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땅에 헤딩한 중국 비즈니스 (상)
중국에서 새로운 기회를 찾는 모든 이들을 위해
초등학교 5학년 때인 1976년 중국의 모택동이 죽었다는 것을 TV 뉴스로 들었다. 세상이 떠들썩하면서 모택동 이후 중국이 어떻게 될 것인지에 대해서 많은 말들이 오가는데 나는 도대체 그 ‘공산주의 늑대’가 죽은 것이 큰 사건인지 알 수가 없었다.
1979년, 그러니까 중학교 2학년 시절 사회과목이 세계사 과목이었다. 사회선생님이 워낙 예뻐 보여서 잘 보이려고 공부를 열심히 했다. 중학교의 세계사 교과서나 참고서가 그다지 많은 내용을 담고 있지 못해서 고등학교 참고서를 사서 보기도 할만큼 열심이었다.
나에게 중국은 그렇게 다가왔다. 중국의 현재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한 채 역사를 통해 먼저 중국을 만난 것이다. 그 이후 세상은 너무나도 많이 변했고 이제 누구나 중국과의 비즈니스를 꿈꾸는 상황이 되었다. 서점의 어학 코너에는 영어와 비슷한 수로 중국어 관련 책자가 넘치고 어느 회사를 가더라도 중국에서 새로운 기회를 발견할 수 있을까 하여 기회를 찾고 있다.
중국은 분명히 기회의 땅이다. 우리나라의 경제는 이미 우리나라의 땅과 인구가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서고 있다. 더 이상 국내에서 경제적 활력을 찾기 힘든 상황에서 바로 옆에 있는 대국이 엄청난 속도의 경제성장을 보이고 있다. 게다가 중국이 우리나라와의 경제적 협력을 애타게 원하고 있다는 것도 중요한 요인이다. 하지만 중국이 기회의 땅이 될 수는 있을지언정 결코 약속의 땅은 아니다. 중국으로 진출한 수 많은 기업들이 성공은커녕 본전도 건지지 못하고 나오는 것만 보더라도 그 사실은 명백하다. 이 책은 이제 중국사업을 시작하는 사람들과 중국과의 미래를 꿈꾸는 젊은이들을 위해서 씌어졌다.
오래 전 일본의 어느 나이 많은 기업인과 상당 기간 교류를 지속한 일이 있다. 단순한 상거래 뿐만 아니라 식사를 하고 서로의 역사관에 대해서도 허심탄회하게 토론하곤 했다. 지금은 저 세상에 가고 없는 그 노인은 한국 젊은이들을 아주 좋아한다고 했다. 이유를 물으니 그 노인은 ‘한국 젊은이들은 우리가 젊은 시절 가졌던 꿈과 패기를 가져서 보기 좋다. 요즘 일본의 젊은이들은 그런 것이 없다’라고 말한 것이 기억난다.
요즘 중국에서 비슷한 느낌을 받는다. 중국의 젊은이들이 새로운 자기 일을 시작하면서 활기차 보이는 모습은 분명 취업만을 위해서 도서관을 찾는 우리의 젊은이들과는 다르다. 우리 젊은이들도 더 큰 희망을 가지고 도전을 멈추지 않기 바라며 이 책을 세상에 드린다.
暗中摸索 암중모색 _ 길없는 길에서 모험을 떠나다
◎ 혼란스러웠던 첫 만남, 하지만 매력적인 거시 데이터
◎ 전시회 참가 준비, 정보는 부족하고 제대로 된 안내도 없는
◎ 경이로움과 황당함 속에서 내딛은 중국으로의 첫발
◎ 명함이 번듯하면 오히려 안 좋은 회사?
孔子穿珠 공자천주 _ 누구에게든 끊임없이 배워야 한다
◎ 우리는 중국인들에게 사업가인가 오랑캐인가?
◎ 회사의 명운을 걸고 중국지사를 설립하다
◎ 허망하게 깨진 호화로운 주재원 생활의 꿈
◎ 직원 채용, 조선족? 좋은 대학 나온 한족?
韜光養晦 도광양회 _ 자신을 드러내지 않고 힘을 기르다
◎ 조금의 허세는 필요하다, 중국에서 사무실 구하기
◎ 수학보다 더 어려운 회사 설립, 하지만 반항해도 소용은 없다
◎ 첫 시도의 실패, 의지는 하늘을 찔렀건만 …
◎ 뜻밖의 전화, 한국 최고의 스타를 섭외해야하는 미션
乘風破浪 승풍파랑 _ 끝없는 파도를 헤치고 드디어 나아가다
◎ 드디어 시작된 협상, 천리길도 한걸음부터
◎ 협상 파트너의 미모에 가슴이 두근거리다
◎ 오랜 만의 망중한, 안마의 나라 중국
◎ 계속되는 협상, 그리고 뜻밖의 암초
[부록 - Information ]
· 중국의 거대함과 그 이면
· 중국의 외국어 소통현황
· 중국과 북한의 관계
· 중국의 도시교통수단
· 중국의 식사예절과 요리
· 중국 영화시장 현황
· 중국의 사무실 임대법
· 조선족을 보는 시각
· 중국의 아파트 임대
· 중국 내 법인의 설립
· 중국에서의 계약
· 중국의 한류
· 중국인이 느끼는 한국의 한자문화
· 중국의 유흥문화
· 중국의 마사지샵
· 중국회사의 직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