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꿈, 들국화 동산 2
2015년 순국 110주년을 맞은 국은 이한응 열사,
그의 직계 손자가 담아낸 생생한 증언!
이 책은 37년의 교직을 떠나며 저자의 치임(致任)을 맞아 지은 책이다. 저자는 정년퇴임이 아닌 맡은 바 소임을 모두 마쳤다는 의미로 치임저서를 펴냈다. 모두 3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1부 ‘우옹의 희수자술’에는 저자의 진솔한 회고를 통해 한반도 역사와 함께한 그의 삶이 녹아 있다. 또한 저자는 우국지사 국은 이한응 열사의 친손자로서, 2부 ‘나의 할아버지 이한응 열사’에는 조선 말기의 외교관으로서 대영 외교의 모든 책임을 지고 활약한 이한응 열사의 생애와 후손들의 기념활동이 생생하게 그려져 있다. 3부 ‘건축학 개론과 디자인 이야기’에는 건축학 교수로 평생을 교단에 바친 저자의 모든 연구를 건축 지식과 디자인 상식 이야기로 엮어 쉽게 읽을 수 있도록 설명했다.
머리말
3부 건축학 개론 및 디자인 이야기
01. 서론
건축이란 무엇인가
건축학의 전공과목 구성
건축행위의 3당사자
건축의 주인은 누구
토목(土木, civil engineering)과 건축(建築, architecture, building)
현대건축 창간호와 폐간호
02. 구조·기술
견고안전 만사 불여 튼튼
구조방식의 대표적 3종
기둥이 굵으냐 보가 굵으냐?
백지장도 맞들면 가볍다
콘크리트는 만능인가?
고래(古來)의 5재 - 금, 목, 피, 옥, 토(金 , 木, 皮, 玉, 土)
찬 구조 / 더운 구조( cold structure/warm structure)
방수구조
방화구조
화재의 성립요건은 세네 가지로 본다
화재의 시간적 성상(性狀)
화재의 확산경로
방화계획
불보다 무서운 물
03. 환경
둥글 둥글 도는 세상(24절기는 음력이 아니다)
24절기(節氣)와 4계절론
일조변화는 동서대칭이다(태양행로도)
태양남중고도 약산식
태양열 난방과 냉방원리
자연채광(自然採光, natural lighting) - 주광율(晝光率, day light factor)
양지와 음지
흡음과 차음
음악 연습실의 소음 줄이기
감각량 차이는 물리량변화의 대수치(對數値)에 비례하더라
죽부인(竹夫人) 그리워
물 아끼기
절수방안(節水方案, Water saving tips)
쫓겨난 편의시설
더도리(加飯, 가반)
아파트의 발코니(balcony, 베란다 verandah)
04. 주택 계획
벽과 개구부(開口部, 문·창)
문의 의미
주택의 짜임새(house organization)
주택의 좌향
심우장(尋牛莊)의 좌향(坐向)
남북대지의 비교
경사지에서의 대지 선정
지하주택의 장점
각실계획
현관
한국식 현관
거실(居室, living room)
벽난로(fire place)
거실과 대청(大廳)
침실계획
부엌
부엌일의 종류와 순서
부엌일 삼각형(work triangle)
설거지 취미
식품고와 냉장고
1.5 욕실이란?
수세식 변기(水洗式 便器)의 시비(是非) - 하늘에 맡겨라
05. 도시/교통
고대 로마의 하부구조(Infrastructure)
스카이라인(Skyline)
시대의 선각자 김재익(金在益)
정지교통이라니?(주차방식3종)
머리주차 - ‘Head-in Parking Only’
고속도로 휴게소 주차방식 제안
자동차의 공(功)과 과(過) - 못말리는 흥부내외
06. 도학
원/타원 그리기
정5각형(Pentagon) 채택 잘했군
정5각형(Pentagon)과 황금비
정6각형(Hexagon)
정8각형(Octagon)
기본도형의 원만도(圓滿度, circular fullness)
컴맹의 지도맹(地圖盲) 걱정
백운대(白雲臺) 가는 길
07. 제도
지붕형태는 단순할수록 좋다
평면사투상(plan oblique view)
입면사투상(elevation oblique view)
투시도와 카메라사진
조감도(鳥瞰圖)와 오감도(烏瞰圖)
08. 디자인의 기초이론
진품명품 쇼
황금비와 피보나치(Fibonacci)급수
구형(矩形,長方形, 직각4각형)의 비례
최초의 원형교사 - 원형의 폐단
그릇들은 왜 모두 둥글게 만들어졌나
공항건물의 역경사 유리창
달걀귀신 - 의인화 디자인
야구 선수복의 흉칙한 색
디자인 일반론 [디자인과 색채] (M. Graves 원저 The Art of Color and Design)
디자인의 요소 7가지
4가지 형태를 이용한 구성 스케치 [꿈보다 해몽]
먼셀 색채표기법 (Munsell Color Notation)
디자인의 원리 10가지
『도학연구』의 표지 디자인
애기 책 모접기
가구와 안전 디자인 - 식탁 의자 찬장
아름다워라, 태극기(太極旗)!
태극기 작도법
한국건축 지붕의 곡선미
09. 서양건축 양식변천과 한국건축의 이해
서양건축 양식의 변천
주두(柱頭, capitals)
정문(正門, portals, main doors)
창(窓, Windows)
탑(塔, Towers)
파르테논(Parthenon)의 아름다움
신라시대 옥사제한(屋舍制限)
금입택(金入宅)
영조법식(營造法式)이 있었다
한국의 세계문화유산(The World Heritage in Korea)
해인사 장경각의 건축적 우수성
경판의 체제와 규모
법주사 팔상전의 구조형식
칠불사(七佛寺) 아자방(亞字房)
병산서원(屛山書院, 사적 260호)
상량문(上梁文)
전통건축과 환경사상
음양론
오행설(五行說)
풍수지리설(風水地理說)
풍수의 약사(略史)
국도 한양(國都 漢陽)의 풍수적 해석
사주(四柱)와 팔자(八字)
창살문양 감상
10. 결론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