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무라이의 침략근성과 제국주의 일본의 부활
최근 일본과의 과거사 재규명과 독도 문제 등 여러 양상의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일본이라는 나라의 본질을 알고 저들의 침략성에 대응하는 것은 일본에 의한 재침략을 막는 방비책이라 할 수 있다.『사무라이의 침략근성과 제국주의 일본의 부활』은 일본의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막부를 중점적으로 살피며, 사무라이의 침략근성에 한국은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그 방안을 간구하고 있다.
프롤로그
책을 내면서
01
한반도로부터 철기의 전래와 일본 왜(倭)의 건국
1) 사무라이의 기원에 대한 일고찰
2) 철기의 전래와 정복자들에 의한 왜의 건국
3) 신라계와 백제계의 권력 투쟁과 왜왕권의 정복
02
백강 전투와 한일 상극(相剋)의 기원
한일의 상극은 언제부터 생겼는가?
03
일본 천황가의 정체와 천황병(天皇病)
1) 천황가의 계보
2) 일본의 풍토병 천황병(天皇病)
04
헤이시와 겐지의 권력 투쟁과 침략전쟁
1) 헤이시와 겐지 무사단의 형성
2) 사무라이 왕국을 선언한 다이라 마사카도
3) 겐지의 동북전쟁
4) ‘황금의 나라 지팡구’ 히라이즈미(平泉)
5) 무사시대의 시작 호겐의 난과 헤이지의 난
05
헤이시 무사 정권의 탄생과 반도무사의 거병
1) 헤이시 무사 정권의 등장
2) 반도(板東)무사의 거병과 헤이시의 몰락
06
겐지의 무사 정권 수립과 호조씨의 권력 찬탈
1) 겐지 3대에 걸친 오슈 정복 전쟁
2) 겐지 가마쿠라막부 수립과 호조씨의 권력 찬탈
3) 아시카가 다카우지의 반란과 가무쿠라막부의 멸망
07
겐지 아시카가막부 수립과 전국시대
1) 정신 이상자가 세운 아시카가막부
2) 오닌(應仁)의 난과 사무라이들의 서사시 전국시대
08
헤이시 오리토요(織豊) 정권의 탄생
1) 풍운아 오다 노부나가(織田信長)의 등장
2) 다윗과 골리앗의 싸움 오케하자마(桶狹間) 전투
3) 대량 병기전(兵器戰) 나가시노 전투
4) 농민 히데요시의 등장과 오리토요 정권
09
히데요시의 대제국 건설 망상과 조선 침략
1) 망상에 걸린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조선 침략
2) 히데요시의 임진왜란과 도요토미 정권의 몰락
10
겐지 도쿠가와막부와 조선통신사
1) 세키가하라 전투와 도쿠가와막부의 성립
2) 화혼한재(和魂韓才)와 조선통신사
11
헤이시의 메이지유신과 정한론(征韓論)
1) 대박이 터진 메이지유신
2) 사무라이의 무사도 정신과 침략성
3) 메이지 무사도와 천황 군대의 창설
4) 야스쿠니신사의 침략사관과 일본군의 침략 전쟁
5) 메이지 정권의 정한론
6) 정한론의 계보와 그 뿌리
12
일본의 집단주의와 벚꽃
꽃은 벚꽃, 사람은 사무라이
13
사무라이의 침략근성과 제국주의 일본의 부활
독도에 대한 영토적 야욕을 다시 드러낸 일본의 침략
에필로그
사무라이의 침략근성과 한국의 전략적 대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