초보자인데, 도움이 될 만한 교육기관이 있나요?
Question 02 자유기고가로 첫 발을 내딛기 전, 무엇을 준비
해야 할까요?
Question 03 글을 써본 경력이 없는 경우라면, 첫 일을 얻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하죠?
Section 2. 구체적 입
문 방법
Question 01 보통 어떤 방법으로 자유기고가가 되나요?
Question 02 신문이나 잡지에 글을 싣고 싶으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Question 03 자유기고를 좀 더 선호하는 잡지나 매체가 있나요?
Question 04 사보에 글을 싣고 싶으면 어떻게 해야 할까
요?
Question 05 미디어가 특별히 좋아하는 글이 있나요?
Section 3. 뽑히는 기획서 작성법
Question 01 매체에 기
획서를 보내려고 합니다. 어떻게 쓰는 것이 좋을까요?
Question 02 쓰려는 글의 종류에 따라 기획서의 내용이나 형식도 달라져야 하나
요?
Question 03 혹시 기획서를 잘 쓰는 비결이 있나요?
PART 3. 자유기고가, 이 정도는 알아두자
Section 1 계약서 작성할 때 궁금한 점
Question 01 계약서를 처음 써봅니다. 어떤 점을 주의 깊게 봐야 할까요?
Question 02 저작권은 무엇이고, 사용권은 무엇인가요?
Section 2 원고 진행과 마무리에 관해 궁금한 점
Question
01 기사 하나 쓰는 데 어느 정도 시간이 걸리나요?
Question 02 하나의 아이템으로 여러 매체에 동시에 게재할 수 있나요?
Question 03 대략적인 원고료 책정 기준을 알고 싶어요.
Question 04 원고료는 어떻게 산정하나요?
Question 05 원고료
를 줄 때 미리 주나요? 아니면 나중에 주나요? 지급 방식이 궁금해요.
Question 06 사진을 찍거나 일러스트를 그릴 줄 아는데요, 원고
료가 달라지나요?
Question 07 기사를 보냈는데, 약속된 날에 원고료를 주지 않으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Question 08 원고는 언
제 넘겨줘야 하나요?
Question 09 원고가 편집장 마음에 들지 않나 봅니다. 어떻게 해야 하나요?
Question 10 원고를 넘겼는
데, 실어주지 않는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Question 11 원고 청탁을 꾸준히 받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Section 3 취
재 진행할 때 궁금한 점
Question 01 정식기자도 아닌데, 취재요청을 할 때 해당 언론사나 매체의 명의를 쓸 수 있나요?
Question 02 교통비나 숙박비 등 자유기고가의 취재비는 따로 주나요?
Question 03 취재할 때 드는 찻값이나 식사비 등의 영수
증 처리도 가능한가요?
Question 04 취재가 잘 되지 않은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Question 05 전혀 모르는 사람에게 취
재 요청을 할 경우 요령이 있다면?
Question 06 취재할 때 문제가 생기거나 사고가 발생하면 어쩌죠?
PART 4. 자유기고
가, 이 정도는 알고 쓰자
Section 1 기획부터 확실하게
Question 01 기사 기획에서 가장 신경 써야 할 점은 무엇일까
요?
Question 02 기사 기획을 잘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Question 03 하나의 아이디어가 기사 아이템으로 만들어지는 구체
적인 과정이 궁금해요
Question 04 신문 기사와 잡지 기사의 차이점이 있다면 무엇인가요?
Question 05 기사 아이템을 선정하는
기준이 따로 있나요?
Section 2 초보자를 위한 원고 작성 일반론
Question 01 기사로 활용하는 주된 자료는 무엇인가요?
Question 02 기사 작성의 기본 원칙은 무엇인가요?
Question 03 기사 구성의 원칙은 무엇인가요?
Question 04 기사 작
성의 지침이 있다면 무엇인가요?
Question 05 기사를 효율적으로 쓰는 방법이 있을까요?
Question 06 좋은 기사의 특징은 무엇인
가요?
Question 07 기사 쓰기의 기본기를 다지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Question 08 좋은 문장을 쓰는 방법이 궁금합니
다.
Question 09 글쓰기를 잘 하려면 평상시에 어떤 연습을 해야 할까요?
Section 3 유형별 실전 글쓰기 A to
Z
Type 01 간단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순 기사
Type 02 사건 사고의 객관적 서술 스트레이트 기사
Type 03 사건의 주변 얘
기나 추가 설명을 담는 해설 기사
Type 04 사실에 근거한 추론이나 해설을 담은 의견 기사
Type 05 일상생활 관련 정보를 담은 생
활 기사
Type 06 독자에게 장소를 안내하는 가이드 기사
Type 07 인물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주는 인터뷰 기사
Type 08 특
정 인물·장소를 취재하여 쓴 탐방 기사
Type 09 인물 간의 대화를 엮는 대담 기사와 좌담 기사
Type 10 현장의 생생함을 담아내
는 르포 기사
Type 11 사회적 사건의 진실을 파헤치는 탐사 기사
Type 12 특정 주제 아래 기획해서 취재하는 기획특집 기사
황성근 저자가 집필한 등록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