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 경영학 개론
관객, 예술상품, 예술기관의 조화로운 커뮤니케이션과 만족스러운 피드백은 문화예술의 발전을 위한 전제조건이다. 이 모든 것은 반드시 문화예술의 가치기반 위에서 경영되어야 한다. 이 책은 이러한 ‘예술경영’의 가치를 이해하고 활용하는데 큰 도움이 될 만한 책이다. 특히 경영학에 대한 기초 지식이 부족한 실무자나 예술경영에 첫 발을 내딛는 관련전공학생들에게 꼭 필요한 핵심 내용만 담아냈다.
예술경영인을 위해 광범위한 예술과 경영 분야에서 반드시 이해하고 있어야 할 내용만 골라 알기 쉽게 설명했다. 이 책은 공연 기획 및 예술경영을 전공하는 학생과 경영이론의 기초가 필요한 실무진에게 좋은 지침서가 될 것이다.
이 책의 특징은 다음의 몇 가지로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 예술 마케팅, 관객 조사 및 관객 개발, 예술 경영과 e비즈니스 전략까지 예술분야의 입장에서 꼭 알아두어야 할 경영 분야 이론을 집중적으로 서술했다.
둘째, 어려워 보이는 경영과 마케팅 이론을 저자가 재구성 한 도해를 통해 쉽게 이해하고, 바로 실무에 적용할 수 있다.
셋째, 학습목표와 연습문제 등 학생들이 예술경영에 대한 사고의 폭을 넓힐 수 있도록 구성해 교재로서도 활용도가 높다.
이 책은 총 5부 구성으로 1부는 예술경영개관에서는 1장 예술경영의 생성과 필요성, 2장 예술과 경영, 3장 예술경영의 발달과정. 4장 문화경제의 가치와 예술문화의 경영으로 구성해 예술경영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는다. 2부는 예술경영 조직과 운영에서는 5장 예술경영 환경 분석과 조직 구성, 6장 인적자원의 관리와 운용, 7장 기업 마케팅의 변화와 전망으로 구성해 ‘예술’이라는 상황을 반영한 경영조직과 그 운영 방식을 논의한다. 3부 예술경영의 마케팅에서는 8장 마케팅 일반론 이해, 9장 예술시장과 예술 마케팅, 10장 관객조사와 관객개발, 11장 예술경영 의사결정과 시장조사, 12장 예술경영의 재무관리로 구성해 ‘문화상품’인 예술을 제대로 마케팅 할 수 있는 비법을 배운다. 4부 예술경영과 문화산업으로 13장 문화산업의 형성과 예술경영, 14장 예술경영과 문화산업에서는 문화산업과 예술경영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문화산업의 나아갈 바를 고민해본다. 마지막 5장 예술경영과 e비지니스 전략에서는 15장 인터넷 가상공간의 등장과 의미를 짚어 봄으로써 예술을 경영 및 산업적 차원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했다.
저자는 현업에서 활동한 경험과 학교현장교육, 산학협력과정에서 습득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이 책의 기본 틀과 내용 구성했다. 특히 다양한 국내외 선행연구를 예술경영에 맞게 정리, 재구성하고 알기 쉽게 서술해 공연기획 및 예술경영학과 학생들의 강의 교재로 활용도가 높다. 또한 이 책에서 다루지 않았거나 보다 자세한 경영학 이론에 대해 알고 싶어 하는 독자들을 위해 상세한 참고문헌을 달아 독자들의 학습 욕구를 돋운다.
chapter 1 예술경영 개관
01 예술경영의 생성과 필요성
1. 예술경영의 생성
2. 예술과 경영의 접목과 확산
3. 예술경영의 필요성
02 예술과 경영
1. 예술경영의 다양성 이해
2. 내외부적 환경요소
3. 시장의 실패
4. 수익발생의 필요성
03 예술경영의 발달과정
1. 예술경영 발달의 역사적 이해
2. 예술경영의 본질과 문화예술기관의 특성
3. 예술가와 예술경영자
4. 경영방식의 진화
04 문화경제의 가치와 예술문화의 경영
1. 문화경제의 가치
2. 문화예술의 가치확산
chapter 2 문화예술조직의 운영
05 경영환경 분석과 조직의 구성요소
1. 변화하는 문화예술 환경
2. 문화예술기관의 조직
3. 조직의 구성요소
06 인적자원의 관리와 운용
1. 인사관리의 목적
2. 성과와 직능
3. 동기부여와 경영전략
4. 커뮤니케이션 방법론
07 기업마케팅의 변화와 전망
1. 기업마케팅의 변화와 예술경영활동
2. 기업전략의 변화와 수익창출전략
3. 기업문화와 예술경영
4. 예술경영 의사결정 과정과 전략경영
chapter 3 예술경영의 마케팅
08 마케팅 일반론의 이해
1. 마케팅의 개념
2. 경영사고와 방법론의 진화
3. 현대 예술경영 마케팅의 트렌드
09 예술시장과 예술 마케팅
1. 예술 마케팅의 개념
2. 표적 마케팅과 통합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3. 표적 마케팅
4. 시장 선정과 포지셔닝
10 관객조사와 관객개발
1. 관객의 논리 이해
2. 소비자행동이론의 고찰
3. 소비자 커뮤니케이션 전략
4. 예술경영의 프로모션 관리
11 예술경영 의사결정과 시장조사
1. 예술경영의 의사결정과 마케팅 정보
2. 예술경영 마케팅 조사
3. 예술시장 수요의 측정과 예측
12 예술경영의 재무관리
1. 예술경영 재무관리 개념
2. 예술경영 재무관리과정
3. 예술경영의 비용관리
chapter 4 예술경영과 문화산업
13 문화산업의 형성과 예술경영
1. 문화산업의 형성
2. 문화산업과 문화요소
3. 문화예술의 산업적 변화와 융화
14 예술경영과 문화산업
1. 예술경영과 문화산업
2. 예술경영, 산업경영, 문화산업의 속성 비교
3. 문화산업의 원소스 멀티유스
4. 문화산업의 특성과 전망
chapter 5 예술경영의 e비즈니스 전략
15 인터넷 가상공간의 등장과 의미
1. 인터넷의 등장
2. e비즈니스와 예술혁명
3. 예술경영의 e비즈니스 전략과정
4. e비즈니스 홍보전략
5. e펀드레이징과 스폰서십
6. 인터넷 기반 정보화시대의 예술경영적 대안
참고문헌