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보건복지 및 법규
최근 우리나라는 반려동물을 기르는 인구가 1,500만 명을 넘는 추세이고 이는 서너 집 걸러 한 세대가 반려동물과 함께 하고 있는 상황이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이들을 ‘애완동물’이라 불렀지만 이제는 애완동물보다는 사람들과 ‘더불어 사는 동물’이라는 의미를 가진 ‘반려동물’이라 부르고 있다. 반려동물은 반려인과 정서적 교감을 나누고 더불어 같이 살아가는 우리 삶의 동반자로 받아들이고 있으나 반려동물에 대한 법과 제도는 빠른 변화의 속도를 맞추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반려동물을 기르면서 갖게 되는 기쁨도 있지만, 반려인은 반려동물과 함께하면서 많은 책임도 따른다는 것을 분명히 인식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여러 법적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반려동물 유기와 반려동물 학대 등에 관한 문제들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우리나라에서는 동물보호법을 제정하여 동물에 대한 학대행위의 방지뿐만 아니라 동물복지 증진, 건전한 사육문화, 동물의 생명 존중 등 사람과 동물의 조화로운 공존에까지 그 목적을 이루기 위해 동물보호법을 제정하고 있다.
건국대 축산대학 농학사
건국대 축산대학 농학석박사
서울대(생활과학대학) Post-Doc
연세대(생리활성소재연구소) Post-Doc
미국 FDA, Center for Food Safety and Applied Nutrition(CFSAN) 연구원
前) 건국대학교 수의과대학 원헬스연구소 학술연구교수
前) 경인여자대학교 반려동물보건학과 겸임교수
現) 서정대학교 반려동물과 교수
제1장 동물보호법
Ⅰ. 동물보호법 8
Ⅱ. 동물보호법 시행령 76
Ⅲ. 동물보호법 시행규칙 110
Ⅳ. 동물보호법 관련 자료집 147
제2장 수의사법
Ⅰ. 수의사법 154
Ⅱ. 수의사법 시행령 177
Ⅲ. 수의사법 시행규칙 202
Ⅳ. 수의사법 관련 자료집 251
제3장 실험동물법
Ⅰ. 실험동물법 264
Ⅱ. 실험동물법 시행령 280
Ⅲ. 실험동물법 시행규칙 293
Ⅳ. 실험동물법 관련 자료집 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